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증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강의 개념
1.1. 건강의 정의
1.2. 건강의 범위
1.3.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건강증진
2.1. 건강증진의 정의
2.2. 건강증진의 목적
2.3. 건강증진의 구성요소
2.3.1. 보건교육
2.3.2. 예방
2.3.3. 건강보호
2.4. 건강증진의 활성화 배경
3. 보건교육
3.1. 개념
3.2. 목적
3.3. 중요성
3.4. 실행시 고려사항
4. 건강증진과 웰빙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강의 개념
1.1. 건강의 정의
건강은 통상적으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서 설명된다. 부정적 측면에서의 건강은 질병이나 질환이 없음을 나타내는 소극적 개념이며, 긍정적 측면에서의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가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건강은 질병의 부재뿐만 아니라 완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건강의 정의는 시대와 문화의 변천과 발전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왔다. 과거에는 질병의 원인을 신의 저주나 악신(惡神), 악귀(惡鬼)로 이해했으나, 19세기 이전에는 단순히 병리적인 관점에서 '질병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러 건강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병이 없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안녕(well-being)한 상태에 있는 경우'까지를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1.2. 건강의 범위
건강의 범위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점차 넓어져 왔다. 과거에는 단순히 '질병이나 불구가 없는 상태'로 정의되었으나, 1948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1998년에는 영적인 측면까지 포함하여 건강을 "질병이나 불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완전히 안녕 된 역동적인 상태"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건강의 범위는 신체적 측면에서 정신적, 사회적, 영적 측면까지 확대되어 왔다"."
또한 건강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사회적 요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즉, 건강은 개인의 생활양식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건강의 개념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점 더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1.3.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 성장과 발달, 환경, 상호작용, 의사결정 등이 있다"
유전은 인간의 특성과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좋은 유전은 건전한 체질과 잘 발달된 육체와 지능 등을 의미한다. 개인의 유전범위 내에서 일정한 기간에 정해진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성장과 발달은 개인의 육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 성장을 포함하며, 건전한 성장과 발달은 개인의 잠재력 발휘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환경은 공기, 물과 같은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신,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물리적 환경에는 기후, 지리적 조건, 수질 등이 포함되며, 생물학적 환경에는 동식물과 병원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정신적 환경에는 스트레스가, 사회적 환경에는 문화적 가치, 관습, 정치, 경제 등이 포함된다"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은 질병과 장애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인의 특성과 사회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은 개인의 행동을 특징짓고, 물리적 상호작용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의사결정은 개인의 건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금연, 금주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2. 건강증진
2.1. 건강증진의 정의
건강증진의 정의는 "포괄적인 사회적, 정치적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개인의 기술과 능력을 강화하는 활동은 물론 대중 및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증대시키고자 사회적...
참고 자료
이명순(2015. 10).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 오타와 헌장 및 세계보건기구 관련 문헌 등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11.
조유향, 박인혜, 고정은(2014).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서울:현문사
Kim, Y .S.(2015).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primary care.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Seoul.
공중보건학(2008), 교학연구사, 백원칠.
새로 쓴 공중보건학(2008), 수문사, 황병덕 外.
웰빙을 위한 건강관리(2009) 교학연구사, 백원칠.
현대 복지행정의 이해(1998), 학문사, 최용민.
재미있는 의학의 역사(1993), 동지, 황상익.
질병예방과 건강증진(2001), 계축문화사, 예민해 外.
Naver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공중보건학’, ‘태의감’, ‘제생원’, ‘제중원’, ‘신종플루’, ‘성인병’
Naver 지식in 오픈백과 http://kin.naver.com/open100/ ‘한국의 공중보건 당면과제’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웰빙’
강영미 외(2015), 「보건교육학」, 수문사
윤선녕 외(2014),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제 2판)」,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