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추진 배경 및 근거
1.1. 추진 배경
나눔과 배려의 정신 및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의 효율적인 안내와 지원체제 강화 필요가 추진 배경이다. 시대변화에 맞는 봉사활동 지침 마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1.2. 추진 근거
「초ㆍ중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은 봉사활동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한 영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봉사활동이 정규 교육과정의 일부로 편입되어 학생들의 봉사정신 함양 및 공동체 의식 고양을 위한 중요한 활동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원봉사진흥 제3차 국가기본계획」(2018~2024, 행정안전부)은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으로, 이를 통해 봉사활동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교육부, 2021~2025)은 인성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봉사활동이 인성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법·제도적 근거들은 학교 교육에서 봉사활동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보다 내실 있는 봉사활동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목적 및 방침
2.1. 목적
본 레포트에서는 2024학년도 학생 봉사활동 운영계획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운영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운영계획의 목적은 봉사활동을 통한 나눔과 배려의 정신 및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교육자치 확대에 따른 자율적인 학교 봉사활동 활성화, 그리고 학생 봉사활동 실적 관리의 효율성 및 합리성을 강화하는 데 있다."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과 학생 개인 계획에 의한 봉사활동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며,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배정하되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운영한다. 학생 개인 계획에 의한 봉사활동은 학생 봉사활동 운영계획에 따라 실질적인 봉사활동 시간 인정으로 대리, 편법 운영을 차단한다. 또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자기 주도적 봉사활동(프로젝트형 봉사활동)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2.2. 방침
학교 교육 과정에 의한 봉사활동과 학생 개인 계획에 의한 봉사활동으로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방침이다. 학교 교육 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배정하며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운영한다. 학생 개인 계획에 의한 봉사활동은 「학생 봉사활동 운영계획」에 따라 실질적인 봉사활동 시간 인정으로 대리, 편법 운영을 차단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자기 주도적 봉사활동(프로젝트형 봉사활동) 활성화를 도모한다. 학교가 봉사활동 편성·운영의 주체로서 학교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강화한다. 코로나19 대응 지침 및 감염예방 관리 수칙에 따라 안전하게 실시한다.
3. 세부 운영계획
3.1. 학교 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내 봉사활동
학교 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내 봉사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 봉사활동 영역에서 실시하는 봉사활동으로, 학교 교육계획에 의거하여 추진된다.
학교 교육계획에 따른 교육과정 내 봉사활동은 봉사활동의 필요성, 활동 영역, 유의사항 등이 포함된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봉사활동을 계획하여 추진한다. 구체적인 봉사활동 계획 수립 시에는 봉사활동 내용, 대상 학생, 기간, 활동 시간, 인정 대상 시간 등을 명시하여야 하며, 실제 봉사시간을 합산하여 연간 봉사 시간을 인정한다.
봉사활동 계획과 실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활동 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봉사활동 참가자를 확보한다. 셋째, 봉사자들에게 봉사활동의 자세, 방법, 일반 지식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한다. 넷째, 봉사 장소를 배치하고 실무 지식에 대한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다섯째, 봉사활동을 실천한다. 여섯째, 봉사활동 결과에 대한 반성 및 평가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고 차기 계획에 반영한다.
봉사활동 시간 인정은 1일 8시간 이내로 이루어지며, 평일 수업시간이 7교시인 경우 1시간, 6교시인 경우 2시간, 4교시인 경우 4시간까지 인정된다. 휴업일(토, 공휴일 등)에는 8시간까지 인정된다. 실제 봉사활동 시간만 인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동 시간은 원칙적으로 불인정한다. 다만 특별재난지역 등 국가적 재난극복을 위한 활동의 경우 2시간 이내에서 이동시간을 추가 인정할 수 있다.
이처럼 학교 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내 봉사활동은 체계적이고 내실 있게 운영되며, 학생들의 나눔과 배려 정신 함양, 공동체 의식 증진 등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