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기개발휴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적자원 유지와 활용
1.1. 배치와 이동
1.1.1. 배치·이동의 의의
1.1.2. 배치·이동의 목적
1.2. 휴직과 이직
1.3. 징계
2. 공공기관의 육아휴직 제도
2.1. 육아휴직 제도의 개념
2.2. 육아휴직 제도의 현황
2.2.1. 육아휴직 제도
2.2.2. 육아휴직 수당
2.2.3. 육아휴직자의 결원 보충
2.3. 공공기관 육아휴직 활용 실태와 문제점, 개선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적자원 유지와 활용
1.1. 배치와 이동
1.1.1. 배치·이동의 의의
각 직무에 종업원을 배속시키는 것을 배치(Placement)라고 하고, 일단 배치된 종업원을 필요에 따라서 현재의 직무에서 다른 직무로 바꾸어 재배치하는 것을 이동(전직, transfer)이라고 말한다. 승진과 전직, 그리고 휴직과 이직 등의 인사이동은 내부 인력자원의 보충과 조정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따른 상벌(賞罰)결정과 동기부여, 그리고 인력개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1.1.2. 배치·이동의 목적
기업에서 종업원의 배치와 이동은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이는 작업능률과 종업원의 사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배치·이동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이동에 의하여 잘못된 종업원의 배치(적재적소에 위반된 배치)를 시정하여 고용한 인적능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함이다. 둘째, 후계자를 양성하여 다음 대의 각 지능 계층에 대한 적격자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셋째, 인사이동에 의하여 종업원 상호간의 불화를 시정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연령이나 건강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넷째, 본인에게 새로운 직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실력향상을 하게 한다. 다섯째, 종업원을 동일한 직위에 오래 정착화하지 않게끔 하여 그들이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근무의욕을 쇄신하는 데 있다.
1.2. 휴직과 이직
인사이동의 또 한 가지 형태는 휴직과 이직이다. 휴직(lay-off)은 일시적 또는 무기간 동안의 고용단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시적 해고라고도 불리운다. 회사의 상황에 따라서 다시 고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해고와는 다르다. 이직(separation)은 고용관계의 영구적인 단절을 말하며, 사직과 퇴직, 그리고 해고의 여러 형태를 포함한다. 회사에서 종업원의 배치와 이동은 신중하게 처리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능률과 종업원의 사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휴직과 이직 또한 인사이동의 한 형태로서 종업원의 입장과 회사의 입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3. 징계
회사나 공장의 규칙을 작성하는 데 주의할 것은, 먼저 종업원이 자발적으로 범칙(犯則)하지 않고 자기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하고 범칙을 하거나 자기 임무를 소홀히 하였을 때에 이것을 적절히 처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회사나 공장의 규칙이나 각 직무의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야 ...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데일리메디, 2021.4.5. 출산율 최저... 2020년 사상 첫 ‘인구 데드크로스’ 진입
세계일보, 김동환, 2020.4.17. 출산하지 않는 이유.. 미혼·기혼, 경제적 불안정 최다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6. 임은정, 육아휴직 제도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포항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방행정연구, 2005, 금창호, 이세진, 여성 공무원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의 확보방안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국가공무원법,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연합뉴스, 전명훈, 2016.7.12. 육아휴직 사용률... 공무원 75%, 회사원 35%
베이비타임즈, 김은교, 2021.2.23. 남성육아휴직 지속 증가.. 공무원 사용률, 민간보다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