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2차 세계대전의 영향과 프로이드가 기여한 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상심리학의 발달
1.1. 1차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발전
1.2. 2차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치료적 역할
1.3.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이론
2. 프로이트와 융의 비교
2.1.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
2.2.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
3. 방어기제의 이해
3.1. 방어기제의 개념 및 역할
3.2. 방어기제의 유형 및 사례
3.3. 방어기제의 적절한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상심리학의 발달
1.1. 1차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발전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면서, 최적의 군인을 선발하기 위해 미국 심리학회(APA)의 회장 로버트 여키스가 심리검사 위원회를 조직했다. 이를 계기로 임상심리학의 발전이 큰 폭으로 이루어졌는데, 우드워스에 의해 개발된 인성검사가 군 징병 과정에서 활용되었고, 군대알파 검사를 통해 군인들의 지능 및 정서적 기능을 측정하여 수행 능력과 지도 잠재력을 평가했다. 또한 문맹 또는 영어를 못하는 군인을 대상으로는 비언어적 검사인 베타 군인 검사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심리검사들은 당시 상당히 성공적이라고 여겨졌으며, 임상심리학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로샤검사, TAT검사, 성인용 웩슬러 검사, MMPI 등 다양한 심리검사가 개발되었고, 임상심리학자들은 주로 검사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1.2. 2차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치료적 역할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발발한 제 2차 세계대전은 임상 심리학자들의 치료적 역할을 발전시킨 계기라고 볼 수 있다. 전쟁에서 운 좋게 살아 돌아온 사람들은 당연하게도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게 되었다. 전쟁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사건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때 중요한 일을 한 단체가 재향군인회이다. 의가사 제대한 군인들 중 45%가 정신질환을 갖고 있으며 약 200만명의 재향군인을 심리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한 재향군인회는, 기존 검사자 역할을 수행하던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에 심리치료를 추가시키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이에 따른 결과로 임상심리학 학위가 성립되고 수련규정이 정립되면서 임상 심리학자는 독립적인 전문가로 그 위상이 상승하였음은 물론, 임상분야 심리학자 수가 3배 가까이 증가하게 되었다. 즉 수많은 사상자와 정신병 환자를 만들어낸 전쟁이, 임상심리학에 대한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가져 온 것이다.
1.3.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이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심리학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정신분석이론은 근대적 심리치료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이 정신질환의 근원이라고 보았으며, 인간 성격구조를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분류하였다. 프로이트는 정신질환이 무의식 속 욕구가 의식화되지 못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 동기를 분석하여 의식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신분석이론의 핵심은 '무의식'에 있다. 프로이트는 우리가 겪는 모든 정신질환이 무의식에 숨겨져 있는 과거 경험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에 대한 연구만을 진행해왔던 임상심리학계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 또한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구조를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나누어 각각의 원리가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제대로 조절이 안 되면 정신질환으로 나...
참고 자료
임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안창일 등저, p21-44)
여기스터디 임상심리학 교안 (p6~7)
코로나19로 치솟는 정신질환…바로 알아야 할 8가지(코메디닷컴, 권순일 기자, 2021-8-13)
한국, OECD 국가 중 우울증 발생률 1위 (하이닥, 성진규 기자, 2021-6-15)
위키백과- 알파지능검사
임상심리학의 회고와 21세기 전망 (한국심리학회 춘계 심포지움, 성신여대 심리학과 김정규, 2006)
네이버 지식백과 - 임상심리학 - 2) 주요연구영역 - 정신분석 연구
최옥채 외 공저(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정옥분(2014),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이희자 외 공저(2010), 아동발달, 신정
이정서 저(201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김희수 저(2010), 교육심리학, 신정
곽금주 외 공저(2006), 아동발달 심리학, 박학사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911055172I
'책 읽어드립니다' 악의 평범성에 질문 던지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소개
https://ho-soo.tistory.com/536
방어기제의 종류와 사례
https://blog.daum.net/lawmania2003/74
방어기제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