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Why 스포츠과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육학의 개념과 진로
1.1. 체육학의 개념
1.1.1. 체육학의 정의
1.1.2. 체육학의 발전 과정
1.2. 체육학 전공자의 진로
1.2.1. 기업 및 산업체
1.2.2. 학계 및 연구기관
1.2.3. 정부 및 공공기관
1.2.4. 스포츠 관련 직업
2. 수영과 건강
2.1. 정신건강: 평온과 안정
2.2. 저충격 운동
2.3. 근력 강화
2.4. 심폐 강화
3. 직장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3.1. 직장체육의 현황 및 문제점
3.2. 직장체육의 필요성
3.3. 정책 방안의 내용
3.3.1. 체육시설 설치 및 운영
3.3.2.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3.3.3. 체육지도자의 배치 및 활용
3.3.4. 동호인 클럽 육성 및 지원
3.3.5. 과학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3.3.6. 안정적 재정 확보
3.4. 정책 추진방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육학의 개념과 진로
1.1. 체육학의 개념
1.1.1. 체육학의 정의
체육학은 신체활동 혹은 인간움직임에 대한 근원과 과정을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신체활동을 스포츠라고 한정할 때 스포츠 현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객관적이고 타당한 진리의 탐구가 체육학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체육학은 인간의 신체적 움직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실천적 측면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1.2. 체육학의 발전 과정
우리나라의 체육학은 1894년에 설립된 한성사범학교가 후일 경성사범학교로, 1914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의 사범과가 후일 경성여자사범학교로 개편되면서 학교에서 각급 학교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속에 체육과를 포함시켜 체육과 교육으로 도입되었다. 그 후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의 발족과 더불어 두 학교를 통합시켜 사범대학으로 개편하면서 체육과 전문 교과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으며, 이를 효시로 사범대학 체육과가 생성되어 전문 교과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 동안 사범대학 체육과에서 양성교육 과정 속에 운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해가 요구되는 특성상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학부에 속하였으며 따라서 이학사(理學士)의 학위를 취득하게 되었다. 그 후 여러 대학의 체육학 또는 체육교육학의 박사과정이 설치되며 체육학의 위치를 더 굳게 다지게 되었다.
1.2. 체육학 전공자의 진로
1.2.1. 기업 및 산업체
기업 및 산업체에 진출할 수 있는 체육학 전공자의 진로는 다양하다. 우선 사회체육단체와 스포츠센터 등에서 근무할 수 있다. 사회체육단체는 각종 체육활동, 이벤트,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스포츠센터에서는 회원들의 건강관리와 운동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일을 수행한다.
또한 병원이나 의료기관의 운동처방센터에도 진출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질환자나 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 개선을 위한 맞춤형 운동을 처방하고 지도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적 지식과 운동 처방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기업의 실업 운동팀 및 프로스포츠 구단 등에서도 체육학 전공자의 활동 기회가 있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 지도, 건강관리, 경기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포츠 종목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이처럼 체육학을 전공한 이들은 다양한 기업 및 산업체에서 활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며 동시에 직장체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직장인들의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체육학 전공자들의 주요 역할이 될 것이다.
1.2.2. 학계 및 연구기관
학계 및 연구기관 분야에서는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등 스포츠 관련 연구기관이나 대학교에서 진로를 이어나갈 수 있다. 대학교에서는 체육학과나 체육교육학과, 스포츠과학과 등에서 교수로 활동할 수 있으며, 연구기관에서는 스포츠 정책 및 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에서는 스포츠 선수 및 지도자, 스포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학술연구와 정책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대학교에서는 체육학 및 스포츠과학 분야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등 학문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처럼 체육학을 전공한 전문가들이 학계와 연구기관에서 활동하며, 체육학의 발전과 스포츠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1.2.3. 정부 및 공공기관
정부 및 공공기관 분야에서는 국제연맹 및 산하단체, 국제기구 체육관련 실무직, 국공립 기관 체육 행정직, 중/고등학교 교사로 진출할 수 있다. 국제연맹 및 산하단체에서는 국제기구 및 국제연맹의 체육진흥 및 행정 실무를 담당하게 되며, 국제기구 체육관련 실무직에서는 국제기구의 체육 및 스포츠 관련 행정과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국공립 기관 체육 행정직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체육 관련 정책 수립과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공무원 직종이다. 중/고등학교 교사로는 체육교과 교육과 학교 체육활동을 지도하게 된다"."
1.2.4. 스포츠 관련 직업
체육학을 전공한 학생들은 다양한 스포츠 관련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 스포츠기록분석 연구원은 선수와 팀, 그 외 스포츠 경기에 관련된 전반적인 부분을 관찰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경기력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직업이다. 이 직업이 되기 위해서는 스포츠기록분석학과 등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면 스포츠 경기력 분석가로 활동하기 유리하다.
야외활동지도사는 스포츠와 레저, 자연보호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야외활동을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과 전문기술을 지도하고 기획 또는 연출하는 일을 수행하는 직업이다. 이 직업이 되려면 관련 학과를 졸업하여 교육과정을 마치게 되면 각 협회에서 실시하는 야외활동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스포츠카운슬러는 스포츠 활동에 부적응 문제를 겪는 사람을 직접 면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 스포츠 능력을 강화하거나 스포츠 선수들이 정서적 불안을 제거하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직업이다. 스포츠카운슬러가 되기 위해서는 심리학이나 상담관련 전공을 하거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상담 경험을 쌓게되면 도...
참고 자료
[현대체육학연구법-제3전정판] 위성식, 김차용, 김진욱 공저
[체육학연구법] 김종택, 권영옥, 김설향, 조기정, 이기봉 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체육학(體育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916
커리어넷
https://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do?SEQ=552
스포츠 관련직업
https://m.blog.naver.com/likemilk/221487104435
야외활동지도사
https://m.blog.naver.com/likemilk/221487614822
Amy Roberts (2014), “How Cardio Can Build Strenth”, Women’sHealth
Armour J (1993), “The large lungs of elite swimmers: an increased alveolar number?”, PubMed
Harvey Simon (n.d.), “Exercise's Effects on Bones and Muscles”, The New York Times
If a person's lung size cannot increase, how does exercise serve to improve lung function? (n.d.). Retrieved July 25, 2017, from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if-a-persons-lung-size-ca/
James Cave (2014), “5 Scientific Reasons A Beach Vacation Is Necessary For Your Health”, HUFFPOST
Landess Kearns (2016), “Why Swimming Is The Best Exercise Ever”, Huffingtonpost
Wallace J. Nichols (2014), “Blue Mind: The Surprising Science That Shows How Being Near, In , On, Or Under Water Can Make You Happier, Healthier, More Connected, And Better At What You Do”, Little, Brown and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