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우리나라의 다문화와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현황 및 개선방향
1.1.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의 특징
1.2.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선점
2. 디지털 사회의 문화 다양성과 이주
2.1. 문화 다양성의 개념
2.2. 디지털 사회에서 문화 다양성 측면의 이주 특징
3. 한국의 다문화사회화 현황
3.1. 다문화사회화의 단계별 진행 과정
3.2. 현재 한국 다문화사회화의 특징
4.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방향
4.1. 한국인의 다문화감수성 및 다문화역량 증진
4.2. 다양성 인정과 편견 해소를 위한 교육과정 변화
4.3.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현황 및 개선방향
1.1.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의 특징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의 중요 쟁점은 어떻게 소수집단에 대해 포용성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소수집단을 담을 수 있는 포용적 교육과정을 통해 진정한 사회 통합을 이룰 수 있는가가 관건이다. 또한 소수집단을 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다수자 학생들의 다문화적 인식 전환이 중요하다.
둘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에 편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정한 사회 통합을 이루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었으나, 점차 중도입국편입자녀와 외국인 학생에 대해서도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학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은 단일민족의 모습을 띠고 있어 다문화에 대해 편견적 사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백인에게는 우호적이면서도 동남아인에 대해서는 차별적으로 대하는 이중적 태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2.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선점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중심이 다문화 학생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 기존의 다문화 교육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이는 진정한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한계가 있다. 다문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교육도 중요하다.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 학생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문화 학생들이 겪는 편견과 고통, 현실적인 어려움을 공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다양성을 인정하고 편견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단순히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인종, 언어, 계층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동등한 교육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셋째,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 단순히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모국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도 증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다문화 구성원 간의 소통과 공존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 간의 갈등과 편견을 해소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학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다...
참고 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다문화교육, 위키백과
2) http://www.hangulworld.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402&idx=213380, 한국세계화문화재단, 2018.12.04
김명정(2018). “:우리나라 다문화 법규의 특징 및 개선 방향 고찰 ― 외국 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법교육학회, 법교육연구 13권 3호
류성진·고흥석(2021).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미디어 기기 이용역량과 디지털 원주민-이주민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5(6).
류정아(2021). “한국 문화 다양성 정책의 성과와 한계 및 정책제언”, 한국이민학회
류상희·박윤경·이은주(2015). “지역 사회의 문화다양성 및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제9권 제3호.
이내연(2021). “이주민 비율, 이주 및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 2021년도 문화 다양성 존중 도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이민학회.
장서현(2021). “이주민에 대한 인식 연구: 문화적,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한국이민학회.
전종한(2016). “유네스코 ‘문화 다양성’ 개념의 함축과 「세계지리」 과목에서의 실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제51권 제4호.
두산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25011&cid=40942&categoryId=31613
김영순(2010), [다문화 사회와 시민교육; ‘다문화역량’을 중심으로]
파이낸셜 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307271049009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