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1.1. 간호과정의 정의와 단계
간호과정은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으로, 간호의 대상인 개인, 가족 또는 지역사회에 실제 존재하는 건강 문제나 잠재적인 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반응에 초점을 두어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간호 과정은 사정(assessment), 진단(diagnosis), 계획(planning), 수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호 과정의 각 단계는 유기적이며 밀접하게 상호연관되어 있다.
1.2.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의 관계
간호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비판적 사고란 다양한 상황적 문제를 사정, 예방, 관리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사고 과정이며 목적 지향적인 정신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간호과정에서의 비판적 사고는 간호 현장에서 주어진 상황에 대한 문제해결과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서 논리적 구조에 대해 추론, 해석, 평가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간호과정 단계에서 비판적 사고가 활용되는데, 사정 단계에서 간호사는 적절한 비판적 사고와 지식을 사용해 건강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구분하며, 진단 단계에서 비판적 사고 기술을 통해 의미 있는 자료 간의 유형과 관계를 찾고 문제를 예측한다. 계획 단계에서는 지식과 비판적 기술을 이용해 타당성 있는 일반화와 설명 및 예측을 하며, 수행 단계에서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가지고 간호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재사정하고 간호 수행을 수정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 간호사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사용해 근거에 준하여 수행 결과를 평가한다.
이처럼 간호과정의 모든 단계에 걸쳐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며, 비판적 사고의 적용을 통해 간호과정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간호과정은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최소화하며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3. 간호과정 단계별 비판적 사고
첫 번째로, 사정 단계에서 간호사는 건강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 조직, 검토, 기록하며, 탐색을 통해 기존의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해 확보된 자료의 상호관련성과 중요도를 파악하고 주어진 틀에 따라 자료를 구분하고 가정을 인지하며, 자료의 출처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들을 특성별로 범주화한 후 누락된 자료를 보완한다. 이때, 간호사는 적절한 비판적 사고와 지식을 사용해 어떤 사정을 할 것인가, 얼마나 많은 양의 정보가 필요한가, 이 정보가 어디에 있으며 그 정보를 어떻게 구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또한, 간호사는 신뢰할 만한 관찰을 하고 적절하고 중요한 정보와 부적절하고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분할 줄 알며 정보가 누락되었을 때 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비판적 사고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성하고 조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표준화된 간호 진단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현재 건강 문제와 관련 요인을 진술하는 진단단계에서 간호사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사용해 의미 있는 자료 간의 유형과 관계를 찾고 문제를 예측하고 문제와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해 추론, 가설설정, 분석, 통합, 문제해결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간호 진단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가 충분한지 살피고 섣부른 판단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최선의 판단을 위하여 간호사는 자신의 간호 진단 결정 과정의 적절성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로, 계획단계는 결과에 대한 계획과 중재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