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조업이 중요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리쇼어링(Reshoring)과 스마트생산공장(Smart Factory)
2.1. 리쇼어링 정책
2.2. 스마트생산공장의 등장
3. 한국 제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3.1. 미국의 제조업 부활
3.2.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 상승
4. 한국 제조업의 대응방향
4.1. 스마트공장 활성화
4.2. 리쇼어링 정책 개선
4.3. 전문인력 양성
5. 식품제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5.1. 식품제조업의 특징
5.2. 식품제조업의 발전방향
6. 인도의 제조업 성장 전략
6.1. PLIS 프로그램을 통한 세제 인센티브
6.2.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위험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인해 많은 나라들의 관심이 3차 산업혁명의 주된 산업이었던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다시 옮겨가고 있다. 경기 불황을 겪었던 미국은 무역적자와 가계부채 등의 문제들을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주력 산업을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해결해내어 다시 한번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나라들도 제조업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는 등 제조업을 통한 경제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거 3차 산업혁명 이후부터 제조업은 서비스업에 밀려 그 중요성을 잃고 있었지만, 최근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경쟁우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 리쇼어링(Reshoring)과 스마트생산공장(Smart Factory)
2.1. 리쇼어링 정책
리쇼어링 정책이란 "기업의 해외 진출을 뜻하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의 반대 개념으로, 생산비와 인건비 등을 이유로 해외에 나간 기업이 다시 자국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은 오바마정권때부터 리쇼어링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해외에 나간 기업들을 위해 많은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제공하여 본국으로 회귀시켰다. 일본 역시 2012년 아베 신조 총리 취임 이후 공장 설립 규제 완화, 환율·노동정책 등 기업 환경 개선에 나선 결과 해외 공장 보유 기업 834개 중 제품과 소재를 국내 생산으로 돌린 기업이 11.8%에 달했다.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술집약적 산업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이처럼 국가 성장의 기반이 되는 생산력 증가와 기술혁신은 제조업에서 가능하다. 그렇기에 제조기반인 자국 공장들이 모두 해외로 진출한다면 기술혁신의 여지가 줄어들고 결국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위해 많은 나라들이 리쇼어링 정책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2.2. 스마트생산공장의 등장
스마트생산공장의 등장은 제조업의 발전을 이끄는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스마트생산공장이란 "제조에 관련된 물품 조달, 물류 등 이들에게 각각 지능을 부여하고 이를 IoT로 연결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연결·수집·분석하는 공장"이다. 즉, 컴퓨터와 로봇 등 ICT 기술을 융합하여 생산 공정의 무인화와 자동화를 실현한 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생산공장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 생산 체계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먼저, 모든 작업 체계가 디지털화되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제품을 한 라인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로봇, 빅데이터 등의 핵심 기술들이 접목되어 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되었고, 이를 통해 생산성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과거에는 숙련된 작업자들의 기술과 경험에 의해 생산성이 결정되었지만, 앞으로는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자동화 설비들 간의 생산성 경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시 우수한 모듈(Module) 구성과 플랫폼(Platform) 설계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생산공장 도입은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되고 있다. 제조업의 생산성 향상과 함께 유연한 생산 체계 구축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마트 공장 기술은 향후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참고 자료
머니투데이 - [경제2.0]제조업의 중요성 돌아봐야
http://subinne.tistory.com/entry/4차-산업혁명-시대-제조업이-중요한-3가지-이유
머니투데이 [경제2.0]제조업의 중요성 돌아봐야
이슈메이커 - 기업 리쇼어링 정책, 세계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
중앙일보 - [경제 view &] 두렵고 부러운 미국 제조업 부활
중소기업뉴스 - 한국 제조업 환경 주요 19개국 중 7위
뉴스펌 - [짐싸는 기업 사장들⑤] 실효성 없는 유턴기업법..."핵심은 규제와 고용환경"
KDB 산업은행 - 한국 제조업의 위협요인 분석 및 대응방향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3739/식품산업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
식품제조업의 지역경제 효과/노용식/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2015
경상북도 중소도시 제조업 특성과 변화/채승희/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2009
“인도, 2030년까지 獨·日 제치고 세계 3위 경제대국 된다”
정지주 저, KBS,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