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피자헛 기업 소개
피자헛은 1958년 미국 캔자스주 위치타에서 프랭크와 댄 카아니 형제가 중고 기계와 25명이 식사할 수 있는 작은 레스토랑을 구입하면서 태동하게 되었다. 이후 맛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점차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현재는 세계 최대의 피자 체인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피자헛(Pizza Hut)'이라는 브랜드명도 당시 건물이 오두막집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것이다.
피자헛은 전 세계 84개국에 걸쳐 1만 2,300여 개의 매장과 24만여 명의 종업원이 운영하고 있으며, 하루 수백만 개의 피자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한국에는 1985년 이태원 1호점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20년 이상 피자 업계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현재 한국 내 피자헛 매장의 약 60%가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함께 즐겨요, 피자헛!'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2. 피자헛 SWOT 분석
2.1. 강점
피자헛은 "비싼 가격이지만 강한 브랜드 파워가 있다"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피자헛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피자'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브랜드가 되었다. 이는 다른 경쟁업체들과 차별화되는 요소로 작용하여 고객들이 피자헛을 선호하게 하는 주요 이유가 된다. 또한 피자헛은 "핫박스 시스템과 같은 기술을 도입, 콜 센터를 기반으로 전국 단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이 잘 이루어져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피자헛의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기술 기반의 고객 서비스는 경쟁업체들과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2.2. 약점
피자헛의 약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경쟁 피자업체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피자헛은 비싼 가격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는 브랜드 파워 및 마케팅 측면에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청소년, 혼자 방문하는 고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저가격 제품군을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건강 만족형' 고객들에게 외면당하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피자헛 메뉴는 상대적으로 기름진 편이어서 건강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다.""
셋째, 피자헛 매장 내에서 피자 이외의 사이드메뉴들이 상대적으로 외면받고 있다. 피자헛 스파게티나 피자헛 리조또와 같은 사이드메뉴를 주 목적으로 찾는 고객은 많지 않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과거 '파스타헛'이라는 사업모델의 실패 사례가 있다. 이는 피자 이외의 다른 메뉴 개발에 소극적인 피자헛의 약점으로 볼 수 있다.""
2.3. 기회
최근 피자의 수요층이 20대 중심에서 10대와 30~40대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은 피자헛에 있어 큰 기회로 볼 수 있다. CPR협의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 여자의 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