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지도자의역할에 대해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1.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
1.2.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1.2.1.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역할
1.2.2. 지도영역에서의 역할
1.2.3. 상담자로서의 역할
1.2.4. 지도자로서의 역할
1.3. 시사점
2. 청소년지도의 개념과 원리
2.1. 청소년지도의 개념
2.2. 청소년지도의 특징
2.3. 청소년지도방법론의 이론적 기초
2.3.1. 경험학습이론
2.3.2. 구성주의이론
2.4. 청소년지도방법론
3. 바람직한 청소년지도자의 자질과 역할
3.1. 이해와 공감
3.2. 긍정적인 영향력
3.3.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3.4. 개인적인 성장 지원
3.5. 문제 해결과 자기주도성 육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1.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
청소년지도자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청소년기본법에 따르면 "청소년지도자란 청소년지도사 및 청소년상담사와 청소년시설·청소년단체·청소년관련기관 등에서 청소년 육성 및 지도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청소년지도자에는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상담사는 물론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청소년 육성 및 지도 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이 포함된다.
청소년기는 성격발달 단계 중 자아정체성의 확립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주변 인물의 역할이 강조된다. 과거에는 부모나 교사가 청소년의 주요 역할모델이었지만, 최근 사회 변화로 인해 이러한 전통적인 역할모델이 약화되어 왔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성인 역할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책임지고 지도하며, 다양한 활동과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며, 자립과 사회참여를 돕는 등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1.2.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1.2.1.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역할
청소년지도자의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기본법 제3조 7항에 따르면 "청소년지도자란 제21조의 규정에 의한 청소년지도사 및 제22조의 규정에 의한 청소년상담사와 청소년 시설ㆍ청소년 단체ㆍ청소년 관련 기관 등에서 청소년 육성 및 지도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말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상담사, 그리고 청소년 시설·단체·관련기관에서 청소년 지도업무에 종사하는 자들이 청소년지도자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본법 제3조 2항에서는 "청소년육성이라 함은 청소년 활동을 지원하고, 청소년의 복지를 증진하며, 사회여건과 환경을 청소년에게 유익하도록 개선하고 청소년을 보호하여 청소년에 대한 교육을 보완함으로써 성장을 돕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은 ① 청소년 사업가(youth worker)로서의 역할, ② 청소년 수련활동 지원자로서의 역할, ③ 청소년 교류 촉진자로서의 역할, ④ 청소년 유익환경 조성자로서의 역할, ⑤ 청소년의 잠재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자로서의 역할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청소년지도자는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청소년지도자의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1.2.2. 지도영역에서의 역할
함병수는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을 조직자로서의 역할, 정향자로서의 역할, 교사로서의 역할, 활동모델로서의 역할, 동반자로서의 역할, 정신적 지주자로서의 역할, 환경조성자로서의 역할, 가정ㆍ학교ㆍ사회와의 교량역할 등으로 제시하였다""권일남(1998)은 청소년 지도의 기본원리 즉, 개별성, 자율성, 창의성, 다양성에 기초하여 지도자의 역할을 전문가(professional)로서의 역할,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 비판적 분석가(criticalanalyst)로서의 역할, 예술가(artist)로서의 역할, 교육자(educator)로서의 역할, 변화촉진자(change agent)로서의 역할, 취업 및 사회생활의 적응을 위한 상담자(counselor)로서의 역할 등으로 제시하였다""
1.2.3. 상담자로서의 역할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가장 큰 어려움 중에 하나는 이론적 학술적인 자원이 부족하다. 청소년기의 심리 및 신체적인 특성에 대한 이론들은 많지만 그에 비해 상담에서 그 이론들을 실제에 적용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며 청소년에게 적용되고 있는 모든 상담이론이나 기법은 대부분 성인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고안되어 있다. 청소년기는 예방과 개입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타 연령대에 비해 내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가정 적다. 청소년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들의 성장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청소년 상담영역이 필요하다.
청소년상담현장에서는 상담실에 와서 앉아 있는 사람과 바로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 다른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상담실에 와서 상담자를 만나는 청소년은 별로 변화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거나 변화를 거부하는데, 그 청소년의 가족이나 교사는 '이 아이가 문제라서 아이가 변해야한다'고 느껴서 청소년을 상담실에 보내거나 강제적으로 상담실에 데려오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상담실에 '끌려온'것이나 마찬가지인 청소년은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기 전까지는 '내담자'라고 보기가 어렵다.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상담에 대한 '비자발성'이다. 청소년들은 학교 상담실이나 사회상담기관에 스스로 문을 두드리기보다 ""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들과의 신뢰 관계를 중요시해야 한다. 신뢰 관계가 형성되면 청소년들은 솔직하게 자신의 어려움과 꿈을 나눌 수 있으며, 지도자의 영향력도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지도자는 항상 열린 마음과 존중하는 태도로 청소년들을 대해야 한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수용하면서, 그들이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독립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 자신 스스로가 문제를 인지하고, ...
참고 자료
여성가족부 (2011).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권일남 외(2009). 청소년활동지도론. 학지사.
성열준 외(2009). 청소년지도방법론. 양서원.
김진화(2001).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적 전문성과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박진실, 「청소년 활동 진흥법」, 유페이퍼, 2019
임동호, 「청소년 육성 제도론」, 지식공동체, 2019
박진규, 「청소년문화」, 학지사, 2003
진은설, 「청소년지도방법론」, 학지사, 2020
존 휘트모어, 「코칭 리더십」, 김영사, 2019
이성흠 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13
최옥채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8
김영봉, 「신교육학개론」, 서현사, 2008
오치선 외, 「청소년지도방법론」, 학지사, .2000
김정열, 「청소년지도방법론」, 공동체, 2015
김동위(1994). 청소년의 인간화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남정걸(1998). 사회교육행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박진규(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이춘재 등(1998).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김흥규(1994). 인간행동의 이해. 서울: 양서원
한상철(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한상철, 임영식(2000). 청소년심리의 이해. 서울: 학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구성주의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2006. 11. 5., 구인환)
[네이버 지식백과] 경험학습이론 [經驗學習理論,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HRD 용어사전, 2010. 9. 6., (사)한국기업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