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청소년기의 특징
청소년기는 시기적으로 성인과 다른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은 10대로서 신체적으로 성인수준에 달하고 있지만 성인처럼 취급되지 않으며 사춘기로 불린다. 또한 청소년 시기는 자아인식이 고양되며 독립, 해방의 욕구가 강화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기성가치에 대한 부정의 경향이 나타나며 전통적 가정과 사회의 존재 양식과의 충돌을 일으키기도 하면서 청소년은 위기의 시기로 불리기도 한다. 이와 함께 청소년들은 사회적 경험 미숙으로 인해 사회적응력이 부족하며 문제를 잘 처리하지 못하기도 하고 청소년의 행동은 충돌적, 방향 설정이 어렵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청소년기는 성년으로 향하는 과도기로서 부적응 시기로 불릴 정도로 정서적인 불안정 시기로서 새로운 자아의 발견 또는 많은 불안으로 인해 다양화되고 심화되고 동요하는 내면생활 또는 감정으로 인한 자신의 이해자를 찾기 위한 애정적 욕구가 강해진다. 만약 이를 얻지 못하게 되면 강한 고독감 또는 열등감, 자기부정의 감정 등 정서 상태를 보이기도 한다. 아울러 청소년기는 자기혐오 또는 자기비판 등도 나타나는 등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표출이 반사회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1.2. 청소년 문제의 중요성
청소년 문제는 청소년기의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독립성을 추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생하는 문제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청소년기의 문제는 단순히 청소년 개인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정, 학교,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출, 비행, 학업 중단 등의 문제는 청소년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문제나 학교 부적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또한 청소년의 정서적 문제나 성비행 등은 청소년 개인의 건강한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의 건강한 생활과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문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가정, 학교, 사회 등 다양한 층위에서 발생하며, 이는 곧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나아가 사회 전반의 건강성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방안 마련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영화 '박화영' 분석
2.1. 영화 '박화영' 줄거리
영화 '박화영'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화영은 청소년기의 고등학생이다. 어머니가 화영을 버리고 집을 나가면서 화영은 혼자 살게 되었다. 이후 화영의 집은 화영과 같은 또래의 가출 청소년들이 모여 살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가출 청소년들 사이에서 화영은 "엄마"라고 불리고 있다. 이는 화영이 이들을 자신의 아이들처럼 보살펴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화영은 미정이라는 친구와 가장 가까이 지내고 있다. 미정은 화영을 "엄마"라고 부르며 화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