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1. 서론
고대 그리스에서 '소피스트(Sophist)'라는 용어는 다양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지만, 그 단어는 지혜를 의미하는 단어와 관련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명확한 의미를 갖고 있지 않았다. '소피스트'라는 말은 원래 나쁜 의미를 포함하지 않고, '교수'나 '교사'라는 말과 거의 비슷하게 쓰였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소피스트라고 부르는 그들의 집단은 특히 플라톤에 의해 멸시되었으며, 플라톤은 그들이 돈을 목적으로 하는 '정신적 상품을 파는 소매상인'이자 '논쟁술의 스승들'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들을 '돈벌이 꾼'이라고 조롱했고, 그들의 지혜는 피상적인 것 일뿐 실질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오늘날 '궤변'이라는 단어는 이치에 맞지 않지만 겉은 그럴듯한 추론을 사용한다는 것을 함축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소피스트를 부정적 의미를 담아 궤변론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렇다면 소피스트주의가 궤변론자라고 불리며 그들에게 비난과 경멸이 행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은 과연 '지혜로운 자'인가 '궤변론자'인가? 소피스트들이란 어떤 사람들이었으며 또한 소크라테스의 절대주의 사상과는 어떤 점이 달랐으며 어떤 점이 같았을까?.
1.2.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2.1. 소피스트 개념과 특징
소피스트들은 기원전 5~6세기경 그리스 전역에서 활약한 지식인들이었다"". 아테네 민주주의가 최고로 발전한 시기였으며, 당시 민주주의 체제에서 권력을 얻기 위한 합법적 방법은 타인에게 자신의 능력과 행동을 보여 그들이 자신을 인정하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대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그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시킨 자들이 바로 소피스트들이었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소피스트로는 프로타고라스, 프로디코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등이 있었다"". 그들은 지혜로운 자들이라고 불리며 변론술, 수사학, 웅변술 등에 능했고,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말하는 기술을 가르쳐주며 다녔던 지식인이자 권력자들이었다"".
소피스트들은 이전까지의 그리스 철학자들과 달리 철학의 강조점이 변화했음을 보여주었다"". 소피스트 이전의 그리스 철학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절대적 존재와 자연의 궁극적 원리에 대한 믿음이 있었지만, 상대주의적으로 세상을 바라본 소피스트들은 보편적 진리에 의심을 품었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보편적으로 타당한 진리나 이론이 아닌, 감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지식이었다"". 이는 현실 속 인간과 그의 사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소피스트들은 철학의 주요 주제로서 인간을 다루었으며, 자연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 철학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인간에게 눈을 돌렸다"". 세계의 물질적 구성, 구조, 거시세계 등에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연구, 인간의 문명 즉 미시세계로 다룸으로써 인간 중심주의적 특징을 보였다"". 그들이 말하는 덕(Arête)은 덕(德)과는 관계가 없는 말이며, '숙련(熟練)정도'로 나타낼 수 있는 말이었다"". 그들의 학문은 정치적인 지도자들을 양성해내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때의 숙련은 '정치적인 숙련'을 의미했다"".
소피스트들은 철학적 방법과 교육 목적에 있어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과 달랐다"". 그들은 경험론자 또는 현상론자라고 불리며, 자신들의 여행에서 얻은 개인적인 경험이나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문화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였다"". 실제로 그들은 경험과 체험을 해보지 않은 주장은 환상이며, 현실에서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경험만으로 앎의 기준을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불변의 절대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것만큼 다양한 관점에서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고 인식한 것들의 중요성을 소피스트들이 처음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2.2.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접근
소크라테스는 절대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모든 인간의 삶에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으로 실재하는 진리가 존재하며,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 이성을 통해 밝힐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철학을 통해 그 진리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절대적 진리의 존재와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인간의 이성적 능력을 강조하였다""
소크라테스는 반어법, 산파술 등 다양한 교육방법을 구사하였는데, 반어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