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학교 건강사정
1.1. 학교 보건 조직
1.1.1. 보건실 운영
보건실은 건강상담실, 보건관리실, 보건교육실, 처치실, 안정실의 역할을 한다."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관리하며 보건교육의 핵심 장소이다. 또한 학생건강관리에 필요한 각종 제장부를 비치하고 기록을 관리한다.
보건실 운영에 있어 직무대행자를 지정하여 보건교사의 행선지를 보건실 문에 표기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응급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보건실 관리에는 구급약품 및 필요한 재료의 비치 관리, 보건실 이용 절차에 따른 보건일지 기록관리 등이 포함된다. 약품, 재료, 기구류는 항상 청결하게 보관하며 사용분은 즉시 재고에서 보충하여 부족한 물건이 없도록 관리한다. 보건실을 이용하는 학생에 대하여 요양, 투약, 치료, 병원의뢰, 조퇴 등의 조치를 취한 후 그 조치 사항을 보건일지에 기록한다.
1.1.2. 응급환자 관리
응급환자 관리는 학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위급하지 않으나 병원 이송이 필요한 경우 보건교사는 상황에 따라 응급조치를 취한 후 담임교사에게 연락하고, 염좌, 단순 골절 의심, 열성질환, 단순외상, 기타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조치를 취한다. 반면 위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이송이 필요한 경우, 최초 발견자는 상황을 확인하고 119에 신고하며 보건교사에게 즉시 연락한다. 보건교사는 신속하게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응급처치를 하며, 이송 여부를 판단한다."이다.
또한 보건교사의 부재 시에도 응급환자 관리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보건실 방문 학생에게 간단한 응급조치를 취하고, 아픈 학생은 가정에 연락 후 귀가 조치 또는 병원 의뢰를 하며, 약품 투약은 자제하고 구급함을 적절하게 보관한다."이다.
응급환자 발생 시 업무 담당은 매우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위급한 상황의 경우 교장이 총괄 관리하고, 교감이 상황 파악 및 지시, 보건교사가 응급처치와 담임교사에의 통보, 담임교사가 학부모 연락 및 관리자 보고, 부장교사가 질서와 생활지도, 이송담당이 병원으로 후송하는 등 역할이 명확히 분담되어 있다."이다.
마지막으로 응급환자 발생 시 대처요령은 CHECK-CALL-CARE의 프로세스를 따른다. 응급상황 여부와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응급구조를 요청하며, 안전한 장소로 옮기고 응급처치를 시행한 후 병원으로 이송하는 순서로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진다."이다.
1.1.3. 응급환자 관리 조직도
응급환자 관리 조직도에 따르면, 응급환자 발생 시 학교 내부의 관리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총괄지휘반은 교장과 교감으로 구성된다. 교장은 전반적인 상황을 총괄하고 관리자와 지원기관에 대한 대응 및 조치를 취하는 역할을 한다. 교감은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을 지휘하며, 보건교사 또는 업무 대행자를 지정한다.
응급처치반은 보건교사와 교무부 담당 교사로 구성된다. 보건교사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응급처치를 하고 경과를 기록한다. 교무부 담당 교사는 보건교사의 처치를 보조하고 후송반에게 연락한다.
환자 이송반은 학급담임, 교과담임, 생활상담부장으로 구성된다. 학급담임과 교과담임은 관리자에게 보고하고 학부모에게 연락하며, 후송 시 동행한다. 생활상담부장은 보건교사의 업무를 지원하고 보건실을 관리한다.
행정지원반은 교무부장, 학년부장, 행정실로 구성된다. 교무부장은 수업 관련 조정과 출장 처리, 학년부장은 후송 지원 및 담임 부재 시 학급 관리, 행정실은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학교 내부에 체계적인 응급환자 관리 조직이 구축되어 있어,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1.4. 응급환자 발생 시 업무 담당
응급환자 발생 시 업무 담당은 다음과 같다.
위급하지 않으나 병원 이송이 필요한 경우, 보건교사는 상황에 따라 응급조치 후 담임교사에게 연락한다. 또한 염좌, 단순 골절 의심, 열성질환, 단순외상, 기타 병원 진료가 필요할 때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다.
위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이송이 필요한 경우, 최초 발견자는 침착하게 상황을 관찰하고 안전한지 확인한 후 보건교사에게 즉시 연락한다. 필요시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 보건교사는 신속하게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 및 응급처치를 하고, 이송 여부를 판단한다.
그 다음으로는 학급담임, 교과담임이 관리자에게 보고 및 담당부서와 학부모(보호자)에게 연락하며, 구급대 후송 시 동반한다. 또한 생활상담부장이 보건교사 업무를 지원하고 보건실을 관리한다.
교무부장은 수업 관련 조정을 하고 후송 교사의 출장을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