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한해 자궁근종 환자수는 42만7336명으로, 5년 전인 2015년 30만4504명에 비해 40% 증가했다. 이 자궁근종은 생리통, 생리량 증가, 골반통, 빈혈 등을 유발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자칫 그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젊은 여성에서는 난임이나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궁근종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이를 적극 치료하려는 여성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에 따라 자궁근종의 원인, 치료, 수술법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여성건강간호학실습2에서 자궁근종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21년 09월 13일부터 2021년 09월 17일까지 EMR, lab sheet, 간호 기록지, medications, injections 관찰 등을 통해 김○○에 대한 기초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문헌고찰을 통하여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자궁의 평활근과 결합조직섬유의 이상증식에 의하여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자궁벽의 근육조직에서 생기는 혹을 말한다. 이는 뚜렷한 증상은 없으나 40, 50대 호발하며 유색인종이 백인종 보다 많이 발생하고, 미산부, 경구 피임제나 자궁 내 장치 피임 이용 여성에게 자주 발견된다. 또한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감소되며, 새로 생기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폐경기 후에 크기가 커진다면 육종변이를 의심해야 한다. 근종은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피막으로 잘 싸여져 결절을 이루고 있다.
2.2. 원인 및 위험요인
자궁근종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자궁근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궁평활근내의 미성숙세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다. 둘째, 여성호르몬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속적으로 상승된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성장에 관여한다고 한다""이다. 셋째, 가족적 경향이 있어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이다. 넷째, 초경이 빠를수록 발생위험이 높아지는데, 이는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이다. 다섯째, 출산력이 많은 경우 미산부에 비해 70~80% 정도 위험도가 감소하는데, 이는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에스트로겐 수준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이다.
2.3. 종류
자궁근종의 종류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점막하근종(submucosal myoma)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서 생겨 자궁강내로 폴립처럼 돌출되며, 발생빈도는 약 5%를 차지한다. 특히 출혈이 많거나 육종성 변성, 감염, 화농, 괴사 등의 합병증 발생이 높은 편이며, 유산이나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둘째, 근층내근종(intramural myoma)은 자궁근층내에 존재하며 발생빈도가 약 8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주위 조직과 경계가 분명하며 침윤이 없고, 근종이 근층 내 깊숙이 위치하여 자궁 자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