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근 글로벌 기업의 STP 전략 성공 및 실패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삼성전자의 해외 진출 전략
2.1. 삼성전자 소개 및 해외진출 개요
2.2. 지역별 시장 공략
2.2.1. 북미 및 유럽시장
2.2.2. 일본시장
2.2.3. 인도시장
2.2.4. 중국 시장
2.2.5. 방글라데시 시장
3. 락앤락의 베트남 진출 전략
3.1. 락앤락 소개
3.2. 성공요인
3.3. 마케팅 전략
3.3.1. 대중 전략
3.3.2. 프리미엄 전략
4.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시 고려해야 할 마케팅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992년에 시작된 한중 수교는 많은 한국기업으로 하여금 중국에 투자하게 했고 거기에는 성공하는 기업도, 실패하는 기업도 존재했다. 삼성전자 또한 중국시장에 진출했는데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삼성그룹의 경우 1992년부터 정식적인 중국투자를 함으로써 해외진출을 시작했다. 대부분의 삼성전자 제품이 중국시장에서 고가 전략을 통해 판매되었는데 이 또한 철저한 현지에 대한 문화와 경제, 사회에 대한 현지화의 결과이다.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시 해외진출 방식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해외 단독투자를 할 것인지 해외 합자투자를 할 것인지 효과적인 진출방식에 대한 선택이 필수적이다. 초창기 삼성 핸드폰의 진출 또한 중국 시장에서 2위 브랜드를 자리잡았고 후발 진출 기업임에도 짧은 기간 안에 큰 성공을 이뤘다. 시대에 따라 삼성전자는 해외진출에 있어 진출 국가별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다른 전략을 활용했다. 2020년 전후에 이르러서는 반조립 형태를 통한 실속형 진출 전략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며 개도국에 진출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다시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가 역사적으로 단계별 추진한 해외진출은 삼성의 창업자 고 이병철 회장이 우리나라가 특징적으로 부존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착안해 국내에서 이례적으로 다각적인 해외진출의 적극적 시도와 해외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통해 오늘날 세계시장에서의 생존과 리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2. 삼성전자의 해외 진출 전략
2.1. 삼성전자 소개 및 해외진출 개요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해외 9개 총괄 등 128개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회사로 구성된 대표적인 전자기업이다. 삼성그룹의 전자제품, 통신기기, 반도체 제조업체로, 1969년 삼성전자공업(주)으로 설립되었고, 1984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자 기업이며, 삼성그룹 내에서도 가장 규모가 거대한 기업이다.
삼성전자는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한다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은 크게 완제품 분야와 부품 분야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타 부대사업을 합하여 2018년 총 매출액은 243조 7,714억 1,500만원을 기록하였다.
삼성전자의 해외진출은 1978년 미국 진출을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처음에는 TV 등의 제품 판매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반도체,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 갤럭시 시리즈를 앞세워 글로벌 1위 기업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2.2. 지역별 시장 공략
2.2.1. 북미 및 유럽시장
삼성전자는 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북미 시장의 경우 TV로 100일 체험 프로모션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소비자들의 구매 문턱을 낮추고 있다. 특히 폴더블폰에서 폼팩터 모양으로의 혁신을 모색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는 북미 소비자들이 제품 구입 후 교환과 반품에 익숙하다는 점을 고려한 전략이다. 또한 유럽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놓치지 않고 있으며,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시장을 사수하고 있다. 이처럼 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제품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현지 소비자의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2.2.2. 일본시장
일본시장에 있어서 삼성전자는 2015년...
참고 자료
조일훈. 2013, 「이건희 개혁 20년 또 다른 도전」, 김영사
김병완, 2013, 「왜 결국 삼성전자인가」, 브레인 스토어
이채윤, 2011, 「삼성전자 3.0 이야기」, 북오션
김재범 외3명, 2012, 「삼성은 지갑 속에 살고, 애플은 마음속에 산다」, 지식공간
노순규, 2013, 「삼성전자의 조직과 전략」, 한국기업경영연구원
더글라스 홀트, 더글라스 캐머런, 2012, 「컬트가 되라」, 지식노마드
안광호, 2008,「전략적 브랜드관리」, 학현사
조일훈, 2013 「이건희 개혁 20년 또 다른 도전」
조선비즈, ‘삼성 휴대폰 독주 비결은 막강한 ‘생산능력’ ‘, 2013.08.29
매일경제, ‘[삼성 vs 애플 소송 풀스토리]삼성전자 ‘카피캣’ 오명 벗나’, 2013.06.24
매일경제, ‘삼성 갤럭시S4 美서 질주…컨슈머리포트 평가 1위로’, 2013.05.19
Etnnews, ‘국내 스마트폰 선호도, 갤럭시 압도적 1위’, 2013.05.13
기업인수합병 김화진(대학교수), 송옥렬(대학교수) 저 | 박영사 | 2007.08.30.
중앙일보 2002.02.23. '다국적기업이란’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17
2007 IGE 삼성전자 GLOBAL BUSINESS FORUM 편집부 저 | 세계경제연구원 | 2008.01.31
경영전략 장세진(대학교수) 저 | 박영사 | 2020.08.30.
일요서울 2020.10.08 '해외 진출 가속화하는 한국기업들 - 락앤락'
[우보천리 ④ 락앤락] 세계 119국 진출… 베트남서 5년 연속 10대 브랜드 선정
다국적기업의 직접투자와 세계무역 박태하 저 | 숭실대학교출판부 | 200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