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경계성 인격장애의 간호진단 및 중재
1.1. 경계성 인격장애의 정의 및 특성
경계성 인격장애는 자기상, 정서, 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고 감정의 기복이 매우 심한 인격장애이다. 강렬한 애정과 분노가 교차하며 불안정한 대인관계를 특징으로 하고,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난다. 환자의 감정이 정상에서부터 우울, 분노를 오가며 행동은 폭발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 낭비, 도벽, 도박, 자해, 자살 시도, 약물 남용 등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발병 빈도가 높으며, 인격장애 중에서 가장 발병 빈도가 높은 인격장애이다.
1.2.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간호진단
1.2.1. 자살위험성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는 강한 분노와 적개심, 세상으로부터 버려졌다고 여기는 공허감, 우울감, 두려움과 불안, 제어할 수 없는 분노 등 극단적인 감정의 변화를 경험한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어려워하고 작은 사건에도 반응성의 초조감, 불만, 불안 등의 감정의 불안정성을 보인다. 이로 인해 자살위험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는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자기파괴적 행동에 대한 충동성이 강해 자살이나 자해 시도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감정 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혼자 있는 것, 외면당하고 고립당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버림받을 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실제로 여러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가 자살 시도를 반복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자살위험성에 대한 적극적인 사정과 중재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자살 생각 유무와 자살 계획, 자해 의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면밀히 사정해야 한다. Beck의 자살 생각 척도(SSI, Scale for Suicidal Ideation)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자살위험성을 수치화하고, 24시간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기분 변화나 자살을 암시하는 언어, 행동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자해나 자살 시도를 방지하기 위해 환자 병실을 간호사 스테이션 가까이에 배치하고, 환경 내 위험물품을 제거하며 병동 창문을 개폐할 수 없게 만들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와 더불어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약물 투여 시 복용 여부를 꼼꼼히 관찰하는 등 다각도의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이처럼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자살위험성은 매우 높으므로,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지속적인 사정과 체계적인 중재를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정신건강 전문가들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 속에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1.2.2. 불안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잦은 감정적 동요와 정서 조절의 불안정성을 보인다. 이들은 강렬한 분노와 적개심, 세상으로부터 버려졌다고 여기는 공허감, 우울감, 두려움과 불안 등 극단적인 감정의 변화를 경험한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어려워하고 작은 사건에도 반응성의 초조감, 불만, 불안 등의 감정의 불안정성을 보인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혼자 있는 것, 외면당하고 고립당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버림받을 것 같은 불안감을 항상 갖고 있다. 이러한 감정의 동요는 대상자의 사회생활, 대인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충동적인 자기파괴적 행동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간호에서는 잦은 감정적 동요와 정서 조절의 불안정성과 관련된 불안을 중요한 간호진단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상자의 신체적 반응, 얼굴표정, 행동, 언어적 표현을 관찰하고 문진을 통해 대상자가 느끼는 감정과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고, 대상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중재로는 대상자가 불안정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비판하지 않는 태도로 대상자의 감정을 인정해주면서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을 삼가고 자극이 적은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투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불어 대상자에게 이완요법, 심호흡 등 불안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감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