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유주의와 공화주의가 생각하는 병역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대 사회에서 현대 복지국가까지 시민의 의미와 역할
1.1. 고대 사회의 시민
1.2. 중세 사회의 시민
1.3. 근대(사회계약과 프랑스대혁명) 사회의 시민
1.4. 현대(자본주의와 복지국가) 사회의 시민
2. 나는 언제 자신을 시민이라고 느끼는가?
2.1. 참정권에 대한 경험
2.2. 자유권적 기본권에 대한 이해
2.3. 시민의 의미에 대한 정리
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전쟁
3.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생과 진행 과정
3.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이해
3.3. 국제 평화를 위한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대 사회에서 현대 복지국가까지 시민의 의미와 역할
1.1. 고대 사회의 시민
고대 사회에서 시민이란, 특히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도시국가의 정치적 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와 자격을 가진 사람들을 말한다. 시민은 폴리스라는 공적인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되었다. 시민은 추첨이나 선거를 통해 공직에 임명되거나, 민회나 원로원과 같은 정치기구에 참여해, 국가의 행정과 법률을 결정하고, 전쟁이나 외교에 관여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특히 아테네에서는, 시민들 간의 평등과 자유가 강조되었다. 시민들은 민주정의 핵심 장치인 수당 지급이나 추첨 등의 방법을 통해, 정치에 평등하게 참여할 기회를 얻었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토론할 수 있었다. 시민은 단일성과 참여의 자유를 통해 지배권력을 행사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공화정의 이념이 중요했다. 공화정은 일인이나 소수의 독점적인 지배가 없는 체제로, 귀족과 시민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각자의 정치 공간을 할당해주었다. 공화정은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적 공동체로, 시민은 자신의 자격과 능력에 따라 차별적인 평등관에 근거하여 정치에 참여했다.
이와 같이 고대 사회에서 시민은 정치적 권리와 자격을 가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국가의 행정과 법률, 전쟁과 외교 등에 관여하고, 자신의 의견과 이익을 표현하고 수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시민사회는 현대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기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 중세 사회의 시민
중세 사회에서 시민이란 주로 도시에 거주하고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권리와 의무를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중세 시대에는 국가나 국민의 개념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민은 도시국가나 도시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식되었다. 시민은 국왕이나 귀족의 지배와 세금 부과에 대항해 자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해 도시의 자치와 법률을 만들고, 도시의 방어와 행정에 참여했다. 또한 시민은 상업과 장인업을 통해 경제적인 번영을 추구하고, 예술·문화·종교적인 활동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과 문명을 발전시켰다. 시민은 중세사회의 계급제도와 교회의 권위에 도전하며, 근대의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기반을 마련했다.
중세사회에서 시민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분제와 사회적 계급에 따라 시민의 권리와 의무가 달랐다. 중세사회는 대개 신분제나 사회적 계급에 기반을 두었는데, 귀족, 성직자, 농민 등 다양한 계급으로 구분되었고 각각의 권리와 의무가 달랐다. 대부분의 경우 시민권은 특정 계급에 속한 군주, 귀족, 도시 주민 등에게만 부여되었다. 둘째, 도시와 시민권의 관계였다. 중세 도시는 주로 상업·금융의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도시 주민 중 일부 사람들은 특별한 지위와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도시의 상인, 장인, 자유인 등이 이에 해당했다. 하지만 이들의 지위와 권리도 상당히 다양했고, 일부 도시에서는 도시 정부에 참여하는 권리를 가지는 도시 시민들도 있었다. 셋째, 금융적 참여와 의무였다. 도시 주민들은 상업과 금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금융적인 참여와 세금 납부 등의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일부 도시에서는 시민들이 도시 방어를 위해 군대에 참여하는 의무를 부과하기도 했다. 넷째, 기능과 업적에 따른 차등이었다. 중세 도시에서 시민은 종종 그들의 기능과 업적에 따라 차등을 받았다. 성공한 상인, 유능한 장인, 도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높은 지위와 특권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중세사회의 시민은 도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분과 지위, 경제력 등에 따라 다양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시민은 도시의 자치와 발전을 위해 노력했고, 중세 사회의 제도와 질서에 도전하며 근대 시민사회...
참고 자료
<시민론> 강의 1강 ~ 6강
고성국. (1993).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 아시아문화,(9), 179-181.
장미경. (2001). 시민권(citizenship) 개념의 의미 확장과 변화. 한국사회학, 35(6), 59-77.
강수돌 외, 세계의정치와경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p.189~285
돈바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쪽을 장악하려는 이유, 폴커비, BBC NEWS 코리아, 2022.04.21.
"러시아군, 도하작전 중 우크라 공격 받아 대대급 병력 전멸", 박용하, 경향신문,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