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외상성 경막하 출혈 정의
외상성 경막하 출혈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안쪽 뇌혈관이 파열되면서 뇌와 뇌의 바깥쪽 경막 사이에 혈액이 고이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경막하 공간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으로, 이 공간에 고인 출혈이 뇌를 압박하게 되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경막하 출혈은 교통사고, 낙상, 폭행 등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며, 종류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구분된다. 경막하 출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1.2. 원인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 추락사고, 폭력, 스포츠 활동 중 외상 등이다.
교통사고, 특히 보행자가 차량에 치이는 사고는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사고 충격으로 인해 뇌와 경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주로 급성 경막하 출혈의 형태로 나타난다.
추락사고 또한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주요 원인이다. 주로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이들은 뇌위축으로 인해 경막하 공간이 넓어져 있어 경막하 출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중독자나 치매 환자에서도 낙상으로 인한 외상성 경막하 출혈이 자주 발생한다.
폭력, 특히 두부 외상으로 인한 경막하 출혈도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급성 경막하 출혈의 형태로 나타나며, 사망률이 매우 높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외상, 특히 오토바이 운전 중 사고나 스키, 아이스하키, 미식축구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두부 외상도 경막하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아 발생한다.
이처럼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가장 큰 원인은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이며, 특히 교통사고, 추락사고, 폭력, 스포츠 활동 중 두부 외상이 주요 원인이 된다.
1.3. 증상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증상은 의식 장애, 두통, 경련, 시야 장애, 언어 장애 등이다. 출혈 초기에는 인지 기능 저하와 의사소통 장애가 나타나며, 출혈이 계속되어 뇌압이 증가하면 의식 장애가 악화되면서 반신 마비, 동공 확대, 호흡곤란, 혼수 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반면 출혈이 경미하고 뇌압 상승 등의 이상 징후가 없는 경우 의식 장애 없이 두통만 호소하기도 한다. 급성 경막하 출혈은 수상 후 48~72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이때에는 의식 저하, 두통,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아급성 경막하 출혈은 수상 후 2~14일에 발생하며, 급성 경막하 출혈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혈종을 없애기 위한 신체의 반응으로 혈종이 좀 더 액체화되어 있다.
만성 경막하 출혈은 수상 후 약 3주 이후에 나타나며, 서서히 한쪽의 편마비, 언어 장애 등의 뇌신경 마비 증상이 발생한다. 이 때는 가벼운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환자들은 언제 다쳤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1.4. 검사
검사 대상자의 상태 평가를 위해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고, 시야와 동공 반사 기능, 반사 작용, 균형 감각, 언어 기능, 기억력 등을 확인한다"" 또한 혈액 검사를 통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치를 확인하는데, 적혈구 수치가 낮으면 상당한 출혈이 있음을 의미한다"" 영상 검사로는 CT(컴퓨터 단층 촬영) 스캔이나 MRI(자기공명영상) 스캔을 통해 뇌와 두개골의 출혈 양상과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경막하 출혈의 정도와 위치, 그로 인한 뇌 손상 및 기능 저하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1.5. 치료
치료는 두개내압을 낮추고 뇌 혈관을 보호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우선 침습적 치료로 craniotomy(개두술)과 burr hole(천두공) 수술이 있다. Craniotomy는 큰 경막하 혈종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고 흡인세척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