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 내압상승간호진단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두개 내압상승간호진단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원인
2.2. 병리기전
2.3. 진단방법
2.4. 증상
2.5. 치료와 간호
2.6. 예후

3. 뇌내출혈
3.1. 정의
3.2. 병태생리
3.3. 진단방법
3.4. 임상증상

4. 뇌실내출혈
4.1. 정의
4.2. 병태생리
4.3. 진단방법
4.4. 임상증상

5. 간호과정
5.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5.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5.3. 부동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6. 결론 및 평가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수두증은 뇌척수액의 생성과 흡수에 장애가 생겨 뇌척수액이 뇌실이나 두 개강내에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뇌혈관 질환은 전체 사망 질병 중 2위에 해당되는 발생률이 높은 질환으로 점차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다른 영역의 질환과는 달리 그 특성상 생명을 위협하는 잠재적, 실재적 문제들을 많이 내포하며, 신체적인 불편감 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의식수준, 의사소통 및 활동 등 여러 가지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강문제들은 가족적인 위기 상황뿐만 아니라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인 부담감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되므로 신경외과 환자의 건강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이해하고 신속히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하며,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이 요구된다. 이는 급성기부터 재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간호 계획이 포함되며 계획에 따른 간호중재는 질적인 간호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신경외과 환자의 간호중재를 논리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신경외과 환자의 간호 분야의 기본적인 현상을 체계화하여 간호의 전문성을 가시화하고 간호연구 및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원인

수두증이란 '머리에 물이 많이 차있는 증세' 라는 뜻으로, 두개 내에서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물인 뇌척수액이 생성되고 일정한 통로를 거쳐 정맥혈(상시상정맥) 속으로 흘러들어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뇌척수액의 생산과 흡수기전의 불균형이나 뇌척수액 순환 통로의 폐쇄로 인하여 뇌실 내 또는 두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과잉 축적되는 동적 상태를 말한다. 쉽게 말하면, 뇌 속에서 정상적으로 일정량의 뇌척수액은 계속 생성되는데, 흡수되는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서 점차로 생성된 뇌척수액이 뇌 속에 축적되는 동적 현상을 말한다. 수두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뇌척수액 순환통로의 폐쇄, 둘째, 뇌척수액의 흡수장애, 셋째, 뇌척수 액의 과잉생산이 있다.""


2.2. 병리기전

뇌실내출혈(IVH)의 병리기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경우 고혈압과 관련하여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는 상황에서 터지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 혈종을 형성한다. 뇌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혈관이 장기간 고혈압에 노출되면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 때 과도한 흥분이나 정신적 긴장, 과로 등의 요인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면 혈관이 견디지 못하고 터지게 된다. 특히 당뇨가 있거나 고지혈증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더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그 외 원인으로는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 혈관 기형, 응고장애, 외상, 암 등이 있다. 출혈은 주로 활동 중에 생기며 증상발현은 수분에서 수시간 내에 일어난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의 원인과 유형에 따라 병태생리에 차이가 있으며 일차성 뇌출혈, 동정맥 기형, 동맥류 등과 누출된 혈액으로 인한 두 개내압 상승은 뇌조직을 압박하고 손상시킨다.

셋째, 일단 수두증이 진행되면 뇌척수액의 흡수와 생성은 이차적 장애가 야기되는데 뇌척수액 맥압의 역할이 중요하며 시상 정맥동의 압력 증가는 이미 손상된 흡수기전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병리소견으로는 1) 뇌실내 압력 상승 → 뇌실 확장, 2) 뇌실주변 백질 부위로 뇌척수액이 이동 → 부종(periventricular edema)발생, 3) 백질이 위축(white matter atrophy), 뇌실막 세포(ependymal cell)의 손상, 4)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수 감소 (대뇌피질의 변화는 과정 중 가장 늦게 나타남), 5) 두개강 내압이 서서히 감소, 뇌척수액의 맥박압(pulse pressure)이 중요한 역할을 함 등의 단계로 진행된다.


2.3. 진단방법

뇌출혈의 진단 방법에는 단순 두개 X선 촬영, 신경초음파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동영상 자기공명영상(cine MRI), 방사선 동위원소 뇌조영술(RI cisternography), 두개강내압 측정검사 등이 있다.

단순 두개 X선 촬영은 대두증, 대천문의 확대, 봉합선 분리, 두개골 궁융부의 얇아짐, 두개기저부의 평탄화, 전두봉합이 열리거나 분리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 수두증의 경우 두드린 놋쇠모양 혹은 지압흔이 관찰되고 측면 촬영상 안장의 침식증을 보일 수 있다.

신경초음파 검사는 영유아에서 대천문이 열린 경우 가능하며,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분만 전 태아의 수두증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뇌실내 출혈도 진단할 수 있다.

CT 검사는 뇌실 확장, 뇌실질 변화 소견이 관찰되며 뇌실의 확대 양상에 따라 폐쇄 부위 확인이 가능하다. MRI 검사는 CT에 비해 뇌실 크기나 원인이 될 수 있는 병변들에 관하여 보다 정확성을 제공한다.

동영상 자기공명영상(cine MRI)은 심박동에 의해 뇌가 박동하면서 뇌척수액이 뇌실과 지주막하 공간에 흐르는 것을 단계별로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수도관 협착에서 수도관을 통과하는 뇌척수액의 흐름과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선 동위원소 뇌조영술(RI cisternography)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요추의 지주막하강으로 주입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정상인의 경우 동위원소 주입 후 2, 6, 24시간 촬영 시 기저뇌조에서 대뇌 표면으로 상행하여 정맥동으로 흡수된다.

두개강내압 측정검사는 요추천자가 가장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법이며, 수두증과 동반된 질환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만 후두와 종양 등 폐쇄성 수두증에서 편도탈출, 중심성 ...


참고 자료

조경숙,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주머니 임상실용사전, 의학서원
차영남,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2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1&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의약정보 - http://www.kimsonline.co.kr/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p338~345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2019), chapter 13 신경계
해찬이의 간호일지,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lhc930102&parentCategoryNo=1&skinType=&skinId=&from=menu&userSelectMenu=true
고일선 외,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2018, 학지사메디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뇌출혈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611&tabIndex=0
김종임 외, EBN 기본간호학 2, 수문사
서원희(1994), 뇌졸중 환자에서의 흡인성 폐렴의 발생율 및 임상적 고찰,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Vol. 18, No.1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현문사, 2015, 원종순 외
성인간호학 제 7판 하권,현문사,황옥남 외
2020년 대비 Adult Health Nursing2, 퍼시픽, P. 126-129
한양대학교병원,건강정보,헬스라이프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healthLife.do?action=view&bbsId=healthLife&nttSeq=10583
Wikipedia, IVH, https://en.wikipedia.org/wiki/Intraventricular_hemorrhage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