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행정복지센터와 맞춤형 복지
1.2. 맞춤형 복지의 등장 배경
1.3. 연구목적
2. 본론
2.1. 맞춤형 복지 등장 배경
2.1.1. 행정복지센터 도입과 복지 서비스 개선
2.1.2. 복지 사각지대 해소 필요성
2.1.3.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 제공
2.2. 지역별 맞춤형 복지 추진 사례
2.2.1. 전주시의 동네복지와 엄마의 밥상
2.2.2. 부산시의 기초보장제도와 긴급복지지원
2.2.3. 동대문구의 여성, 아동, 노인 등 분야별 맞춤형 복지
2.3. 맞춤형 복지정책의 발전방향 및 과제
2.3.1. 정보 공유와 전산화
2.3.2. 관련 기관 간 정기 모임 활성화
2.3.3. 관리 인력 및 예산 투자 확대
3. 결론
3.1. 요약 및 종합
3.2. 맞춤형 복지의 의의와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행정복지센터와 맞춤형 복지
과거 주민센터였던 행정복지센터는 2016년부터 새로운 이름으로 지역주민들에게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지역마다 겪고 있는 문제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에 맞는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지자체별로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주민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와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복지센터는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6년도 2월에 행정자치부와 보건복지부는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 통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는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추진했다. 이로 인해 기존 읍·면·동의 주민센터 명칭이 "행정복지센터"로 변경되었다. 행정복지센터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프로그램 운영 등을 효율적으로 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또한 행정복지센터에는 맞춤형복지팀이 구성되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를 추가로 발굴하고 가정 방문상담, 개인별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소외된 이웃들에게 편리하고 효과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1.2. 맞춤형 복지의 등장 배경
맞춤형 복지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기존의 복지제도는 정부나 공공기관이 일방적으로 복지 항목을 결정하고 국민들이 이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개별적인 복지 수요와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는 한계가 존재했다. 그러나 복지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지역 특성과 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첫째, 행정복지센터의 도입을 통해 복지 서비스 개선이 필요했다. 기존의 주민센터가 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이 바뀌면서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 통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고자 했다.
둘째,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맞춤형 복지가 요구되었다. 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지역 주민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따라서 직접 방문하여 상담하고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 제공이 필요했다. 지역마다 겪고 있는 문제와 복지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 서비스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복지센터에 맞춤형 복지팀을 구성하고, 개인별 상담과 방문서비스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했다. 또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맞춤형 복지 사업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1.3.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맞춤형 복지 정책의 등장 배경과 지역별 추진 사례를 살펴보고, 맞춤형 복지정책의 발전방향과 과제에 대해 서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행정복지센터의 도입과 복지 서비스 개선, 복지 사각지대 해소의 필요성,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 제공의 배경을 살펴보고, 전주시의 동네복지와 엄마의 밥상, 부산시의 기초보장제도와 긴급복지지원, 동대문구의 분야별 맞춤형 복지 추진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더불어 맞춤형 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해 정보 공유와 전산화, 관련 기관 간 정기 모임 활성화, 관리 인력 및 예산 투자 확대 등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맞춤형 복지 등장 배경
2.1.1. 행정복지센터 도입과 복지 서비스 개선
행정복지센터는 2016년부터 읍·면·동 주민센터의 명칭이 변경되면서 새롭게 도입되었다. 기존의 주민센터는 주민들의 민원 등 행정업무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행정복지센터는 복지 서비스 제공을 보다 강화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즉, 행정복지센터는 주민들에게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 통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하고 있다.
행정복지센터 도입을 통해 기존의 주민센터 체계에서 미흡했던 점들이 보완되었다. 우선 행정복지센터에 맞춤형복지...
참고 자료
읍면동 사무소가 주민을 위한 '행정복지센터'로 거듭납니다,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48743
동네복지, 전주시청
https://www.jeonju.go.kr/index.9is?contentUid=9be517a752e4538d0152e8ebe94749a9
엄마의 밥상, 전주시청
https://www.jeonju.go.kr/index.9is?contentUid=9be517a752e4538d0152e8d71bee4334
이태경. "맞춤형복지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대구 8~9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복지 사각지대 사회적 환기, 여운민, 미디어인천신문, 2020.02.26.
주민 복지의 허브, 행정복지센터, 한아름,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6.04.04.
부산시, 기초생활보장 분야 맞춤형 복지서비스로 저소득층 지원 강화한다!, 김창환, 코리아 투데이 뉴스, 2022.02.07.
진세혁, 2018, 동 복지허브화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11권 1호, p.193
최무현, 장현주(2008), “ 맞춤형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중항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6권 4호 p.245-275(31 pages), 한국행정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201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지역사회복지계획”
김양현(2009), “경찰의 맞춤형 복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2권 0호 p.37-58(22 pages), 한국경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