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처치의 개념 및 절차
1.1. 응급처치의 정의
응급처치는 "다친 사람이나 급성 질환자에게 사고 현장에서 실시하는 조치"이다. 그 목적은 "보다 나은 병원치료를 받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도와주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한 조치만으로도 회복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응급처치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며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응급처치의 목적
응급처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생명을 보존하는 것이다.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서는 기도 확보, 인공호흡, 심폐소생술 등의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실시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해낼 수 있다. 따라서 응급처치의 가장 큰 목적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다.
둘째,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응급환자의 경우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처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현재 상태를 안정시켜야 한다. 출혈 및 쇼크 상태에 대한 응급처치, 기도 확보, 골절 고정 등의 처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 환자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응급처치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상태를 안정화시킨 이후에도 지속적인 응급처치와 관리가 필요하다. 적절한 응급처치는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여 최대한 빨리 정상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응급처치의 목적은 환자의 생명 구조, 상태 악화 방지, 회복 촉진을 통해 응급환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1.3. 응급처치 단계
1.3.1. 현장 확인
현장 확인은 응급상황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현장 확인 단계에서는 자신, 환자,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위험 요소가 없는지 점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사고의 발생 과정과 원인을 파악한다. 환자의 수와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119 구조대나 응급의료기관에 신속하게 연락한다. 현장의 상황을 정확히 전달하여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응급처치 과정과 환자의 상태 변화 등을 기록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고,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었을 경우 비누와 물로 씻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와 같이 현장 확인 단계에서는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안전하게 대처하는 것이 응급처치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1.3.2. 기본 생명 징후 파악
기본 생명 징후 파악이란 환자의 의식, 호흡, 순환 상태를 신속히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먼저 환자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괜찮으세요?" 라고 말을 걸어보고, 환자의 반응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환자의 호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환자의 입과 코 근처에 얼굴을 대어 호흡을 느껴본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맥박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손목이나 경동맥을 촉진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환자의 생명징후를 신속히 파악하여 적절한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1.3.3. 응급처치 실시
응급처치 실시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응급환자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최대한 안정화시키고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응급처치 실시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 조사를 통해 위험 요소를 확인하고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다. 그 다음 기본 생명 징후인 의식, 호흡, 순환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즉시 처치를 실시한다.
의식이 없는 경우 기도를 개방하고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호흡이 없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심정지가 확인되면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하여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한다. 외부 출혈이 있는 경우 직접 압박으로 지혈하고, 쇼크 증상이 나타나면 다리를 높이고 체온 유지 등의 처치를 한다.
이와 같이 생명징후 확인 및 기본 응급처치를 신속히 실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의료기관으로의 신속한 이송을 준비한다. 응급처치 실시 시 처치자의 안전과 감염 예방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3.4. 의료기관 이송
의료기관 이송은 응급처치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 환자를 보다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하는 것을 말한다. 응급처치를 실시한 후에도 환자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거나 지속적인 관찰과 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한다. 이때 이송 방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구급차, 개인차량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과정에서도 환자의 생명징후를 계속 관찰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응급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의료기관 도착 후에도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와 처치 내용을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2. 기본 응급처치 기술
2.1. 기도 유지
기도 유지는 응급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기술 중 하나이다. 응급환자의 최우선 처리 대상은 기도, 호흡, 순환 상태 확인이며, 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이 기도 유지이다. 기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도 유지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의식이 있는 경우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혀가 목구멍을 막는 것을 예방하고 기도를 열어주는 방법이다. 둘째, 의식이 없는 경우 아편 중독, 약물 사용, 질식, 외상 등으로 인한 기도 폐쇄가 우려되므로, 머리를 젖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