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PEG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
1.1. 목적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의 목적은 여러 질환으로 인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에게 일차적으로 정맥 주사나 비위관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지만 장기간 유지해야 할 때는 많은 고통과 불편을 주고 위식도 역류를 조장하여 식도염이나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을 고려하는 것이다."
1.2. 검사 전 간호
검사 전 간호는 PEG 시술을 위해 환자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첫째, 의식이 있는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PEG 시술의 목적, 방법, 합병증 등을 설명하고 permission을 받는다. 둘째, 시술 전일 자정 이후부터 금식을 실시한다. 셋째, 시술 신청서를 확인한다. 넷째, 시술 도중이나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비하여 IV line을 확보한다. 다섯째, PEG tube 삽입 전에 항생제 용액으로 구강 세척을 실시한다. 여섯째, mouth piece를 입에 삽입하고 의사와 보호자와 함께 내시경실로 이동한다. 이때 의식이 명료하고 협조가 가능한 경우에는 내시경실에서 mouth piece를 삽입한다. 이와 같은 검사 전 간호 과정을 통해 PEG 시술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1.3. PEG Placement Techniques
PEG Placement Techniques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에 공기를 넣어 부풀린다. 보통 공기는 코를 통해 위에 들어가 있는 비위관을 통해 주입한다. 그리고 위가 있는 부위의 피부를 살균액으로 닦고 소독된 방포를 덮는다. 위루관이 들어갈 자리의 감각을 무디게 하기 위해 피부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한다. 약 6mm정도의 작은 피부절개 후 위루관을 삽입한다. 피부의 구멍을 통해 위로 밀어 넣은 후 피부에 고정되도록 봉합한다. 보통 1시간 이내로 시술이 이루어진다. 위루술에 사용되는 위루관은 정체관, 날개관 또는 버섯모양 도관이 있으며, 관은 복벽을 지나 위장으로 큰굽 중간 지점을 따라 삽입된다. 삽입 후 쌈지 끈 봉합술로 봉합하고 관은 복막에 자리 잡도록 한다.
1.4. 검사 후 간호
검사 후 간호는 다음과 같다.
24~48시간 동안 금식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당뇨병이 있거나 감염의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일차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4~5일간 투여한다. old clot의 토물이나 melena가 있을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관찰한다. 영양관을 통한 영양법의 시작은 보통 시술 24시간 이후에 시행하며, 처음에는 미지근한 온수 50ml정도를 30분 간격으로 4차례 투여 해 보고 이상이 없으면 준비된 유동식을 시작한다. 음식 주입 후 쇠약감, 경련, 발한, 빈맥 등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하고 기록한다. 음식 먹을 때 제외하고는 tube를 잠근다. 대부분 환자들이 시술 후 1~2일 동안 근육이 당기는 듯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매일 상처 dressing을 하며 건조한 피부를 유지한다."
1.5. PEG tube를 통해 feeding 시 간호
PEG tube를 통해 feeding 시 간호는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우선, 위내용물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상체를 30~40도 정상 상승시켜 유지해야 한다. 이는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매 feeding 전 혹은 투약 시에는 PEG tube 삽입부위로부터의 tube 길이를 확인하여 튜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또한 매일 튜브의 tension을 확인하여 느슨해지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각 feeding 전 또는 지속적인 feeding 사이에는 매 2~4시간마다 남아있는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잔여량을 확인하고 다시 넣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위내용물 축적을 방지하고 위장관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위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15~30cc의 물을 주입하는 것은 튜브 내 막힘을 예방하고 개방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급식용 bag을 적절한 높이로 유지하여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기로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1회 주입량은 350ml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고, 주입 시간은 1시간 이상 소요되도록 한다. 이는 과도한 급식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매 feeding 후에는 30~60ml의 따뜻한 물로 tube를 통해 세척해 줌으로써 튜브 내 잔여물을 제거하고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PEG tube를 통한 feeding 시 간호는 체계적이고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요구된다. 환자의 안전과 건강한 영양공급을 위해 간호사는 각 단계별 중요 사항을 숙지하고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1.6. 합병증
PEG 튜브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창상감염, 소구 노출, 위루술 부위의 출혈 등이 흔하고, 그 외에도 흡인성 폐렴, 위결장 누공, 영양관의 이동 또는 기능 이상, 마비성 장폐쇄, 복강기종, 피하기종, 급성 위확장, 시술 부위에 육아조직의 과형성, 창상부위의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창상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