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재테크 상식
1.1.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MACD는 두 개의 지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이 차이가 양의 값을 가지면 강세 신호를, 음의 값을 가지면 약세 신호를 나타낸다.
MACD는 두 개의 지수 이동평균을 사용한다. 하나는 단기 지수 이동평균이고 다른 하나는 장기 지수 이동평균이다. 일반적으로 12일 지수 이동평균과 26일 지수 이동평균의 차이를 사용한다. 이 둘의 차이를 MACD라고 한다. 여기에 9일 지수 이동평균을 더해 시그널 라인을 만든다.
MACD가 양의 값을 갖고 상승하면 강세 신호를, 음의 값을 갖고 하락하면 약세 신호를 나타낸다. MACD 자체가 0을 기준으로 오르내리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를, 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MACD 히스토그램이 0을 기준으로 오르내리는 것도 중요한 지표가 된다.
MACD는 추세 변화를 감지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단기와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추세의 강약을 판단할 수 있다. MACD가 0을 중심으로 오르내리며 상승 추세라면 추세의 강도가 약한 것이고, MACD선이 양의 값을 유지하며 상승한다면 추세의 강도가 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MACD는 단순한 가격 변화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시장의 힘의 균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주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MACD가 하락한다면 매도세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MACD는 단순한 가격 데이터만으로는 알 수 없는 시장의 내부 역학관계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요약하면, MACD는 단기와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활용하여 시장 추세의 강도와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기술적 지표이다. 단순한 가격 변화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시장 내부의 힘의 균형을 MACD를 통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1.2. 선물거래와 선물매도 및 선물매수
선물거래와 선물매도 및 선물매수는 선물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방식이다. 선물거래란 현재의 가격이 아닌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사고파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선물매도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팔기로 약속하는 것이며, 선물매수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사기로 약속하는 것이다.
선물거래에는 다양한 장단점이 있다. 먼저 선물거래의 장점으로는 가격변동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는 점, 적은 자금으로 큰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점, 실물인도 없이 현금정산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레버리지 효과로 인한 손실 확대 가능성, 시장변동성 증가에 따른 위험성 증대, 현물시장과의 연계 부족 등이 있다.
선물매도의 경우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팔기로 약속함으로써 현재의 가격 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부가 배추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선물매도를 하면 연말에 당초 약정한 가격으로 배추를 팔 수 있게 된다. 선물매수의 경우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사기로 약속함으로써 현재의 가격 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인이 배추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선물매수를 하면 연말에 당초 약정한 가격으로 배추를 살 수 있게 된다.
농부와 상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선물거래는 가격변동 위험을 헤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농부는 선물매도를 통해 하락 위험을 관리할 수 있고, 상인은 선물매수를 통해 상승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이처럼 선물거래는 실물시장의 가격변동성을 완화하고 시장참여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1.3. P&F(Point and Figure) 차트
P&F(Point and Figure) 차트는 순수하게 가격 움직임만을 일정한 규칙에 의해 나타내는 차트이다. P&F 차트는 사소한 가격 움직임도 표시되지 않으며, O가 X로 바뀌거나 X가 O로 바뀌게 되는 기준을 최소반적폭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기준시점의 가격의 2~3% 수준을 한 칸의 간격으로 많이 이용한다. P&F 차트는 n x m과 같이 박스의 크기와 최소반적폭으로 표시하며, 보통 기준시점의 가격의 2~3% 수준을 한 칸의 간격으로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P&F 차트를 구성하면 순수하게 가격 움직임만을 일정한 규칙에 의해 나타낼 수 있게 된다.
1.4. 복수 이동평균 활용법
복수 이동평균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는 골든 크로스 상황에서는 매수하는 것이 옳다""이다. 이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서 가격 강세 추세가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므로, 이때 매수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이다.
반면에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돌파하는 데드 크로스 상황에서는 매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다. 이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면서 가격 약세 추세가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므로, 이때 매도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이다.
따라서 복수의 이동평균선을 함께 모니터링하고 그 움직임을 분석하면, 매매 타이밍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