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bim정의,기술및 도입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소개
1.1. BIM의 정의
1.2. BIM과 3D CAD의 차이
1.3. BIM의 활용 분야
2. BIM 적용 사례
2.1.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프로젝트
2.2. 쿠웨이트 셰이크 자베르 코즈웨이 해상교량 프로젝트
2.3. 회현 2-3 주상복합 프로젝트
3. BIM 활용성 및 효과
3.1. 설계 단계
3.2. 물량 산출
3.3. 도면 작성
3.4. 시각화 자료 생성
3.5. 공정 시뮬레이션
4. BIM의 미래
4.1. 디지털 트윈 및 스마트 건설
4.2. 지속가능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소개
1.1. BIM의 정의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디지털 모델을 활용하여 정보를 관리하고 교환하며 공유하는 절차라고 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는 BIM을 건설 전 분야에 걸쳐 시설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특성을 반영하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 절차로 정의한다. GSA는 BIM을 건축물의 설계를 문서화하고, 새로운 자본이나 재투자 자본을 위한 시설물의 건설 및 운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모델의 개발과 활용으로 설명한다. NIBS는 BIM을 시설물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로서, 시설물의 가상적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NBS는 건물의 설계 초기부터 종료까지 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모든 관계자와 공유될 수 있는 풍부한 정보 모델을 BIM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AIA는 BIM을 2D 및 3D 모델을 통합하여 정보의 사용, 재사용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정보 모델의 접근 방식으로 정의한다.
1.2. BIM과 3D CAD의 차이
BIM과 3D CAD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BIM은 정보의 통합 관리를 목표로 하는 반면, 3D CAD는 단순히 건축물을 3차원으로 표현하는 데 그친다. 3D CAD는 기본적으로 2D 설계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건물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 BIM은 벽, 기둥, 보, 바닥 등을 명확히 구분하고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구조의 세부 사항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즉, 3D CAD에서는 형상과 정보가 분리되어 있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만, BIM은 형상과 정보가 통합되어 있어 추가 작업 없이도 다양한 건설 관리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1.3. BIM의 활용 분야
BIM의 활용 분야는 크게 시공 단계, 설계 단계, 물량 산출, 도면 작성, 시각화 자료 생성, 공정 시뮬레이션 등으로 다양하다.
시공 단계에서는 BIM 모델을 바탕으로 시공의 정밀도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BIM 모델에 공종간 간섭 등 사전 오류를 검토할 수 있어 실제 시공 시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공정을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공 관리가 가능하다.
설계 단계에서는 BIM 모델을 통해 설계의 완성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3D 모델링으로 공간 구현이 용이하고, 각 분야 간 간섭 체크와 설계 변경을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BIM을 활용하면 건물의 에너지 성능 분석 등 다양한 성능 분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설계가 가능하다.
물량 산출 측면에서도 BIM은 강점을 발휘한다. BIM 모델에 포함된 부재 정보와 속성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물량 산출이 가능하여 정확성과 효율성이 높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사업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작성에 있어서도 BIM은 큰 장점을 갖는다. BIM 모델을 기반으로 2D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어 설계 변경 시 도면 수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3D 모델로부터 각종 투시도, 조감도 등 다양한 시각화 자료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BIM은 공정 시뮬레이션에도 활용된다. BIM 모델을 기반으로 가상의 4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공정 계획을 검토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단축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처럼 BIM은 건축 프로젝트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어 설계, 시공, 운영 전반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2. BIM 적용 사례
2.1.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프로젝트
국내에서 최대 규모의 비정형 메가트러스 프레임 구조물인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거대한 금색의 캐노피 지붕이 기둥 없이 하늘로 뻗어있는 매우 독특하고 파격적인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렇게 특수한 디자인을 실제 구조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BIM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수적이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3차원 BIM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비정형 캐노피 지붕 구조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프리콘스트럭션 방식을 도입하여 착공에 앞서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협력사 등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모여 BIM 기반의 설계와 시공 프로세스를 사전에 꼼꼼히 기획하...
참고 자료
현대건설, [스마트 건설 백과사전 Vol.03] 건설 현장의 디지털 통합정보관리실 BIM, 2023.02.09
https://www.hdec.kr/kr/newsroom/news_view.aspx?NewsSeq=731&NewsType=BRAND&NewsListType=news_clist
GSA, BIM Guide
https://www.gsa.gov/cdnstatic/GSA_BIM_Guide_v0_60_Series01_Overview_05_14_07.pdf
NIBS, BIM
https://www.nibs.org/bimc
NBS, BIM
https://www.thenbs.com/knowledge/what-is-building-information-modelling-bim
AIA, BIM
https://network.aia.org/technologyinarchitecturalpracticeold/home/bimstandards
BIM의 개념과 역사, 김인환, 경희대, 2010.01
건축분야 BIM 적용사례, 이종상 쌍용건설 건축기술부 차장, 건설 新패러다임 BIM 특집, 2011
https://www.ssyenc.com/file/kor/tech/html/2011au/2011_Au_Special_Note5.pdf
BIM 관련 미래기술, 한국기술연구원, 2021
방림, 건축설계 단계에서 사용주체별 BIM 기술사용 현황 및 활용가능성 - 연구대상 Revit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김현중, 건축공사 현장의 BIM 활용성 분석, 쌍용건설, 2017
건축학개론(기억의 공간) 216-218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0401cc3a84661456ffe0bdc3ef48d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