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체 건강 관리
1.1. 체온 관리
1.1.1.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아는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므로 환경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이다. 영아는 갈색지방을 연소시켜 열을 생산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극심한 온도변화에 취약하다.
하루 동안 체온은 변동이 있어, 일반적으로 오후 4~6시에 가장 높고 새벽 4~6시에 가장 낮으며, 그 차이는 약 1.0℃ 정도이다"이다.
여성은 배란기에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증가하여 남성보다 체온 변화가 심하다"이다.
극단적인 환경 온도는 체온조절 체계에 영향을 미쳐 체온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이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대사율과 열 생산을 증가시켜 체온상승을 유발한다"이다.
1.1.2. 체온 측정 방법
체온 측정 방법은 대상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구강 체온 측정은 의식이 명료한 대상자에게 적용되며, 따뜻한 액체 섭취 전과 흡연 후 15분 이내에 측정해야 한다. 직장 체온 측정은 심부 체온을 가장 잘 반영하지만 직장 파열의 위험이 있어 심근경색이나 직장출혈 환자에게는 적절하지 않다. 이마 체온 측정은 침습적이지 않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어 영아와 소아에게 유용하다. 그 외에도 고막 체온, 겨드랑이 체온 등 다양한 체온 측정 방법이 있으며, 대상자의 상태와 체온 측정 부위의 특성에 맞춰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1.2. 맥박 관리
1.2.1. 맥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맥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첫째, 장기간 운동 시 심근이 강화되어 보통 사람보다 맥박수가 감소한다. 반면에 단기간 운동 시 맥박수를 증가시킨다. 둘째, 체온 상승은 말초혈관 확장을 초래하는 저혈압에 대한 반응으로 맥박수를 증가시킨다. 셋째, 출혈 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맥박수를 증가시킨다. 넷째, 약물 중 에피네프린은 심박동을 빠르게 하고 베타교감신경차단제는 심박동을 느리게 한다. 다섯째, 앉거나 서 있을 때 중력의 영향으로 정맥에 혈액이 모여들면서 맥박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맥박에는 운동, 체온, 출혈, 약물, 자세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1.3. 호흡 관리
1.3.1.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신경계의 손상은 호흡수와 호흡 리듬을 방해한다. 뇌간의 호흡중추가 손상되면 호흡수와 리듬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신경계 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한 근육의 마비로 인해 호흡근육의 힘이 약해져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다.
노인은 폐의 탄력성 저하로 인해 폐 용량과 호흡 깊이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노인의 호흡 기능이 감소할 수 있다.
마약성 진통제는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호흡 능력을 저하시키고 호흡수와 깊이를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저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