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토피 피부염이란 무엇인가?
1.1. 아토피 피부염의 정의
아토피 피부염은 아토피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부질환이며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으로 인해 피부 가장 바깥에 있는 피부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건조한 가을에 봄철 못지않게 심해지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가 심한 아이는 온몸이 가려움과 진물로 잠을 못 이루고 이 때문에 부모도 함께 고통을 받는 질환이며,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1.2. 아토피 피부염의 특징
아토피 피부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특히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앉는 급성 병변이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난다. 이처럼 아토피 피부염은 영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지속되며,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2.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원인
2.1. 유전적 요인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에 있어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유전적 요인과 관련하여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자 변이로 인한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에게서 피부 보호막인 각질층의 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유전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섬维芽细胞分化抑制因子(Filaggrin) 유전자의 변이가 아토피 피부염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ilaggrin은 피부 각질층 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질로, 이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되면 수분 손실이 증가하고 알레르기 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중 한 명이 아토피 피부염인 경우 자녀의 발병 위험은 약 70% 정도이며, 양 부모 모두 아토피 피부염인 경우 발병 위험은 80%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높은 가족력은 유전적 요인이 질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유전자는 단일 유전자가 아닌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다인자 유전 질환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즉, 섬유화 관련 유전자, 면역 관련 유전자, 피부 장벽 관련 유전자 등 다양한 유전자의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유전적 복잡성으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의 정확한 발병 기전을 밝히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종합해보면,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요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질환이며, 특히 섬유화 관련 유전자 변이로 인한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이 핵심적인 발병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전적 특성으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은 가족력이 매우 강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2. 환경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과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 식품첨가물 사용 증가, 서구화된 주거 형태 등이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이다.
첫째, 산업화로 인한 대기오염이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과 악화에 기여한다. 공장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각종 화학물질 등이 증가하면서 이런 물질들이 공기 중에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대기 오염 물질들은 피부를 자극하고 염증을 유발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둘째, 식품첨가물 사용이 증가하면서 식품 알레르기의 위험이 높아졌다. 인공 합성 첨가물, 방부제, 향료 등이 다양한 가공식품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섭취하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식품 알레르기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될 수 있다.
셋째, 서구화된 주거 환경 또한 아토피 피부염 발병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밀집 주거와 난방 사용이 증가하면서 실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