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12세 급성기관지염 고체온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대상자 선정 동기
1.3. 관련 통계 자료
2. 기관지염의 이해
2.1. 정의 및 발병 원인
2.2. 임상 증상
2.3. 진단 및 검사
2.4. 치료 및 간호 중재
3. 아동 간호의 고려사항
3.1. 아동의 발달 특성
3.2. 보호자 교육 및 지지
4. 사례 연구
4.1. 환자 소개
4.2. 사정 및 진단 결과
4.3. 간호 계획 및 수행
4.4. 간호 평가
5. 간호사의 역할 및 성찰
5.1. 아동 간호 실무 경험
5.2. 향후 발전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20년 상반기를 시작으로 우리의 일상을 강타한 코로나로 모든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며 제한된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마스크쓰기로 인해 유행성 감기, 바이러스성 질환의 발병률이 감소했다는 장점도 있었다. 2023년 4월달부터 우리나라도 실내마스크 해제가 되고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 종식을 선언하면서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실내마스크 해제이후 독감, 폐렴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의 발병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실습 첫날부터 마지막까지 병원에서 가장 많이 본 질환이 바로 기관지염과 독감이었다. 사실 기관지염과 독감의 경우 계절적인 유행을 타는데, 봄부터 이어져 지금까지도 독감과 호흡기 질환이 굉장히 성행하고 있는 와중, 기관지염에 대해 더욱 알고싶어졌다. 기관지염은 아동에게서 호발하는 질병이고 개인적으로도 유년기에 비슷한 질환으로인해 입원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관심이 있었다. 다빈도 질환인만큼, 추후 임상에서 간호를 할 때 상당한 도움이 될 것 같아 케이스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대상자 선정 동기
좌천일신기독병원 5병동에 입원한 아동들은 대부분 호흡기 기능장애 문제로 입원하였다. 그중 기관지염은 소아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이며, 실제로 실습하고 있는 병동에도 기관지염을 앓고 있는 환아가 많았다. 기관지염은 고열, 기침, 가래, 구토 같은 증상을 동반하며 심할 경우 청색증이나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른 합병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아에게 위험한 질병이다. 따라서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 기관지염이 어떤 질환인지 더 깊게 공부하고 환자를 어떻게 간호할 것 인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1.3. 관련 통계 자료
기관지염 환자에서 호흡기 병원체 감시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1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총 837명의 급성기관지염 환자로부터 객담을 채취하였으며, 이 중 683명에서 병원체가 확인되어 병원체 규명률은 81.6%였다"" 이 중 호흡기 바이러스가 298건(35.6%)으로 가장 많은 검출율을 나타냈으며, 일반세균은 267건(31.9%), 비정형세균과 백일해균은 각각 102건(12.2%)과 19건(2.3%)이 확인되었다"" 일반 세균에서는 H. influenzae가 79건(9.4%)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K. pneumoniae가 46건(5.5%), Group B Streptococcus, A. baumannii는 각각 7건(0.8%), 3건(0.4%), 1건(0.1%)으로 낮은 검출율을 보였다"" 비정형세균에서는 Legionella균이 50건(6.0%), M. pneumoniae균이 45건(5.4%), C. pneumoniae는 7건(0.8%) 순으로 검출되었다"" 호흡기 바이러스에서는 Human rhinovirus가 166건(19.8%)으로 가장 높은 검출물을 보였으며, Adenovirus는 27건(3.2%), Parainfluenza virus, Influenza virus, Human coronavirus는 각각 21건(2.5%), 그 외 4종의 바이러스는 20건 미만으로 낮은 검출율을 보였다""
2. 기관지염의 이해
2.1. 정의 및 발병 원인
기관지염은 호흡기의 구조 중 기관 및 기관에서 갈라진 기관지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한다.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병하며,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바이러스가 기관지염을 유발한다.
일반적인 감기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기관지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가 기관지의 점막에 침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면서 기관지염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에 의해 초래되며, 증상으로는 점액(가래)을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는 기침이 나타난다.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기관지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드문 편이다.
2.2. 임상 증상
기관지염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기관지염 환자는 가슴의 울혈 또는 압박감, 맑은 황색 또는 녹색의 점액을 동반한 기침, 호흡 곤란, 천명음, 인후통 또는 전신 통증, 발열 또는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기관지염의 경우 전신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특히 천명음은 기도가 좁아져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통과할 때 나는 소리로, 주로 호기 때 들리게 된다. 이외에도 천식이나 기도 협착 등의 질환에서도 천명음이 나타날 수 있다.""
2.3. 진단 및 검사
기관지염의 진단은 주로 증상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의사는 일반적으로 기관지염을 의심할 경우 추가적인 진단검사를 시행할 것인지 결정한다. 경증의 기관지염 환자는 종종 별도의 진단검사 없이 증상에 기반하여 진단받는다.
그러나 천식, 세기관지염, COPD, 폐렴 등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주요 진단검사로는 객담 검사, 흉부 X선 검사 등이 있다.""
객담 검사는 기관지염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이다. 객담 내에 있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어 감염 원인...
참고 자료
최선, 가톨릭중앙의료원 약학정보원, 급성기관지염
김효신, 아동간호학 , 수문사, emr 차트 ,pacs
imge)https://www.bing.com/images/blob?bcid=S3lH7yBml6YFAV2MFVQvB5NyDaZa.....2k
image2)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Masafumi_Seki/publication/336193327/figure/download/fig1/AS:816623258726400@1571709565271/Chest-X-ray-findings-of-patient-1-Slight-bronchiolitis-is-evident-in-left-lower-lung.png
image3)https://th.bing.com/th/id/R.5d17273e8e6f65a225e3a2a745de0026?rik=UOvQ%2bvw7HMnW5w&riu=http%3a%2f%2ffarm4.staticflickr.com%2f3440%2f3973466915_e821deee58_z.jpg&ehk=Npvt4WgZBrJp0UTJcXEx%2fpS3SQWiyrrkx6z8qc8HPTg%3d&risl=&pid=ImgRaw&r=0&sres=1&sresct=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kawasaki dieases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6958&title=%EA%B0%80%EC%99%80%EC%82%AC%ED%82%A4%EB%B3%91+Kawasaki+disease
image)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www.kawasakikidsfoundation.org%2Fkawasaki-disease-symptoms%2F&psig=AOvVaw1iH1I6GDJIC8G6mCpFRnHO&ust=1685963902722000&source=images&cd=vfe&ved=0CBEQjRxqFwoTCJDdg4-_qf8CFQAAAAAdAAAAABAD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수문사, 2019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2019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
의학검색앤진, https://www.kml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2019
성미혜, 강정희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제2판. 서울. JMK. 2017 : 56-67
양선희, 원종순 외. 기본간호학1. 서울. 현문사. 2014 : 125-147
윤희옥, 곽은미 외. 아동간호학2. 제2판. 서울. 현문사. 2016 : 182-216
서울아산병원. 알기쉬운 의학용어(급성 기관지염). 서울. 인터넷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10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급성 기관지염). 서울. 인터넷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08
정유진, 양웅모.(2019).급·만성 기관지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의 국내 의료 이용 현황 분석.대한한의학회지,40(3),87-98.http://dx.doi.org/10.13048/jkm.19029
유이란, 박소정, 이은정, 전주현, 정인철, 박양춘.(2017).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대한한의학회지,38(1),93-111.http://dx.doi.org/10.13048/jkm.17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