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호스피스 의료의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호스피스의 이해
2.1. 호스피스의 정의와 역사
2.2. 호스피스 철학 및 원칙
2.3. 호스피스 대상자
2.4. 호스피스 서비스 지원
3. 호스피스의 유형
3.1. 병원 호스피스
3.1.1. 병동형 호스피스
3.1.2. 산재형 호스피스
3.2. 독립형 호스피스
3.3. 가정 호스피스
3.4. 시설 호스피스
3.5. 혼합형 호스피스
4. 한국의 호스피스 현황
5. 임종 대상자를 위한 간호
5.1. 간호 사정
5.1.1. 병력 및 간호력 사정
5.1.2. 신체적 사정
5.1.3. 심리사회적 사정
5.1.4. 영적 사정
5.2. 간호 계획 및 중재
5.2.1. 신체적 간호
5.2.2. 심리적 간호
5.2.3. 영적 간호
5.2.4. 임종 간호
6.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 법률 및 정책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6년 전, 외할아버지를 폐암으로 잃었을 때 호스피스가 지금처럼 친숙하지 않던 시절이었기에 할아버지 집에서 조용히 죽음을 맞이하셨다. 이를 계기로 주변 내 소중한 사람들, 나, 내가 돌볼 대상자들이 맞이하게 될 죽음에 대해 공부해 보고자 한다. 임종간호와 호스피스의 문화가 많이 발달해왔지만, 자료가 많이 미흡하고 더욱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임종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두려움이 있었는데, 보고서를 작성하다보니 임상에서 임종간호를 해야 할 때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다.
2. 호스피스의 이해
2.1. 호스피스의 정의와 역사
호스피스의 정의와 역사는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hospice)의 어원은 본래 라틴어인 호스피탈리스(hospitalis)와 호스피티움(hospitium)에서 기원했다. 호스피탈리스는 호스페스, 즉 주인이란 뜻에서 병원의 의미로 변하였고 호스피티움은 주인과 손님 사이의 따뜻한 마음에서 이러한 마음을 표현하는 장소로 변천하여 오늘날의 호스피스란 말이 탄생하였다. 또한 호스피스는 중세기에 성지 예루살렘으로 가는 성지 순례자나 여행자가 쉬어가던 휴식처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현재에는 불치질환의 말기 환자 및 가족에게 가능한 한 편안하고 충만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총체적인 돌봄(care)의 개념으로 불리고 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학의 개념은 세포단위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휴머니즘의 접근으로 시행하는 돌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대의학이 환자를 질환별로 완치(cure)를 비롯한 치료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들은 소외를 받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2.2. 호스피스 철학 및 원칙
호스피스 철학 및 원칙은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는 불치질환의 말기 환자와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 환자가 남은 시간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돕고,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 활동이다. 즉, 호스피스의 철학과 원칙은 말기환자와 가족을 전인적으로 돌보고 지지하여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도록 돕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의 철학 및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기환자와 임종 환자, 그리고 그 가족들을 전인적으로 돌보고 지지한다.""
둘째, 환자의 남은 생을 가능한 한 편안하게 하고 충만한 삶을 살도록 사랑으로 돌본다.""
셋째, 환자가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은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넷째, 호스피스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거나 단축시키지 않으며, 살 수 있는 만큼 잘 살다가 자연스럽게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째, 환자와 가족의 요구에 맞추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이용하여 신체적, 영적, 사회적,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지지하여 죽음을 준비하도록 돕는다.""
2.3. 호스피스 대상자
호스피스 대상자는 치유 가능성이 낮고 점차 증상이 악화되어 수개월 내에 사망이 예상되는 환자로, 주로 말기암환자와 말기 만성질환자가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 대상자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근원적인 회복 가능성이 없고 점차 증상이 악화되어 수개월 내에 사망이 예상되는 말기암환자이다. 둘째, 근원적인 회복 가능성이 없으면서 악화되는 시기에 있는 말기 만성질환자이다. 셋째, 본인이나 법적 대리인이 호스피스 서비스에 동의한 환자이다. 이처럼 호스피스 대상자는 질병의 진행 상태와 예후, 그리고 환자 및 보호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선정된다. 호스피스 서비스는 이들의 남은 생을 가능한 한 편안하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2.4. 호스피스 서비스 지원
호스피스 서비스 지원은 말기 환자와 가족을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으로 돌보고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호스피스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통증 및 신체적 증상의 효과적 조절이다"". 호스피스 팀은 말기 환자의 통증과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완화하고 조절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약물 투여, 보완요법, 간호 등 다각도의 중재를 실시한다""..
둘째, 환자와 가족에 대한 교육과 심리상담이다"". 호스피스 팀은 질병과 예후, 증상 관리, 돌봄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상담을 실시한다"".
셋째, 가족문제 상담과 중재이다"". 임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족 간의 갈등이나 문제를 사정하고 중재함으로써 가족 기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넷째, 원예요법, 미술요법,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다"". 이러한 보완요법은 신체적, 정서적, 영적 측면에서 환자와 가족의 안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
다섯째, 삶의 의미 추구를 위한 돌봄활동이다"". 호스피스 팀은 환자와 가족이 남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도록 지원하며, 소풍, 기념일 축하, 환자의 소원 들어주기 등을 실천한다""
여섯째, 가족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
참고 자료
김종임, 서길희, 김선애, 강희영, 백설향, 송영신, 강영미, 김선애, 한정원, 김묘경, 신용순, 장현숙 (2018). 임종간호. 근거 기반 기본간호학 2. 수문사. 651-672.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래, 엄미란 (2017). 호스피스 완화의료. 성인간호학 제7판 상권. 현문사. 312-333.
위키백과, 호스피스, 호스피스의 역사 -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C%8A%A4%ED%94%BC%EC%8A%A4
한국 호스피스의 과거, 현재, 미래(Past, Present and Future of Hospice in Korea). 연선, 가톨릭의대 내과 (p. 510)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43463
이효순·권지현·양정빈·천덕희·추정인·한수연. 2016. 『의료사회복지론』. 서울 : 학지사.
노유자·한성숙·유양숙·용진선. 2017.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직무지침 개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경숙(2012), 성인간호학, 현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제7판)
메디컬 월드뉴스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