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기성찰 및 보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사의 자기성찰과 성장
1.1.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자기성찰의 개념과 필요성
1.2. 사회복지사의 자기성장의 개념과 필요성
1.3. 자기성찰과 자기성장의 실천 방안
1.4. 사회복지사의 도덕성 발달과 교육방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사의 자기성찰과 성장
1.1.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자기성찰의 개념과 필요성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자기성찰의 개념과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자기성찰은 본인의 심리나 정신이 어떻게 움직여 나가는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대부분 한 가지 일에 집중하면 본인의 내면에 대해서는 자세히 생각을 못하게 된다. 그래서 일에 매몰되어 있는 현대인들을 위해 '마음 챙김(Mindfulness) 명상'이 일종의 '자기성찰(introspection)'의 일환으로 추천되어 본인의 내면을 챙기는 것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자기성찰을 하게 되면 현재에 집중하게 되어 본인의 상태나 감정 등을 살피며 이지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사회복지사에게 자기성찰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종 사회복지 계통의 공무원이 자살하거나 그들의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기사가 있는데, 이는 지나친 업무과다와 민원인들의 횡포 때문이다. 과다한 업무량에 온 정신이 매몰되고, 민원인들의 안 좋은 감정 섞인 언어 때문에 보람을 느끼기는커녕 매너리즘에 빠지게 된다. 이런 극심한 번아웃과 우울감으로 인해 극단적인 생각을 하게 된다. 이때 자기성찰이 필요한데, 현재 본인의 심리상태가 정확히 어떤지 파악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성찰을 통해 본인이 현재 직무에 만족하는지, 사회복지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에게 자기성찰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개인이 해야 할 일들이 정말 ...
참고 자료
한예나, 「 [핫코너] MBTI 신드롬」,조선일보, 2021-10-14
https://www.chosun.com/national/2021/10/14/7BLTJVEETBBHFCAFSPLWT5D2PA/
김정호.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4, 9.2: 511-538.
최혜지, 「 1년 간 4명의 사회복지사 자살, 출구는 없는가」,프레시안, 2014-04-28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16650
사회복지개론 (조흥식 외 9인,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권중돈, 2014)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사회복지사로서의 자기인식에서 자신의 강점 과 한계
https://blog.naver.com/ghdeorjf/90077691198
박주용. (2021). 심리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