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양 미세플랑크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플랑크톤의 정의와 분류
1.1. 플랑크톤의 정의
1.2. 플랑크톤의 분류
1.2.1. 삶에 따른 분류
1.2.2. 영양섭취에 따른 분류
2. 식물성 플랑크톤
2.1. 식물성 플랑크톤의 특성
2.2. 식물성 플랑크톤의 기능
2.3. 식물성 플랑크톤의 순환
3. 동물성 플랑크톤
3.1. 동물성 플랑크톤의 특성
3.2. 동물성 플랑크톤의 분류
3.2.1. 원생동물
3.2.2. 후생동물
3.3. 동물성 플랑크톤의 역할
4. 적조 현상
4.1. 적조의 정의와 원인
4.2. 적조의 영향
4.3. 적조에 대한 대응방안
5. 발광 플랑크톤
5.1. 발광 플랑크톤의 특징
5.2. 발광 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역할
5.3. 발광 플랑크톤의 활용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플랑크톤의 정의와 분류
1.1. 플랑크톤의 정의
플랑크톤은 "한 종을 뜻하는 말이 아닌 바다에 부유하는 생물들로, 각종 동물, 식물, 세균 등을 포함하며, 바다, 원양, 또는 담수에서 서식한다."" 플랑크톤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πλαγκτ??, planktos로 '돌아다니는', '방랑하는 것', '떠도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것처럼 플랑크톤은 '떠살이생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2. 플랑크톤의 분류
1.2.1. 삶에 따른 분류
삶에 따른 분류에 따르면 플랑크톤은 임시 플랑크톤(Meroplankton)과 종생 플랑크톤(Holoplankton)으로 나뉜다.
임시 플랑크톤은 자신의 삶의 일부를 플랑크톤으로 지내는 생물을 말한다. 해양 무척추동물 중에는 난생과 유생의 시기를 플랑크톤으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종생 플랑크톤은 자신의 삶의 거의 모든 시기를 플랑크톤으로 살아가는 생물을 말한다. 이러한 플랑크톤은 부유생활을 영위하며, 능동적인 수중 이동능력이 거의 없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삶의 유형에 따라 플랑크톤은 임시 플랑크톤과 종생 플랑크톤으로 분류될 수 있다.
1.2.2. 영양섭취에 따른 분류
영양섭취에 따른 플랑크톤의 분류는 크게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합성하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다른 생물을 섭식하여 영양분을 얻는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나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주로 미세조류,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단세포 식물성 플랑크톤이 포함되며, 이들은 태양에너지와 무기물을 이용하여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독립영양생물이다. 반면 동물성 플랑크톤은 주로 섭식을 통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단세포 원생동물과 작은 갑각류, 해파리 유생 등의 후생동물들이 포함된다"
한편 일부 플랑크톤은 색소를 갖고 있지 않으면서도 박테리아나 다른 미세유기물을 섭식하는 "종속영양생물"이 존재하고, 일부는 광합성과 섭식을 함께 하는 "혼합영양생물"도 있다. 이처럼 플랑크톤은 영양섭취 방식에 따라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생태계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식물성 플랑크톤
2.1. 식물성 플랑크톤의 특성
식물성 플랑크톤은 바다, 호수, 하천 등의 수중 환경에 부유하며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미생물이다. 이들은 대부분이 단세포 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류, 편모조류, 녹조류 등 다양한 분류군에 속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가장 큰 특징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수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유기물을 생산하며, 이는 수생 생태계의 기초 먹이원이 된다.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은 다양한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있어 각자의 특성에 맞는 빛 스펙트럼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바닷물이나 강물에 녹아 있는 영양염류를 흡수하여 성장한다. 이때 강, 대륙성 풍화작용, 극지방의 해빙수 등에서 공급되는 영양염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생장하면서 용존유기탄소를 방출하기도 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의 흐름에 수동적으로 따라가지만, 부상과 침강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수중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빛, 영양염, 온도 등의 환경요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구 전체 생태계에서도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2. 식물성 플랑크톤의 기능
식물성 플랑크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지구의 탄소 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 세계 광합성 활동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바다 생태계의 먹이사슬의 기초를 이루어 해양 생물들의 주요 식량원이 된다". 또한 용존유기탄소를 방출하여 해양 생태계의 유기물 순환에 기여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에 용해된 영양염류를 흡수하여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중의 무기영양염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질 정화에 기여한다". 특히 질산염, 인산염, 규산 등의 미량영양소를 흡수하여 제거한다".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생산하여 해양 생태계의 1차 생산자 역할을 한다". 이렇게 생산된 유기물은 동물성 플랑크톤과 어류 등 상위 영양단계 생물들의 먹이가 되어 해양 먹이사슬을 유지...
참고 자료
"플랑크톤." 위키백과, . 26 9 2022, 07:16 UTC. 3 10 2022, 10:03
"식물성 플랑크톤." 위키백과, . 7 5 2022, 06:55 UTC. 3 10 2022, 10:06 .
"동물성 플랑크톤." 위키백과, . 30 7 2022, 04:19 UTC. 3 10 2022, 10:08 .
“적조란?”, 국립수산과학원 적조정보시스템, https://www.nifs.go.kr/red/info_1.red#sub1_1_2_link, 2022/10/03 검색
"적조." 위키백과, . 13 2 2022, 03:33 UTC. 3 10 2022, 11:34
해양학백과 (저서생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4839&cid=64516&categoryId=64516
해양학백과 (부착생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4189&cid=64516&categoryId=64516
두산백과 (하등식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0447&cid=40942&categoryId=32310
생명과학대사전 (규조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0878&cid=60261&categoryId=60261
해양학백과 (플랑크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4815&cid=64516&categoryId=64516
해양과학용어사전 (박테리아플랑크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73054&cid=50328&categoryId=50328
해양학백과 (유기쇄설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4641&cid=64516&categoryId=64516
해양과학용어사전 (표영생태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78346&cid=50328&categoryId=50328
두산백과 (조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1639&cid=40942&categoryId=32310
두산백과 (호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3625&cid=40942&categoryId=32304
생명과학대사전 (플랑크톤네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3366&cid=60261&categoryId=60261
두산백과 (데이크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2440&cid=40942&categoryId=31891
생명과학대사전 (방형구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27057&cid=60261&categoryId=60261
Tom Garrison, 해양학 7e 수정판, 이상룡, 강효진, 김대철, 이동섭, 이재철, 정익교, 허성회, CENGAGE, 2021, 402-407쪽
공용, 2012, 공중보건학,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미세연기의 예방과 대책
강정현, 중앙일보, 바다 오로라 뒤 적조 오더라, 통영 바다 야광충 반전, 2020
강성현 외(2005), 한국해양연구소 「 해양 과학 총서3 해양오염과 지구환경 」
김진현, 홍승용 공편(1998) 「 해양 21세기 」 서울 : 나남출판
R.B Clark 저 윤이용 옮김(2003) 「 해양오염 」 서울 : 동화기술교역
이근광(1997) 「 수계환경오염개론 」 서울 : 동화기술교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