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혈간호
1.1. 수혈의 정의
수혈이란 전혈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 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이다."수혈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빈혈 환자에게 적혈구 수를 증가시켜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시키며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며, 혈액응고인자, 혈소판,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실시된다."
1.2.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여 혈액이 부족해질 때 인체의 기능과 생명 보존을 위해 혈액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심각하거나 급성 혹은 만성적 빈혈을 가진 대상자의 적혈구 수를 증가시키고 혈색소의 수준을 유지하여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혈우병을 가진 대상자의 출혈 조절을 돕기 위해 혈장응고요소를 공급하여 혈액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1.3. 수혈 전 검사
수혈 전 검사는 수혈 대상자와 공여자의 혈액형 일치 여부, 항체검사 등을 확인하여 수혈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혈액형 검사를 실시한다.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을 확인하여 수여자와 공여자의 혈액형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ABO 혈액형은 A형, B형, O형, AB형으로 구분되며, Rh 혈액형은 Rh 항원 유무에 따라 Rh 양성과 Rh 음성으로 구분된다. 수여자와 공여자의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으면 용혈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다음으로, 비예기 항체 검사를 실시한다. 수여자의 혈청에 존재할 수 있는 불규칙 항체를 확인하여 수혈에 따른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예방한다. 불규칙 항체가 존재하면 이에 대응하는 적혈구 항원을 가진 혈액을 선별하여 수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차 시험을 시행한다. 수여자의 혈청과 공여자의 적혈구를 혼합하여 응집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수혈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 응집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수혈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수혈 전 검사를 통해 혈액형 일치, 비예기 항체 검출, 교차 시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수혈에 따른 용혈성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1.4. 수혈 전 간호
수혈 전 간호는 성공적인 수혈을 위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수혈 전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전한 수혈을 위해 다양한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먼저 간호사는 대상자의 혈액형, 과거 수혈 경험, 부작용 유무 등을 확인한다. 대상자의 체온이 37.5℃ 이상인 경우 의사에게 보고하여 수혈 여부를 결정한다.
수혈이 진행되면 간호사는 수혈 기록부, 수혈용 스티커, 수혈 세트를 준비한다. 2인의 간호사가 혈액백의 라벨과 수혈용 스티커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혈액 도착 일시와 시간을 기록하고 서명한다.
수혈 직전 간호사는 다시 한 번 대상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번호를 확인하고 수혈백의 투여란에 서명한다. 이는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간호사는 수혈 시 주입 속도와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심근허혈이나 적혈구 용혈을 방지한다. 수혈 첫 15분 동안 부작용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며, 이상 반응이 있는 경우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이와 같이 수혈 전 간호는 수혈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여 전문성 있게 수혈 전 간호를 수행해야 한다.
1.5. 수혈 중 간호
수혈 중 간호는 대상자의 안전과 부작용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수혈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우선 수혈은 20G 이상의 주사기로 시작하며, 수혈 전에 처방된 항히스타민제를 주사한다. 이는 잠재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차가운 혈액을 빠른 속도로 주입하면 심근 조직의 부전을 유발할 수 있고, 높은 온도의 혈액은 적혈구의 용혈과 단백질 변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혈액 가온기를 사용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며 수혈을 진행해야 한다.""
수혈 첫 15분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간호사는 이 시간 동안 대상자의 피부색,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오심, 구토, 발적, 오한, 핍뇨, 혈뇨, 요통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부작용이 없다면 처방된 속도로 수혈을 진행할 수 있지만,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하여 투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때 수혈기록부에 수혈 시작시간, 사용 혈액의 정보, 항히스타민 투여 여부, 사용한 필터 등을 기록한다.""
또한 수혈이 끝나면 수혈기록부에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