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매노인에게필요한보조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치매 노인을 위한 서비스
1.1. 치매 노인의 욕구
1.2. 치매 노인의 특징
1.3. 치매 노인을 위한 필요한 서비스
1.3.1. 치매 노인 및 가족에 대한 의식 개선과 권리 교육
1.3.2. 치매 노인의 자율성과 독립성 보장을 위한 체계적 행동지침 마련
1.3.3. 치매 노인 부양가족 및 종사자에 대한 복지 서비스 제공
2. 치매 노인 케어 기술
2.1. 치매 증상
2.2. 치매 케어 기술 방법
2.2.1. 인지재활
2.2.2. 일상생활 지원
2.2.3. 의약품 치료
2.3. 치매 케어 기술 방법의 적용 사례 및 효과
3. 고령친화산업
3.1. 고령친화산업의 개념
3.2.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및 전략품목
3.3.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의견
3.3.1. 고령친화의료산업의 공공성 강화
3.3.2. 예방의료산업분야의 확대
3.3.3. 고령친화사회로의 전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치매 노인을 위한 서비스
1.1. 치매 노인의 욕구
치매 노인의 욕구는 신체적으로 다양한 활동 및 관계를 맺길 원하는 것이다. 또한 치매 노인은 혼자서는 이동이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활동을 보조해주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치매 노인들은 여러 가지 뇌 기능상의 문제가 있어 언제든지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며 환경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줄 보호자가 필요하다. 또한 치매 노인의 특성상 배회하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돌발적인 행동과 상황을 감시할 대상자를 필요로 한다. 또한 치매의 특성상 수준에 따라 기능이 점점 퇴화된다는 점에서 경도 치매 노인들의 경우에는 일반 노인과 비슷하게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치매 노인에 대해 경시하거나 선입견을 갖고 대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의식 수준이나 능력, 기능 등을 확인할 수 없고 섣부른 판단으로 인해 환자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도록 제한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치매 노인의 인간적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므로 치매 노인도 존중에 대한 욕구가 있으며 자신의 이익을 보장받을 권리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치매 노인의 특징
치매 노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치매 환자들은 기본적으로 인지 기능상에 장애가 발생해 독립적인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처음에는 단순히 기억장애로 시작되었다가 점점 언어장애, 시공간능력 저하, 성격변화 및 이상행동을 보이며 증상이 악화된다. 말기에는 주로 심리적으로 집착적이거나 불안하고 우울한 모습, 의심, 망상 등을 보이기도 한다.
치매 환자들은 경제적인 활동도 할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일반적인 노인들과는 사뭇 다른데 일반 노인들은 자신의 의지나 능력, 욕구, 상황 등에 따라 얼마든지 경제 활동 및 사교활동을 펼칠 수 있다. 반면 치매 환자들은 삶의 모든 면에서 자기 결정권을 상실했다.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거나 집안일을 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어딘가로 이동하는 데에도 문제가 생기며 기능 및 능력 저하로 점점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일반 노인들에 비해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의 범위가 매우 축소되고 치매로 인해 인지 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정신적 증상과 공격적인 성격, 행동들이 나올 수 있어 대인관계 또한 쉽지 않다. 또한 불면증을 호소하고 배회하는 등의 돌발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들은 부양자의 어려움을 더한다.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타인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혼자 힘으로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조차 힘들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1.3. 치매 노인을 위한 필요한 서비스
1.3.1. 치매 노인 및 가족에 대한 의식 개선과 권리 교육
치매 노인 및 가족에 대한 의식 개선과 권리 교육이 필요하다.
치매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로 인해 치매 노인의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 치매 노인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치매 노인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 노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치매 노인 및 가족에 대한 의식 개선을 위해서는 치매 질환과 증상에 대한 교육, 치매 노인의 인격과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치매 노인의 권리와 가족의 역할, 지원체계 등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가족들의 경우 치매 노인을 부양하면서 겪는 어려움이 크므로, 가족들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치매 노인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치매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
참고 자료
강현욱, 장기요양시설 거주 치매 노인의 욕구: 대상자와 간호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 19권 1호, 2018, pp.261~267.
치매노인 돌봄 부담에 부양자 4명 중 1명은 실직, 디멘시아 뉴스, 2019.12.05.확인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9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 치매, 메디칼업저버, 2019.12.05.확인.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49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산업 시장동향, 2015.
김수영 외, 실버산업의 이해, 학지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