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지역간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0.21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진주 지역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지역사회 현황
2.1. 진주시의 특성
2.1.1. 지리적 특성
2.1.2. 인구학적 특성
2.1.3. 환경적 특성
2.2. 진주시 보건의료 현황
2.2.1. SWOT 분석

3. 치매관리 사업 안내
3.1. 치매조기검진 사업
3.2. 치매 치료비 지원사업
3.3. 치매환자 등록관리
3.4. 치매가족모임
3.5. 치매극복의 날 행사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1.1. 지역사회 특성
4.1.2. 인구학적 특성
4.1.3. 환경적 특성
4.1.4. 건강상태
4.1.5. 지역사회 자원
4.2. 자료요약
4.3. 간호진단
4.4. 우선순위 설정
4.5. 목표설정
4.6. 간호계획
4.6.1. 수행계획
4.6.2. 평가계획

5. 기대효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급증과 사회적 부담 증가로 인해 치매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 치매환자는 약 40만 명(전체 노인의 8.3%, '07)으로 추정되고, 향후 급속한 고령화로 치매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치매유병률이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65세를 기준으로 5세 증가마다 2배씩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저출산,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으로 치매환자에 대한 가정 부양능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치매환자의 의료비가 증가하고 있어 막대한 사회적 부담이 예상된다. 이처럼 치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2.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증가와 사회적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치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관리 사업을 통해 치매 유병률을 낮추는 것이다.""


2. 지역사회 현황
2.1. 진주시의 특성
2.1.1. 지리적 특성

진주시는 동쪽으로는 창원시, 함안군, 서쪽으로는 하동군, 남쪽으로는 사천시와 고성군, 북쪽으로는 산청군과 의령군이 접해 있는 서부 경남지역의 중심도시이다. 또한, 진주시는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경전선 철도와 남해안 고속도로가 동서로, 대전 진주 통영을 연결하는 중부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연결되어 문화교류의 교량역할을 하고 있으며, 남으로는 사천시, 북으로는 거창, 김천으로 연결되어 있어 바다와 육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교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경위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53분에서 128도 22분, 북위 35도 03분 26분에 위치하고 있다.


2.1.2. 인구학적 특성

진주시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진주시의 전체 세대수는 134,500세대이며, 인구수는 남자 173,206명, 여자 175,629명으로 총 348,835명이다. 이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45,998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를 차지하고 있다. 진주시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노인인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경남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1.3. 환경적 특성

진주시는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악세가 비교적 험하며, 남부지역에는 봉대산(302m)·무선산(277m)·실봉산(185m), 북부지역에는 집현산(572m)·검무봉(280m), 시의 중앙에는 월아산(月牙山:471m)·장군대산(將軍臺山:482m) 등이 솟아 있다. 남강이 진양호를 이룬 후 시의 중앙을 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흘러간다. 낮은 지형이 넓으며, 이들은 만장년기(晩壯年期)에서 노년기산지(老年期山地) 형태를 띤다. 기후는 지리산의 영향을 많이 받아 대륙성기후를 나타내고 분지이기 때문에 같은 위도의 다른 도시보다 기온의 차가 심하다. 또한 진양호의 영향으로 종종 아침에 짙은 안개가 낀다. 집현면은 주로 농지, 농경지,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진주시 보건의료 현황
2.2.1. SWOT 분석

진주시 보건의료의 SWOT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점(Strength)으로는 첫째, 적극적인 시설 투자를 통한 건강생활실천실, 장애인재활실, 운동처방실 등 시설 확충으로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의료기관이 많아 시민의 의료이용접근성이 높고 교통접근성도 용이하다는 것이다. 셋째, 많은 의료기관을 이용한 건강생활실천을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는 점이다.

약점(Weakness)으로는 첫째, 지역 전체가 인구의 고령화 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둘째, 노인의료비 증가와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사후 관리를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셋째, 사업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연령대별 차별화된 건강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요구도에 대응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넷째, 진주시 보건정책 및 수행 중인 보건 사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기회(Opportunity)로는 첫째, 산업공단 조성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과 혁신도시로 인한 공공기관 유입, 인구증가로 인한 부양비 감소 등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의 다양화와 생활환경 개선정책의 증가 및 건강증진 관련 환경 조성 붐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위협(Threat)으로는 첫째, 사업의 다양화 및 연계 부족으로 인한 예산활용의 비효율성이 있다는 점이다. 둘째,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부양비 증가와 지속적인 만성질환 및 질병 증가에 따른 사회, 경제적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는 점이다.


3. 치매관리 사업 안내
3.1. 치매조기검진 사업

진주시 치매조기검진 사업은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치매 조기 발견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선별검사 단계로, 진주시 보건소에서 인지기능검사(MMSE-DS)를 실시하여 치매 유증상자를 발견한다. 검사 결과 치매 유증상자로 판정된 경우 정밀검...


참고 자료

지역사회 간호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인천지역대학(2018년9월9일)
http://www.jinju.go.kr/town/main/?sk_id=jibpyean
https://ko.wikipedia.org/wiki/%EC%A7%91%ED%98%84%EB%A9%B4
http://ep.knou.ac.kr/comm/downloadFile.do?fileId=20180907161711GAh8W2
https://prezi.com/oad4t_lok2ip/presentation/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 현문사 / 김광숙 외 공저
지역사회보건간호학 김춘미 /수문사 / 2019.08.19
진주시 홈페이지
진주통계정보시스템(http://stat.jinju.go.kr)
진주시청(http://www.jinju.go.kr)
지역사회 건강조사(https://chs.cdc.go.kr)
진주시 보건소(http://health.jinju.go.kr)
진주시 정신건강증진센터(http://mind.jinju.go.kr)
네이버 건강백과(http://terms.naver.com/list.nhn?cid=50871&categoryId=50871&subCategory=on)
진주시보건소 업무편람(실습학생용 보건소 책자)
통계청(http://kostat.g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