소개글
"시니어 헬스케어 플랫폼과 디바이스 활용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돌봄서비스와 4차 산업혁명 기술
1.1. 가상현실 VR 케어 서비스
1.2. 치매 케어 로봇(HR)
1.3. 인지재활프로그램
1.4. 시니어케어 요양안심 솔루션
1.5. 행복커뮤니티(AI)
1.6. 베러코그 태플릿 PC
1.7. 유인헬스
2.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
2.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2.2.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의 관계
2.3. 4차 산업혁명시대에 노인복지 영역의 적용
2.3.1. 스마트 홈(Smart Home)
2.3.2. 간호 로봇
2.3.3. 잡 매칭(Job-Matching)
3. 디지털 건강관리 현황 및 과제
3.1. 현황
3.1.1.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
3.1.2. 정부의 추진 방향
3.1.3. 디지털 개입에 대한 WHO 가이드라인
3.2. 문제점
3.2.1. 공공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의 문제점
3.2.2. 민간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의 문제점
3.3. 개선방안
3.3.1. 의료 정보 표준화 적용 및 연동 서비스 제공
3.3.2.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필요
3.3.3. 임상적 유효성 및 비용효과성 입증하여 건강보험 적용 노력 필요
3.3.4. 디지털헬스케어 관련 법 제정 및 정책 수립 필요
3.3.5. 사업 진행 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선 필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돌봄서비스와 4차 산업혁명 기술
1.1. 가상현실 VR 케어 서비스
가상현실 VR 케어 서비스는 ICT 기술을 접목한 데이케어 브랜드로, 기관과 가맹점 계약 후 자체 개발한 수급자 케어 프로그램인 "행복케어(ICT)"를 운영하고 있다. 인지훈련, 치매예방을 위해 가상현실(VR)과 AI 로봇을 활용하여 노인과 상호 교감이 가능한 인지재활 서비스를 제공한다. VR 서비스는 대학병원 전문의와의 협력을 통해 인지훈련 및 치매 예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요리하기, 장보기, 빨래하기, 버스타기 등의 일상생활 행동을 VR을 통해 반복적으로 훈련시켜 실제 생활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VR을 이용한 재활치료 및 치매 예방 시장을 확대하여 스마트 의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VR 콘텐츠 기업은 안전, 재난, 의료, 심리, 교육, 스포츠, 노인재활 등 다양한 분야의 맞춤형 VR콘텐츠를 제공하며 토탈 VR 서비스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휴먼아이티솔루션은 치매 예방, 인지 장애 예방을 위한 IT시스템과 시니어 통합 헬스케어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VR을 활용한 실감형 인지재활을 할 수 있으며, 개인별 건강관리 서비스 또한 제공받을 수 있다. 가상현실 기반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노인의 행동 기능 향상과 인지 기능 유지 및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 다만 VR 장비의 장기 사용 시 멀미가 발생할 수 있어, 노인들의 주기적인 체크가 필요하다. 이처럼 가상현실 VR은 노인들의 인지재활과 치매예방을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노인 돌봄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2. 치매 케어 로봇(HR)
치매 케어 로봇(HR)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퓨처로봇과 수원과학대학교에서 '치매환자 인지능력 훈련 지원'을 위해 공동으로 개발한 로봇이다. 케어 로봇은 상호교감이 가능한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교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치매케어 로봇(KIST 마이봄, 강아지)를 통해 치매 예방 및 초기 치매증상 완화를 위한 정서적 케어가 가능하다. KIST는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기반 치매케어 로봇을 개발('19.5월경)하였다.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HRI, Human Robot Interaction)을 통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시흥시, 광명시 치매안심센터, 이대목동병원에서 치매케어 로봇을 활용하여 감성 AI 기반의 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홀로 사는 어르신 친구 건강관리 로봇 '다솜이'도 감성기반 케어서비스를 제공한다. 원더풀플랫폼이 개발한 인공지능(AI) 건강관리 로봇 '다솜이'는 홀로 사는 어르신이 가족과 잘 소통하고 사회와 단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식과 보호자는 전용 응용프로그램(앱)을 통해 어르신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영상통화와 음성메시지로 안부도 주고받는다. 특히 '말벗' 기능은 어르신들이 고립감과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런 의미에서 다솜이는 홀로 사는 어르신의 소중한 친구이자 아들이고 딸이다.
외출할 때는 "차, 조심하세요"라며 인사를 건네고, 요즘 유행하는 '트로트'도 선뜻 골라준다. 뿐만 아니라 다솜이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신청 기간 등 각종 행정정보를 미리 알려줘 정보에 어두운 어르신이 정부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준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 돌봄서비스가 어렵고, 생활관리사 부족으로 양질의 독거노인 돌봄서비스가 힘들어지는 때 다솜이는 예측 불가능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성맞춤 해결책이다. 전국 28개 지자체?보건소와 함께 어르신 2천600여 명에게 '다솜이' 돌봄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건강·심리·활동 상태 시각화 서비스를 통해 어르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보건소 담당자 1인당 지원할 수 있는 대상이 15인에서 20인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돌봄 비용 절감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1.3. 인지재활프로그램
구리시에서 인지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스마트 태플릿을 활용한 치매악화방지 인지재활 교육을 개시하였다. 인지재활키트와 동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으로 치매 악화 방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다. 이는 경도치매환자가 장기요양서비스 등의 국가치매지원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치매악화를 방지하고자 전문적인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완료 어르신의 가정을 방문하여 태블릿 PC 사용법과 프로그램 훈련과정을 1:1로 교육 후, 대상자 스스로 주 2~3일, 하루 한 시간씩 한 달여 간 집중학습을 실시하여 주의력, 기억력, 집행기능 등 인지 재활훈련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러한 인지재활키트는 경증 치매 어르신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매일 다양한 인지 자극 프로그램 동영상(인지 자극, 수공예 활동, 치매튼튼체조 등)을 시청하고 스스로 인지 재활 활동을 수행한 후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아울러 간호사와 작업치료사로 구성된 전문 인력이 참여자 개인별로 유선 모니터링하면서 진행 상황과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고 학습을 독려하는 피드백도 제공한다. 사후 인지검사를 거쳐 개인별 점수 변화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한다.
생명보험재단에서도 태블릿 pc기반 인지재활프로그램 디지털 지원사업('21.5)과 놀이형(VR체험) 인지재활훈련을 하고 있으며, 목포 치매안심센터에서도 '팔팔 케어'라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구리시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비대면·디지털로 급변하는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어르신의 디지털 적응을 돕기 위해 시행되는 사업으로, 대면 프로그램 중단 장기화로 인한 쉼터 이용자 및 신청 대기자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치매 악화를 방지하고자 가정에서도 손쉽게 스스로 할 수 있는 인지 재활 전문 프로그램이 내장된 전용 태블릿 PC를 지원한 것이다.
1.4. 시니어케어 요양안심 솔루션
보안전문기업 ADT캡스가 요양시설에 입소한 어르신들의 안전, 시설 환경 등 삶의 질을 케어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2019년 12월부터 제공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요양시설 내 빈번한 낙상과 무단이탈 사고를 예방하고, 냄새 탈취와 실내 공기질을 모니터링한다. 앱 '시니어케어 요양안심'을 통해 현재의 요양시설 인력으로 효율적인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먼저 낙상방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침대 주변에 설치한 센서를 통해 낙상 고위험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낙상 전조를 탐지한다. 무단이탈 모니터링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환자복 부착형 태그 또는 목걸이 카드를 통해 이탈방지 구간 진입 여부를 알려준다. 또한 탈취와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해 시설 내 냄새 유발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어낸다.
그 밖에도 외부인 출입통제, 화재서비스, 시설 내 영상보완 서비스(뷰가드) 등을 연계하여 시설 내·외...
참고 자료
"VR 재활로 노인 치매 예방 한다", 지디넷, 2020/11/17
7월 한국판 뉴딜 우수사례로 어르신 건강관리 로봇 '다솜이' 등 3개 선정, 뉴시스, 2021.08.27
실버산업 강소기업⑦] 플랫폼을 파는 기업 ‘원더풀플랫폼’, 투데이신문, 2020.06.17.
구리시, 경증 치매 환자 대상 '어기여차' 홈스쿨링 프로그램 실시, 정도일보, 2021.07.30.
http://www.m3solutions.co.kr/02-1.html
유인헬스(UINHEATLH) 소개, https://www.uincare.com/ko/2018/08/02
고영삼,‘고령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Nov; 14(11): 115-123
고인순,‘파로(PARO) 로봇 중재가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정서, 사회적 상호 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김선정, 김연선, 김지훈, 이정화, 장경은,‘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 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한국융합학회논문지, 9(5), 43-52.
박정현, ‘초고령 사회에 대비한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4차 산업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정희, ‘치매 노인에 대한 동물 로봇(robot pet)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9(4), 562-573.
오진환, 이여진, 신철진, 박천수, 강상승, 김재홍, 김인숙,‘실버케어로봇 프로 그램이 시설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 간호학회지, 45(3), 388-396.
임난영, 강현숙, 박영숙, 안동현, 오진환, 송정희,‘동물 로봇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기분 상태, 문제행동 및 반응의 변화.’, 기본 간호학회지, 16(2), 223-231
클라우스슈밥,클라우스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새로운현재, 2018
홍은민,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케어 로봇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의 활용 현황과 전망, 보건산업브리프 Vol.350, 2022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공공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보고서(연구-04-2020-011-01), 2020.12.
진우강, 이성원(2020).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동향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1), 245-260.
최진영,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헬스케어 기술 동향, KOSEN-코센리포트, 2022
문세연, 윤영미, 한태화, 이상은, 장혁재(2018).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보건의료 제공자의 인식. J Health Info Stat, 43(1), pp.54-63.
이준영. (2020.5.7.). 한국형 뉴딜 ‘비대면·디지털·SOC’ 추진. 시사저널e.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9). 2019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재단. (2013). 2013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6). 2016 보건소 모바일헬스케어 사업 총괄안내서.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보건의료기관 ICT 활용 협진 시범사업 설명회 자료집.
Standing M, Hampson E. (2015). Digital health in the UK: an industry study for the office of life sciences. Monitor Deloitte.
황아름, 강현욱(2019).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2(3)
정재은, 양진홍(2022),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정보 라이프사이클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jkiiect)’22-4, Vol.15 No.2
박나영, 윤난희, 박남수, 김영복, 곽민선, 장사랑(2022). 인터넷 건강정보활용능력(eHealth literacy)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경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9권 제4호(2022. 10) pp.6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