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복음주의 신학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정의와 비교
1.1. 칼빈
1.1.1. 칼빈의 생애
1.1.2. 칼빈주의
1.1.3. 칼빈의 예정론
1.1.4. 칼빈의 성찬론
1.2. 알미니우스
1.2.1. 알미니우스의 생애
1.2.2. 알미니안주의
1.3. 비교
1.4. 결론
2. 복음주의 신학
2.1. 복음주의의 정의 및 역사
2.2. 복음주의 신학의 특징
2.3. 복음주의 신학의 공헌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정의와 비교
1.1. 칼빈
1.1.1. 칼빈의 생애
칼빈은 프랑스의 도시 리용에서 태어났다. 마르스대학교에서 문법, 수사학, 라틴어를 배웠고, 몽테귀대학교로 옮겨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또한 파리로 유학을 가 인문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자신의 아버지의 희망에 따라 법률가가 되려하였으나, 아버지의 죽음 이 후 인문학과 신학에 몰두하였다. 갑작스럽게 회심을 경험한 칼빈은 자신이 속해있는 로마카톨릭교회의 행위나 교리가 미신에 가깝다는 것을 깨닫고, 로마카톨릭교회에서 프로테스탄트교회로 돌아섰다. '이단자'의 대열에 들어선 것이다. 이 시기부터 로마카톨릭교회가 프로테스탄트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처벌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칼빈은 스위스로 망명한 뒤, '기독교강요' 초판을 출간하였다. 이는 순교한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의 신앙을 변호할 목적으로 저술한 것이다. 이 후 세르베투스나 사돌레토와 여러 신학논쟁을 거치고 제네바로 귀환한 뒤 23년 동안 교회와 신학교를 위해 봉사하고, 사후 공동묘지에 묻히게 되었다.
1.1.2. 칼빈주의
칼빈주의는 프랑스의 종교개혁자 칼빈과 그의 신학을 추종하는 자들에 의해 형성된 프로테스탄트 사상이다. 칼빈의 저서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종교개혁 당시 개신교 주류의 신학으로 자리잡으면서 개혁교회도 같이 발전하게 되었다. 개혁교회를 통해 칼빈주의는 큰 바람을 일으켰고, 이렇게 수립된 개혁교회의 전통까지 포함된 더 큰 의미의 칼빈주의를 가리킬 때에는 '개혁주의'라는 표현이 쓰이게 되었다.
칼빈주의의 핵심 신학 사상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주께만 영광'의 5대 원칙으로 요약된다. 즉 진리 유무를 판별하는 유일한 권위는 성경 말씀뿐이며,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공로로만 가능하고 인간의 어떤 조건과 상관없이 오직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구원에 이르며, 구원받은 자는 오로지 하나님의 영광만을 구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더불어 칼빈의 예정론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은총론을 바탕으로 성립된 것이다. 즉, 타락과 창조 이전에 이미 하나님에 의해 구원받을 자와 멸망할 자가 예정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칼빈의 예정론은 당시 스위스 제네바에서 엄격한 신정 정치를 펼치는 데 배경이 되었다.
한편, 칼빈의 성찬론은 로마 가톨릭의 '화체설'을 부정하고 루터의 '공재설'도 배제한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찬 예식의 현장에 영적으로 임재하신다는 입장이었다. 칼빈은 성찬에서 떡과 포도주가 실제로 예수의 살과 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과 성령의 사역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영적으로 임재하신다고 믿었다.
이처럼 칼빈주의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인간의 전적 타락,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등의 신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3. 칼빈의 예정론
칼빈의 예정론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은총론을 바탕으로 성립된 것이다. 즉, 타락과 창조 이전에 이미 하나님에 의해 구원받을 자와 멸망할 자가 예정되었다는 것이다. 칼빈은 이러한 절대 예정론을 배경으로 멸망받을 자뿐 아니라 멸망에 이르게 하는 죄악도 철저히 배척하면서 종교개혁 당시 스위스 제네바에서 엄격한 신정 정치를 펼쳐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칼빈의 예정론이...
참고 자료
오성욱, “사중복음 중생론”,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글로벌사중복음 연구소 편, 101-137,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18
한국조직신학회(2019), 『구원론』, 대한기독교서회, pp. 45~68/125~156
한영태, <칼빈과 웨슬리의 신학적 대화>(2010)
알란 셀.『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 구원』.생명의 말씀사
이현담.『칼뱅의 성만찬론』.한국학술정보.
최덕성.『위대한 이단자들』.본문과현장사이.
D.스틸,C.토머스.『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엠마오.
F,H. 클로스터.『칼빈의 예정론』.성광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