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소와 장소상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소와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
1.1. 장소의 개념
1.2.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
1.3. 이 책의 목적과 접근 방법
2. 공간과 장소
2.1. 실용적 또는 원초적 공간
2.2. 지각 공간
2.3. 실존 공간
2.4. 건축 공간과 계획 공간
2.5. 인지 공간
2.6. 추상 공간
2.7. 다양한 공간 형태들 간의 관계
3. 부산의 근· 현대사적 장소의 관광 화와 장소의 의미 상실
3.1. 관광화가 되며 역사적 의미를 상실한 장소 - 감천문화마을
3.2. 관광 화는 되었으나 역사적 의미가 잘 알려지지 않은 장소 - 보수동 책방 골목
3.3. 역사적 의미는 남아 있으나 관광화가 되지 못한 장소 - 임시 수도 기념관, 비석문화마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소와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
1.1. 장소의 개념
장소는 일반적으로 공간과 구분되는 개념이다. 공간은 물리적인 "그 곳"을 의미하는 상식적인 개념으로, 상하·전후·좌우 3방향으로 퍼져 있는 빈 곳을 말한다. 하지만 장소는 인간에 의해 일정 기간 체험됨으로써 가치와 의미가 붙여진 특정 공간이다.
이지현은 장소를 "인간에 의해 일정기간 체험됨으로 해서 가치와 의미가 (place) 붙여진 특정 공간"이라고 정의하였다. 백선혜는 "장소는 특정한 공간적 규모로 존재하는 물리적 실체와 인간행위의 결과물이 인지되어 의미를 가지는 공간적 실체이며, 인간의 활동이 일어나는 맥락인 동시에 인간이 경험을 통해 의미를 부여하는 상징적 대상"이라고 하였다. 조성빈은 공간과 장소를 "공간은 아무것도 담지 않은 빈 그릇, 장소는 그 내용물이 담겨 있는 그릇"으로 비유하며, "빈 그릇에 어떤 내용물이 담겼을 때, 우리는 그릇에 담긴 내용물의 특별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공간이 정서적으로 다가와 장소가 되는 순간"이라고 하였다.
즉, 장소란 의미를 가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개념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의미와 가치가 부여된 특정한 곳을 의미한다. 이처럼 학자들마다 표현은 조금씩 다르지만, 장소란 인간 활동이 일어나는 맥락이자 인간이 경험을 통해 의미를 부여하는 상징적 대상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1.2.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는 인간의 경험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이다.
C. 반 파센은 "지리과학은 사실상 현상학에 기초를 두고 있다. 말하자면, 지리적 의식으로부터 유래한다는 것이다. 지리학자는 이러한 의식을 발전시켜서 사회에 지리를 더욱 많이 알리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리학의 발흥은 과학 이전의 소박한 지리적 의식의 존재에 의존하고 있다. ... 지리학자와 지리학은 지리적 감각이 있는 사회에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즉, 지리학은 개인과 사회가 가지고 있는 소박한 지리적 경험과 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켜 사회에 지리를 알리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데이비드 로웬탈은 "자신의 주변세계를 관찰하는 사람은 누구나 어느 정도는 지리학자"라고 말한다. 그는 직접경험, 기억, 환상, 현재상황, 미래 목표로 구성된 개인적인 지리에 기초한 지리학적 인식론을 전개시켰다. 공식적이고 학문적인 지리학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로 이런 사적 지리학이다.
이푸 투안은, 공식적인 지리학은 인간의 본성을 반영하고 드러내며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 속에 있는 질서와 의미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인간을 위한 거울이라고 했다.
에릭 다델은 과학적인 지리학에 앞서 인간과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 사이에는 심오한 관계, 즉 "인간의 존재와 숙명의 본연적 자세로서 인간의 지리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지리학을 주로 사물로 이루어진 지리적 실재에 대한, 그리고 채워지기를 기다라는 빈칸에 불과한 지리적 공간에 대한 지식을 다루는 학문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지리적 실재란 무엇보다도 누군가가 존재하는 장소이고 사람들이 기억하는 장소나 경관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처럼 지리학의 현상학적 기초는 인간의 직접적인 경험과 의식에 근거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지리학 지식이 생활 세계와 유리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이다.
1.3. 이 책의 목적과 접근 방법
이 책의 목적은 장소를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생활세계 지리학의 한 현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장소가 경험이나 생활 세계의 의식 속에서 표출되는 다양한 방식, 그리고 경관 속에 표현된 장소와 무장소의 독특하고 본질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접근한다. 현상학적 방법은 인간 경험의 총체성과 불가분성, 그리고 인간의 의도에 의해 정의된 의미가 우리 실존의 중심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임으로써 시작된다. 따라서 생활 세계와 생활세계의 지리는 반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심오한 인간성과 의미 깊은 것으로 간주되며, 장소는 그 특성이나 형태에 관하여 가능한 한 예단을 하지 않아야 접근할 수 있다. 장소가 가지는 의미와 정체성의 범위는 인간이 장소를 인식하는 범위만큼이나 넓기 때문이다.
2. 공간과 장소
2.1. 실용적 또는 원초적 공간
원초적 공간은 우리가 항상 별 생각 없이 행동하고 움직이는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행위의 공간이다. 그것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
참고 자료
<<장소와 장소상실>> 에드워드 렐프 지음,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논형, 2005
<<장소와 장소상실>> 에드워드 렐프 지음,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논형, 2005
김건희,「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mage for Establishing the City Identity : focused on the case in Seoul」,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도시공학과 , 2016. 2
김용규, 오늘의 문예비평, 「 지역의 국민화와 근대 부산의 정신분석 」, 2003. 12.
이성재,「보수동 헌책방골목의 장소성을 고려한 활성화 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Bosu-dong book street considering placeness」, 학위논문 (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2016. 08
이수진 「 부산원도심 공간생산의 가능성 : 조절하는 공동체의 관점에서 = Forwards Spacial Production of Busan Inner City 」, 학위논문(박사) - 경성대학교 : 문화기획ㆍ행정ㆍ이론학과, 2016. 2
이종욱, 『 지역문화의 글로컬라이제이션에 관한 연구 : 「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3」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localization of Local Culture : With Examples From「ISTANBUL-GYEONGJU WORLD CULTURE EXPO 2013 」』,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 예술 행정학과 예술 행정학과, 2016. 8
이준엽,「고용형태가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 on social exclusion」,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2. 2
이지현, 「 한국 신도시 조경설계에서 나타나는 장소상실에 대한 연구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4. 2
이형관,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도시 장소 상실과 기억의 재생산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2017. 2,
정윤선 , 「 도시이미지 형성요인간의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tructure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City Image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ed on Teheranno 」 ,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대학원 : 도시계획과, 2011. 8
정희영,「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의 주거 공간 발생 및 변화과정」,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2015. 08
최용석, 「 도시재생사업에서 문화예술요소가 지역이미지 및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Factors of Cultural Ar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Regional Images and Resident Satisfaction 」,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예술경영 2017. 8
홍종열, 「유럽연합(EU)의 문화정책 연구 :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학위논문(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 20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