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림생태계가 지구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특징
2.1. 지구온난화의 정의 및 원인
2.2. 지구온난화의 현황과 특징
3. 지구온난화가 숲에 미치는 영향
3.1. 생물계절반응의 변화
3.2. 사막화
3.3. 생물다양성의 변화
3.4. 혼효림의 증가
3.5. 토지황폐화
3.6. 식생대의 변화
3.7. 산림생태계 기능 변화
4. 지구온난화에 대한 산림 대응 전략
4.1. 도시 숲 조성 전략
4.2. 산림 복원 전략
4.3. 자연생태계 보전 전략
4.4. 지구 온난화 방지 대책과 연계한 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온난화의 주요원인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나무와 토양에 탄소를 저장하며, 이렇게 저장된 탄소는 다시 식물의 호흡이나 유기물의 분해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식물은 에너지 흐름과 관련 있는 물의 이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지구의 산림 면적은 육지 면적의 약 1/3이지만, 산림은 지구 전체광합성의 2/3가량을 담당하며, 육상생태계 탄소의 80%와 토양 내에 있는 탄소의 40%를 보유하고 있다. 비록 나무에 저장된 탄소량이 해양과 대륙에 비해 많은 양은 아니지만, 대기와의 교환양이 매우 크고,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듯 산림은 온실가스를 흡수, 저장하고 다시 배출하는 과정으로 지구기후시스템에 영향을 주며, 동시에 지구의 물순환 과정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분배에 영향을 미쳐, 결국 지구의 기후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변화하는 지구의 기후에 의해 산림생태계가 영향을 받음으로써 이와 같은 과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2.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특징
2.1. 지구온난화의 정의 및 원인
지구온난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 현상을 의미한다. 온실가스는 태양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표면으로 재방출함으로써 온실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주요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증기(H2O) 등이 있다.
이 중 이산화탄소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가장 크게 증가한 온실가스이다.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 삼림 파괴 등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1750년 산업혁명 이전에는 280ppm 수준이었던 이산화탄소 농도가 2013년 기준 400ppm을 넘어섰다. 또한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농업, 축산업, 폐기물 매립 등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다. 지난 100년(1906-2005년) 동안 지구 평균기온은 0.74℃ 상승했고, 특히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의 기온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될 경우 이번 세기 말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최대 6.4℃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2. 지구온난화의 현황과 특징
지구온난화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난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1.7도 상승하여 세계 평균(0.74도)보다 크게 상회하였다. 또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19% 증가하였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한 반면, 강우강도는 18% 증가하였다. 이렇게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이상기후 현상과 산림생태계 교란이 우리나라 산림에 심각한 위협요인으로 등장한 것이다. 산림은 기후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나, 그 적응속도보다 기후대 이동속도가 더 빨라서 멸종위기종이 증가하고 산림생물다양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렇게 산림생태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에 무너져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대기오염이란 자연 그대로 정상적인 대기가 폐가스와 매진 등의 공기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말한다. 공해가 환경이 오염된 상태를 의미한다면, 오염은 오염원으로 인하여 인간 및 동식물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옥외의 대기에 인위적·자연적으로 방출된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존재함으로써 대기의 성분 상태가 변화하고, 그 질이 악화되어 인간과 동식물의 생활 활동에 나쁜 영향을 줄 때 대기가 오염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대기오염은 산림생태계에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다.
즉,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 강수량 및 강도 변화, 그리고 대기오염 악화 등이 산림생태계의 현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생물계절반응의 변화, 사막화, 생물다양성 감소, 혼효림 증가, 토지 황폐화, 식생대 변화, 산림생태계 기능 변화 등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3. 지구온난화가 숲에 미치는 영향
3.1. 생물계절반응의 변화
지구온난화는 관속식물의 개화·개엽, 단풍 및 결실시기, 곤충의 출현시기와 같은 생물계절반응(Phenological response)의 변화를 초래한다. 식물의 분포지 변화로는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의 온...
참고 자료
이나연,"육상생태계의탄소순환:산림의순생태계생산량",국립공원관리공단,2010년,163-168쪽
유제민, 해양미생물이 해양물질순환에 미치는 영향 규명, [대학저널], 2016.7.4.
조석장, 남극 해양 물질의 순환과정 규명, [파이낸셜뉴스],2019.2.27.
변종철, 지구답게 가꾸는 탄소순환, [제주신보] , 2018.11.28
"탄소순환",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2191&cid=40942&categoryId=32334,(2019.3.18.)
"해양의탄소순환",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85022&cid=64516&categoryId=64516,(2019.3.18)
환경기후환경네트워크, "환경용어사전-탄소순환",
https://blog.naver.com/greenstartkr/221537400666,(2019.3.18)
한국지질자연연구원,"바다에서 형성된 탄산염암",
https://www.kigam.re.kr/gallery.es?mid=a10703020000&bid=0004&act=view&list_no=1785,(2019.3.18)
사이언스타임즈,"광합성과 지구생태계의 관계",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A7%80%EA%B5%AC-%EC%83%9D%EB%AA%85%EC%9D%84-%EC%A7%80%EC%BC%9C%EC%A3%BC%EB%8A%94-%EA%B4%91%ED%95%A9%EC%84%B1/,(2019.3.19.)
한국과학기자협회,"오징어, 바닷속 먹이그물뿐 아니라 탄소순환에도 기여“,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575164&memberNo=36405506&vType=VERTICAL, (2019.3.19.)
마크마슬린, “기후변화의 정치경제학”, 한겨례지식문고, 2011
최재천외, “기후변화 교과서”, 도요새, 2011
레이먼드피스먼외외, “이코노믹 갱스터”, 비즈니스맵, 2010
이은옥, “지구온난화를 통해 본 환경위기와 기독교적 대안”, 총신대, 2012
이정득, “기후변화협약이 한국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2004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이상기온에 시달리는 나무들 생태계 적색신호”, 2015
산림청, “산림분야 기후변화 적응 시행계획”, 2011
산림청, “산림토양 산성화 여전히 심각, 수목 스트레스도 커”, 2010
숲과 삶 / 박미호 외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
삼림환경보전학 / 강전유 외 공저 / 향문사 / 1997.
21세기 환경과학 / 김기은 외 공저 / 아카데미서적 / 2004.
기후변화와 산림 / 산림청 산림정책과 / 2009.
산림청, 2009, 기후변화와 산림.
고낙삼(2009).『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정책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
김신호(2007).『한반도 아열대 기후화가 강수변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박현식(2010).『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방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진영(2012).『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권역별·임상별 산림 바이오매스변화량 예측』 석사학위논문.
오현경. (2015).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종의 개체군 동태 및 IUCN 적색목록평가. 강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