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업의해외진출성공및실패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국적 기업의 개념과 해외진출 전략
1.1. 다국적 기업의 정의와 특징
1.2. 해외진출 전략: 현지화와 표준화
1.3. 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
2. 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
2.1. 3M: 현지화 전략을 통한 성공
2.2. 스타벅스: 해외직접투자와 합작투자를 통한 성공
3. 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실패 사례
3.1. 롯데백화점: 잘못된 입지 선정과 현지화 실패
3.2. 까르푸: 현지화 실패와 방어적 경영전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국적 기업의 개념과 해외진출 전략
1.1. 다국적 기업의 정의와 특징
다국적 기업은 "본국의 생산, 판매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 걸쳐 생산과 판매를 시행하는 기업"이다. 1950년대 후반 카네기공과대학의 릴리엔탄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학술적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한 나라에 본사를 두면서 문화, 법률, 그리고 관습이 다른 나라에 진출한 후 활동하는 기업"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다국적 기업들은 대부분 높은 자본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적 분야로 진출하여 사업 활동을 국제적 규모로 추진하며, 새로운 국제 분업의 한 패턴으로도 표현된다. 다국적 기업은 현지화 혹은 표준화 전략으로 경영 전략을 전개하는데, 각각의 전략에는 장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업은 상품 특성에 따라 적절한 조합을 선택하여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1.2. 해외진출 전략: 현지화와 표준화
다국적 기업들은 해외 진출 전략으로 현지화와 표준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현지화 전략은 해외시장에 진출할 때 현지의 문화, 고객 선호도, 규제 등을 고려하여 제품, 가격, 유통, 광고 등의 마케팅 믹스를 현지화하는 전략이다. 이는 주로 해외진출 초기 단계에서 선호되며, 소수의 해외공장을 운영하고 현지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특징을 지닌다.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기업은 현지 고객의 needs를 보다 잘 충족시킬 수 있고, 현지 정부 및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현지 사회와의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정치적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사와 해외 자회사 간의 권한 관계에 있어서 자회사의 자율성이 높아져야 하는 특징이 있다.
반면 표준화 전략은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기준의 제품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정해영(2016), “베트남 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동향과 유형연구”, 동남아시아연구.
김인숙(2016), 스페이스 마케팅을 고려한 공간 포지셔닝 비교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부띠푸엉따오(2015), 베트남시장에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강창동, 배기범, 박주영(2015), 프렌차이즈 해외진출 성공 및 실패 사례연구, 한국프랜차이즈학회.
국제경영- 전용욱 외 [문영사]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긴 성공신화)- 하워드 슐츠 [김영사]
최윤호 기자 - 3M, 혁신의 대명사 ‘쓰리엠’ 한국경쟁력을 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