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대 한국사 인물 재평가: 흥선대원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
2.1. 적폐청산
2.1.1. 삼정의 문란 개혁
2.1.2. 세도정치 개혁
2.1.3. 비변사와 사원 혁파
2.2. 경복궁 중건
2.3. 쇄국정책
3. 통상 수교 거부와 양요
3.1. 제너럴 셔먼호 사건
3.2. 병인양요
3.3. 오페르트의 남연군 묘 도굴 미수 사건
3.4. 신미양요
3.5. 척화비 건립
4. 흥선대원군에 대한 평가
4.1. 긍정적 평가
4.2. 부정적 평가
4.2.1. 경복궁 중건의 오판
4.2.2. 통상 거부 정책
4.2.3. 명성황후와의 갈등
5. 흥선대원군에 대한 재해석과 재평가
5.1. 문호개방에 대한 평가
5.2. 경복궁 중건에 대한 평가
5.3. 세도정치의 종결에 대한 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육과정을 거치며 수많은 역사적 인물과 그 인물들에 대한 다양한 업적 및 사건들을 배우게 되었다. 그러나 많고 많은 역사적 인물 중에 재평가해야 할 인물로서 흥선대원군을 선정하게 된 이유는 흥선대원군의 업적을 더욱 자세히 조사하고 알아보고 싶었으며, 또한 그 업적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대원군에 대한 엇갈리는 평가가 어떤 이유에서 생기게 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다. 흥선대원군은 조선시대 역사상 4명의 대원군 중 한 명으로서 살아있는 동안에 대원군으로 봉해진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리고 정권을 잡기 전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했던 잘못된 사회 문제를 바로 잡고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개혁을 이루어내었다는 점과 보수적인 권력가라는 역사가들에 의한 엇갈리는 평가가 존재하는 인물이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흥선대원군의 업적에 대한 조사 및 당시 시대적 배경 등에 대한 조사를 서술할 것이며, 또 인물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평가가 이뤄지게 된 이유를 서술하고, 결론에서는 그러한 업적과 엇갈리는 평가를 바탕으로 나의 관점 안에서 흥선대원군을 재평가해보고자 한다.
2.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
2.1. 적폐청산
2.1.1. 삼정의 문란 개혁
당시 조선의 상황은 세도정치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국정의 기강이 문란해지게 되어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세도정치는 권세가를 중심으로, 즉 왕위를 물려받은 사람뿐만 아니라 그를 따르는 세력과 외척 세력 등을 중심으로 독점적인 형태로서 국가가 운영되는 정치 형태이다. 이러한 세도정치로 인해 전정, 군정, 환곡의 삼정이 문란해지면서 백성들의 고통이 극심했다.
흥선대원군은 삼정의 문란으로 인하여 전국 곳곳에서 일어나던 농민봉기를 해결하기 위해 삼정 개혁에 나섰다. 우선 전정 제도 개혁을 위해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누락된 토지인 은결을 찾아내 지주로부터 세금을 거두도록 하였다. 또한 양반과 지주가 불법적으로 토지를 겸병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군정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갓난아이와 죽은 자에게 군포를 징수하는 폐단이 있었던 황구첨정과 백골징포, 인징, 족징 등을 폐지하고 대신 호를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제를 실시하여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과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곡 제도 개혁을 위해 마을 단위로 사창제를 실시하여 자치적으로 곡식을 대여하며 운영하도록 하여 농민들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이러한 삼정 개혁을 통해 흥선대원군은 기득권층인 양반과 지주의 횡포를 막고 백성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했다. 비록 초기 몇 년간 뚜렷한 성과가 없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 농민들의 삶을 어느 정도 안정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1.2. 세도정치 개혁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를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당시 조선 사회에서는 권력을 장악한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세도가의 횡포가 극심했다. 이들은 왕권을 약화시키고 백성들을 수탈하여 국가와 사회를 병들게 했다.
흥선대원군은 이러한 세도정치를 타파하고자 했다. 그는 왕실의 세력을 강화하고자 했으며, 남인과 북인을 등용하여 기존의 노론과 소론 중심의 세력에 변화를 주었다. 또한 세도 가문의 기반이 되었던 비변사의 기능을 축소하고 의정부에 통합시켰다. 이를 통해 세도 가문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더 나아가 흥선대원군은 조선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있던 서원 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서원은 양반과 유생들의 특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기에 그는 전국의 서원을 47개만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철폐하였다. 이는 양반 세력의 기반을 허물어 세도정치를 종식시키려는 노력이었다.
이처럼 흥선대원군은 세도가문의 권력을 억제하고 왕실 세력을 강화하는 등 세도정치 개혁에 힘써 왔다. 비록 그의 독단적인 행보로 인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했지만, 당시 극심했던 세도정치의 폐해를 해결하고자 한 그의 노력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고 볼 수 있다.
2.1.3. 비변사와 사원 혁파
세도정치로 인한 폐단을 극복하고자 했던 흥선대원군은 비변사와 사원을 혁파하는 개혁을 단행하였다.
비변사는 세도정치의 핵심 권력 기구로, 세도가들이 군사와 정무를 담당하며 국정을 주도하고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이러한 비변사의 기능을 축소하고 이를 의정부에 통합시켰다. 이를 통해 세도가문들의 독점적 권력을 해체하고자 하였다.
또한 흥선대원군은 서원 47개만 남기고 모두 폐지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하였다. 서원은 양반과 유생들이 자신들의 특권을 누리던 기관이었다. 서원을 통해 양반들은 면세와 특권을 누렸으며, 지역 농민들에게도 불법적으로 세금을 징수하는 등 많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흥선대원군은 서원 철폐를 단행하여 양반층의 특권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흥선대원군의 개혁 조치는 당시 세도정치의 핵심 세력이었던 양반층의 강력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유생들은 경복궁 앞에 모여 상소문을 올리며 서원 철폐에 반대하였으나, 흥선대원군의 강력한 의지로 인해 이들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를 통해 흥선대원군이 세도정치를 근절하고자 했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2.2. 경복궁 중건
경복궁 중건은 임진왜란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던 궁궐을 다시 복원하고자 하는 흥선대원군의 의지가 반영된 정책이었다.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해 경복궁의 중건을 결정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선조와 숙종 시기에도 경복궁 중건이 계획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는데, 흥선대원군은 이를 성공적으로...
참고 자료
이준, 「문화기행/인물탐험-봉건적인 개혁을 꿈꾸었던 근세의 풍운아 : 흥선대원군 이하응」, 『재정포럼』 45권,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00, 126~129쪽.
이주천,김진환, 「병인양요(丙寅洋擾)의 재조명(再照明)」,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8집,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7, 131~146쪽.
김태웅,「신미양요, 150년 전 한미관계의 첫 단추」, 『지식의 지평』 제31호, 대우재단, 2021, 1~12쪽.
최선혜, 「대원군집정기(大院君執政期) 조선사회(朝鮮社會)의 변화(變化)와 발전(發展) : James B. Palais의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에 대한 서평 논문」, 『한국학연구』 24권,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493~532쪽.
장영숙, 「『한성신보』의 흥선대원군에 대한 인식과 평가」, 『한국사학보(韓國史學報)』 81호, 고려사학회, 2020, 213~238쪽.
연갑수, 「[사실, 이렇게 본다:대원군 집권기의 역사적 위치] 흥선대원군에 대한 오해와 진실」, 『내일을 여는 역사』 23호, 재단법인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06, 194~209쪽.
팡즈위안, 「근대 조선 1865-1910년의 화폐 변동에 영향을 미친 정치·경제적 요인 분석」, 동서대학교 인문학 석사학위논문, 2021, 1~95쪽.
김민지, 「인문학을 융합한 국악 지도 방안:경복궁 타령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1~69쪽.
이민수,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성」, 『동학연구』 제11집, 한국동학학회, 2002, 1~29쪽.
이현종, 「興宣大院君의 쇄국정책 -그 평가의 양면성-」, 『광장』 107호,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982, 98~103쪽.
이기수, 『도심 속 역사공원』, <충북도정소식> , 2019.07.22. 17:57, https://url.kr/if4ok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하응(李昰應), https://url.kr/wg5mrt.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육전조례, https://url.kr/ob9wps.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경복궁 중건, https://url.kr/485g7y.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서원 철폐, https://url.kr/hl8cng.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 https://url.kr/s293fj.
대원군의 개혁정치와 쇄국정책,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31_0070_0010_0010
김태웅, 김대호,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아르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