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정의와 특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소전자의 바로 원위부에서 발생하며, 분쇄의 정도도 매우 다양한 골절이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주로 매우 나이가 많은 그룹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젊은 그룹의 골절과 달리 단순한 낙상에 의한 결과로 나타난다. 성인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주로 이른 기동화와 재활을 허용하는 내고정(CRIF) 방법으로 치료하며, 젊은 환자의 경우 골견인을 포함하는 폐쇄적 치료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단순한 낙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골절은 소전자의 바로 원위부에서 발생하고, 분쇄의 정도가 다양한 특징이 있다. 성인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주로 조기 기동화와 재활을 허용하는 내고정(CRIF) 방법으로 치료를 하며, 젊은 환자의 경우 골견인을 포함하는 폐쇄적 치료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실제 임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치료 방법의 효과와 한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본론
2.1. 대퇴골의 해부학적 구조
2.1.1. 대퇴골의 주요 부위와 기능
대퇴골(넙다리뼈, femur)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긴 뼈로 상단, 골체, 하단으로 구분된다.
상단(위끝, upper end)에는 대퇴골두(넙다리뼈머리, head of femer)가 있어 관골구(절구, acetabulum)와 결합하여 고관절(엉덩관절, hip joint)을 형성한다. 대퇴골두와(넙다리뼈오목, fovea of head femur)에는 대퇴골두인대가 부착한다. 대퇴골두 하방에 잘록한 곳을 대퇴골경(넙다리뼈목, neck of femur)이라고 하며 골절이 다발하는 곳이다. 외측에는 대전자(큰돌기, greater trochanter), 후하방에는 소전자(작은돌기, lesser trochanter)라는 돌출부가 있으며, 이들은 전자간선(돌기사이선, intertrochanter line)과 전자간능(돌기사이능선, intertrochanteric crest)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전자 내측에 깊은 홈인 전자와(돌기오목, trochanteric fovea)가 있어 근육이 부착하는 곳이다.
골체(넙다리뼈몸통, body of femur)의 후면에는 조선(거친선, linea aspera)이 있고, 이 선은 위쪽으로 대던자와 소전자에 이르러 둔근조면(볼기근거친면, gluteal tuberosity)을 형성한다. 대퇴골체는 체중을 받치는 데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밑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를 경체각(vertical neck shaft angle)이라 하며, 각이 큰 것을 외반고(밖굽이엉덩관절, coxa valga), 각이 작은 것을 내반고(안굽이엉덩관절, coxa vara)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에서 골반이 넓기 때문에 더욱 현저하다.
하단(밑끝, lower end)은 내측과(안쪽관절융기, medial condyle)와 외측과(가쪽관절융기, lateral condyle)를 이루어 경골과 관절하고, 이들 상부에는 다시 내측 및 외측상과(안쪽 및 가쪽위관절융기, madial & lateral epicondyle)가 돌출되어 근육과 인대가 부착하게 된다. 하단 전면에는 슬개골이 붙는 슬개면(무릎면, patellar surface)이 있고, 후면에는 깊게 파인 과간와(융기사이오목, intercondylar fossa)가 있어서 이곳에 경골의 내 · 외측과와 관절을 이루도록 붙잡아주는 십자인대가 붙는다.
2.1.2. 대퇴골의 생리적 특성
대퇴골의 생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퇴골체(넙다리뼈몸통, body of femur)의 후면에는 조선(거친선, linea aspera)이 있고, 이 선은 위쪽으로 대전자와 소전자에 이르러 둔근조면(볼기근거친면, gluteal tuberosity)을 형성한다. 또한 대퇴골체는 체중을 받치는 데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밑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를 경체각(vertical neck shaft angle)이라 하며, 각이 큰 것을 외반고(밖굽이엉덩관절, coxa valga), 각이 작은 것을 내반고(안굽이엉덩관절, coxa vara)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에서 골반이 넓기 때문에 더욱 현저하다.
2.2. 골절의 원인과 위험요인
2.2.1. 골절의 기전 및 분류
골절의 기전 및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골절은 뼈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파괴된 것이다. 골절은 흡수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압력이 뼈에 주어질 때 기계적 과부하로 인해 발생한다. 골절을 야기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힘의 양은 일부 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과 같은 대사성 골질환은 기존의 장애에 의해 이미 뼈가 약화되어 있으므로 가벼운 외상에도 골절이 일어난다.
골절은 움직이는 물체가 뼈 위의 신체부위를 쳤을 때 직접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