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서 개요
1.1. 감염관리 순회 결과 보고서
감염관리 순회 결과 보고서는 병원 내 감염관리 실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문서이다. 이 보고서에는 감염관리 체크리스트에 따른 각 부서별 모니터링 결과와 해결 방안 및 계획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먼저 응급실에서는 멸균물품과 비멸균물품이 혼재되어 보관되고 있었으며, spill kit 내 소독제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물품 구역을 구분하여 보관하고 소독제를 교체하도록 하였다. 외래 처치실에서는 혈액자국이 발견되어 매 시술 후 청소와 소독을 실시하도록 교육하였다. 또한 진료실 매트와 초음파실의 초음파 젤 주입구 위생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화부에서는 세척된 밀대와 걸레가 겹쳐져 보관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도록 현장 교육을 실시하였다. 내시경실에서는 악세서리 세척에 사용하는 브러시의 마모와 세척 시 방수가운 미착용 등의 문제가 발견되어 시정하였다.
다음으로 병동의 경우, 61병동에서는 투약 준비 구역에 주사제 흔적이 있었고 환경소독제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1병동에서는 격리의료폐기물의 보관기한이 지났으며, 32병동에서는 비말주의 격리실 관리가 미흡한 것이 확인되었다. 재활치료실에서는 파라핀 치료 시 손위생 및 교체 관리가 필요했다. 응급실에서는 유효기간이 임박한 멸균물품이 다량 보관되고 있어, 선입선출 원칙에 따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에서는 환자 진료구역에 장식용 어항이 있어 수인성 감염 예방을 위해 이동 조치하였다. 또한 42병동과 72병동에서 손위생, 격리물품 관리, 장비 소독 등의 문제가 발견되어 교정이 필요했다. 111병동은 멸균물품 관리와 검체 보관이 양호한 편이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관리실은 각 부서별 현장 재교육, 정기적인 감염관리 순회 및 교육, 필요 시 개선 활동 등의 해결 방안 및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 전반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1.2. 감염관리 체크리스트
1.2.1. 병동
병동에서는 손위생, 의료기구 관리, 안전한 주사 실무, 의료기구 세척 및 소독관리, 세탁물 관리, 의료폐기물 관리, 격리환자 관리 등 다양한 감염관리 체크리스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우선 손위생의 경우, 모든 환자 접촉 전 후 손위생을 실시하고 있으며 알코올젤이 사용하기 편한 곳에 비치되어 있다. 또한 알코올젤과 물비누가 청결하고 파손없이 잘 작동하며, 개봉된 제품의 유효기간도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다. 손위생용 싱크에는 비누와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고 손위생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병동 내 철저한 손위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다.
의료기구 관리에서는 멸균물품과 청결물품이 구분되어 보관되고 선입선출 원칙이 준수되고 있다. 개봉한 소독제의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적절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멸균캔에도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잘 관리되고 있다. 유효기간이 경과한 물품이 없고 드레싱 카트의 청결구역과 오염구역이 구분되어 정리되어 있다. 각종 의료기구들(O2 chamber, suction bottle 등)도 적절히 관리되고 있다. 이를 통해 병동 내 의료기구의 관리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이다.
안전한 주사 실무에서는 수액백이나 수액병을 여러 환자에게 공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개봉한 알코올솜에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표시되어 있으며 주사제 투약 전 멸균관리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 다회용 약품도 개봉일, 유효기간이 표시되어 관리가 양호한 편이다. 주사 관련 기구들의 청결구역과 오염구역이 구분되어 정리되어 있다"이다.
의료기구 세척 및 소독관리에서는 세척구역 내 멸균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다. 세척제와 소독제가 청결하게 보관되어 있고 희석액의 희석비율과 유효기간도 표시되어 있다. 오염기구 운반통 소독 및 건조, 이동카트 관리도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염된 기구와 세척·소독 후 청결기구가 분리되어 보관되고 있다. 소변기 등 사용 전 보관상태도 청결하게 유지되고 있다"이다.
세탁물 관리에서는 세탁물 수거실의 문이 닫혀 있고 기타세탁물과 오염세탁물 햄퍼가 넘치지 않으며 오염세탁물 뚜껑이 닫혀 있다. 수거실 구역의 청소도 청결히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세탁물 분류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감염병 환자의 환의도 적절한 방법으로 배출되고 있다"이다.
의료폐기물 관리에서는 의료폐기물 보관기간이 준수되고 있고 격리의료폐기물 관리도 적절하다. 손상성 폐기물 용기가 2/3 이상 채워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적절한 표기와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 의료폐기물 적재 및 수거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이다.
격리환자 관리 부분에서는 지침에 따른 적절한 개인보호구 사용과 절차가 준수되고 있다. 본원의 격리주의 지침을 직원들이 잘 알고 있으며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에 대한 관리도 이루어지고 있다. CRE, VRE 등 다제내성균 분리환자에 대해서는 장갑과 표준주의 적용, 격리실 이용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격리환자에게 사용한 물품의 즉시 소독도 이루어지고 있다"이다.
종합적으로 병동 내 다양한 감염관리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손위생, 의료기구 관리, 안전한 주사 실무, 의료폐기물 관리 등에서 지침 준수 및 체크리스트 이행 수준이 양호한 편이다. 그 외에도 세탁물 관리와 격리환자 관리 등 전반적인 감염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이다.
1.2.2. 재활치료실
재활치료실은 감염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부서이다. 재활치료실에서는 다양한 치료기구들이 사용되며, 환자들의 체액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재활치료실의 감염관리 체크리스트는 총 7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손위생 관리이다. 재활치료실의 모든 의료진은 환자 접촉 전후로 반드시 손위생을 실시해야 한다. 알코올 손소독제가 사용하기 편한 곳에 비치되어 있고, 손위생용 싱크에는 비누와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으며 손위생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알코올 손소독제와 물비누가 청결하고 파손없이 잘 작동하며, 개봉된 제품의 유효기간도 양호하다.
의료기구 관리 측면에서는 멸균물품과 청결물품이 구분되어 보관되고 있고, 선입선출 원칙을 준수한다. 개봉한 소독제의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표시되어 있으며 유효하다. 멸균된 기구들의 개봉일과 유효기간도 확인되고 있다. 드레싱 카트 내에는 청결구역과 오염구역이 구분되어 정리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