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주요우울장애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 중의 하나로 그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폭넓게 알려져 있다. 또한 주요우울장애는 초기 치료 반응도 낮으며, 회복이 되더라도 재발률이 높기에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요우울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우울증상을 낮추고 자존감과 희망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긍정심리 프로그램은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주요우울장애로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주요우울장애 환자들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희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1.3. 연구방법
본 연구는 J시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주요우울장애로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서를 작성한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 내용은 Seligman, Rashid와 Parks[2]가 개발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Kim과 Ko[16]가 번안하여 적용한 10회기의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총 프로그램 회기를 8회기로 조정하였고 성인 우울증 환자에게 긍정적인 정서와 강점을 습관화하기 위하여 희망훈련 1회기를 첨가하는 것으로 수정 ? 보완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1.4.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우울 측정을 위해 Beck, Steer와 Brown[17]이 개발한 자기보고식 우울증 척도인 Beck Depression Inventory-Ⅱ(BDI-Ⅱ)를 사용하였다. BDI-Ⅱ는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2주 동안의 우울 증상을 측정한다. 각 문항은 0점(증상 없음)부터 3점(증상 심함)까지 4점 척도로 평가되며, 총점은 0점에서 63점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Sung, Kim, Park, Bai, Lee와 Ahn[18]이 이 도구를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자존감 측정을 위해 Rosenberg[19]가 개발한 자존감 측정도구(self-esteem scale)를 Jeon[20]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평가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존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셋째, 희망 측정을 위해 Snyder, Harris, Anderson, Holleran과 Irving[21]의 특성 희망척도와 Snyder 등[12]의 상태 희망척도를 Kim[2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점 Likert 척도로 평가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희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1.5. 연구결과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따른 우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 전 · 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차이값에 대한 두 집단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즉,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따른 자존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 전 · 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값에 대한 두 집단 간 비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존감 점수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즉,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자존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따른 희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 전 · 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값에 대한 두 집단 간 비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희망 점수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 3도 지지되었다. 즉,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희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 논의
이 연구는 주요우울장애로 진단 받고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우울증상 감소와 자존감 및 희망의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점수 변화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아졌다. 이는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의 부정적이고 파국적이었던 사고방식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방향으로 전환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