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잠언의 이해
1.1. 잠언의 의미
잠언의 의미는 비교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히브리어 단어 '마샬'에서 찾을 수 있다. 잠언은 지혜와 어리석음, 의인과 악인, 생명과 죽음 등 대조적인 것들을 비교함으로써 진리를 전달한다.
우리말에서 '잠'이라는 한자어는 병을 고치는 데 쓰는 '침'이라는 뜻과 '경계하다'라는 뜻으로, 잠언은 침과 같이 톡쏘는 가르침이며 살아가는데 경계가 되는 금언, 격언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
따라서 잠언은 삶의 실천적 지혜,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 것인가'를 알려주는 지침서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지혜로운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잠언의 저자와 기록 시기
히브리 성경의 잠언의 명칭은 '미쉴레 쉐로모'로서 이것은 '솔로몬의 잠언'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 잠언은 솔로몬 한 사람의 저작이 아니라 여러 명의 저자 및 편집자들에 의해서 완성된 문집이라고 할 수 있다. 알려진 저자나 수집자는 솔로몬, 히스기야 시대의 신하들, 아굴, 르무엘 왕 등이 나온다.
히브리 성경에서 솔로몬의 잠언이라고 칭한 것은 비록 모든 내용은 아닐지라도 솔로몬이 가장 많은 부분을 기록하였으며, 또 지혜문학의 전성기를 이룩한 사람이 솔로몬이었다는 점에서(그가 잠언 삼천 가지를 말하였고 그의 노래는 천다섯 편이며 왕상 4:29-34), 본서의 대표 저자로 간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시기는 솔로몬 시대라는 이론과 그 이후에 집대성되었다는 이론, 그리고 주전 4-5세기 경의 포로후 시대에 완성된 것으로 보는 등의 여러 견해가 있으나 지혜문학이 왕성하게 꽃을 피웠던 솔로몬 시대에 대부분 기록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히스기야의 신하들이 편집을 완료한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게 여겨진다."
1.3. 잠언의 기록 목적
잠언의 기록 목적은 "지혜와 훈계를 알게 하며, 명철의 말씀을 깨닫게 하여, 지혜롭게, 의롭게, 공평하게, 정직하게 행할 일에 대하여 훈계를 받게 하며, 어리석은 자로 슬기롭게 하며, 젊은 자에게 지식과 근신함을 주며, 지혜 있는 자에게 학식을 더하고 명철한 자에게 모략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잠언 1장 7절에서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고 말하며, 잠언의 핵심 목적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즉, 잠언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속에서 지혜와 통찰력을 얻어,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가는 삶을 가르치기 위해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1.4. 잠언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
잠언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는 다음과 같다.
잠언의 중심 주제는 항상 하나님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식을 주제로 가르치면서도 참된 지식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데서부터 비롯됨을 분명하게 인식시킨다. 반면, 미련한 것을 정의하면서 그것은 학문이나 배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여호와의 훈계를 멸시하는 것이라 가르친다. 또 하나님의 백성이 지켜야 할 법도로 육체의 정욕을 피하고, 악한 동무를 멀리할 것, 물질에 대한 탐욕을 버릴 것, 시기와 사치, 방탕을 금할 것을 가르치면서 그 이유는 이런 것을 하나님이 미워하시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 가난한 자를 돕고, 형제를 정직하게 대하며, 연약한 형제의 허물을 가려 주도록 교훈하면서 그렇게 하는 것은 곧 하나님께 꾸어드리는 선한 행위라 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로 정의 내리고 있다. 또 부모 공경을 가르치면서도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을 멸시하는 악행이라 하여 부모 공경이 하나님 앞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 지를 가르친다. 뿐만 아니라 올바른 언행을 가르치면서도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눈과 귀를 지으셨기 때문임을 상기시킨다.
비록 잠언이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중심 주제는 '하나님 앞에서'(Coram Deo)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잠언에 나오는 지혜는 요한복음 1장 1-11절에서 묘사되고 있는 하나님의 지혜이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