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관련난다건강사정진단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아당뇨 사례 연구
1.1. 대상자 선정 및 사례연구 목적
1.2. 대상자 일반정보
1.3. 대상자 건강력
1.3.1. 현병력
1.3.2. 과거력
1.3.3. 가족력
1.3.4. 건강습관
1.3.5. 부모-자녀관계
1.4. 신체사정
1.4.1. 일반적 성장발달 상태
1.4.2. 신체 계통별 사정
1.4.3. 생리적 사정
1.5. 질병 소개
1.6. 간호과정 적용
1.6.1. 간호진단
1.6.2. 간호목표
1.6.3. 간호계획 및 중재
1.6.4. 간호평가
1.7. 사례연구 고찰 및 제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아당뇨 사례 연구
1.1. 대상자 선정 및 사례연구 목적
소아당뇨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간호문제를 진단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 사례연구를 선택하였다"라고 밝혔다. 보호자의 지식 부족과 관련된 도움을 주고자 이 사례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사례연구 목적이 명확하다고 할 수 있다.
1.2. 대상자 일반정보
대상자는 초등학교 2학년 남아로, 생년월일은 2015년 6월 2일이며 출생장소는 서울시 서대문구 이다. 가족구성은 부모와 자녀 2명(남, 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종교는 무교이다. 면담일자는 2022년 5월 15일이고, 정보제공자는 환아의 어머니이다. 정보의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1.3. 대상자 건강력
1.3.1. 현병력
현병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환아는 3개월 전부터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특히 새벽이나 아침에 식은땀을 흘리고, 과도한 물 섭취와 배뇨량 증가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체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보호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결과, 혈당 수치가 매우 높게 나왔으며(BST 540mg/dL, Urine glucose 4+, ketone 2+) 소아당뇨로 진단받았다. 내원 당시에도 BST 결과 High(600mg/dL 이상)로 측정되었고, 인슐린 투여 직후에도 혈당이 60~70mg/dL까지 급격히 떨어지는 등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상황이었다.
1.3.2. 과거력
대상자의 과거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출생 시 특이 사항 없이 정상적으로 출생하였으며, 과거 병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최근 1개월 전부터 체중이 줄어드는 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최근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예방접종 내역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토펠린 알러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상자는 현재 약물을 복용 중인데, 복용 중인 약물로는 프레드니솔론이 있다고 한다.
1.3.3. 가족력
대상자의 가족력을 살펴보면, 먼저 부모의 건강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아버지의 경우 고혈압과 당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꾸준한 관리와 투약으로 잘 조절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어머니도 특별한 질병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 아동의 형제자매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 구조와 기능 면에서는 부모와 본 아동으로 구성된 2인 가족으로, 적절한 양육과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모님이 아동의 질병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아동과의 애착관계도 원만한 편이다. 특히 어머니가 아동의 주 양육자로서 아동의 질병 관리와 일상생활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어머니의 경우 아동의 질병 관리에 대한 걱정과 부담감을 토로하였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아동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전체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지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보면, 대상 아동의 가족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가족의 관심과 노력으로 아동의 질병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어머니의 불안과 부담감에 대한 지...
참고 자료
최신 기본간호학 1, 송경애 외, 수문사, 2017
최신 기본간호학 2, 송경애 외, 수문사, 2017
아동간호학, 방경숙 외, 정담미디어, 2018
성인간호학 상, 조경숙 외, 현문사, 2014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symptom/symptomList.do?symptomId=SS000565
김미애 왜,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2008
홍경자 왜, 아동간호학 Ⅱ, 수문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