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횡문화간호이론의 주요개념과 개념모델, 간호 실무를 위한 적용등에 대해 기술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화와 돌봄: 횡문화적 간호이론
1.1. 문화적 적응(acculturation)과 문화충격(culture shock)
1.2.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2. 횡문화간호이론과 문화적 돌봄이론
2.1. 횡문화간호이론
2.2. 문화적 돌봄 이론
2.2.1. 주요 개념
2.2.2. 간호활동의 세 가지 양식
3. 레닌저의 해돋이 모형
4. 문화에 기반한 간호이론의 메타패러다임
4.1. 인간
4.2. 환경
4.3. 건강
4.4. 간호
5. 문화적 돌봄 이론의 실무 적용
5.1. 실무 측면
5.2. 교육 측면
5.3. 연구 측면
6. 간호상황에서 문화사정 모형 적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화와 돌봄: 횡문화적 간호이론
1.1. 문화적 적응(acculturation)과 문화충격(culture shock)
문화적 적응(acculturation)은 한 개인이나 집단이 새로운 문화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변화 과정을 의미한다. 문화심리학자 존 베리(John W. Berry)는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으로 문화적 적응을 구분하였다. 개인 수준의 변화에는 행동의 변화, 정체성 변화, 문화적응 스트레스, 건강상태 변화 등이 포함되며, 집단 수준의 변화에는 사회규범, 제도, 물리적 환경 등의 변화가 포함된다. 베리는 개인이 새로운 문화를 접할 때 기존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유지하는지와 새로운 사회 문화와의 관계를 유지하는지에 따라 통합(Integration), 동화(Assimilation), 분리(Separ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의 4가지 문화적응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통합형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문화와도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유형이며, 동화형은 기존 문화 정체성을 상실하고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유형이다. 분리형은 기존 문화만을 고수하는 유형이며, 주변화형은 새로운 문화와 기존 문화 모두에 적응하지 못하는 유형이다.
문화충격(culture shock)은 이질적인 문화 속에 있을 때 느끼는 심리적 변화와 감정 동요 현상을 말한다. 문화충격은 캐러보 오베르그(Kalervo Oberg)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사회적 교류의 상징과 신호를 잃어버리면서 나타나는 불안감이 원인이 된다. 문화충격은 4단계로 나타나는데, 허니문 단계, 적대감 단계, 조정 단계, 적응 단계이다. 허니문 단계는 낯선 문화에 대한 행복감과 이국적인 느낌을 느끼는 단계이며, 적대감 단계에서는 향수병과 초조감을 경험한다. 조정단계에서는 새로운 문화를 이해하게 되고, 적응단계에서는 현지 문화의 관습을 이해하게 된다. 문화충격의 반대 개념인 역문화충격(reverse culture shock)은 오랫동안 외국에 있다가 본국으로 돌아왔을 때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1.2.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문화상대주의란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문화는 문화의 독특한 환경과 역사적·사회적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문화상대주의의 기본 입장은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고 기준 없이 이해하려는 태도이다. 문화상대주의의 핵심은 어떤 행위나 가치가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 문화의 맥락 속에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상대주의의 두 가지 관점은 도덕상대주의와 인식상대주의이다. 도덕상대주의는 행위나 사상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이 특정 문화적 맥락에 따라 결정된다는 입장이다. 인식상대주의는 인간의 세계관과 사물에 대한 인식이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특정 문화의 언어, 철학, 가치 체계 등이 사고방식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문화상대주의는 문화나 인종, 민족 간에 지적 능력이나 도덕적 가치의 본질적인 차이가 없으며, 이에 따라 특정 문화와 인간의 인식과 가치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기준으로 판단될 수 없다는 관용적이고 평등주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이 문화상대주의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문화 간의 차이를 이해하려는 대안적인 관점으로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특정 문화의 고유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이론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2. 횡문화간호이론과 문화적 돌봄이론
2.1. 횡문화간호이론
횡문화간호이론은 간호대상자들의 문화적 요구를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과 집단을 돌보는 행위, 인식, 가치관을 설명하는 상호 관련된 문화 간의 간호개념 및 가설이다. 이는 전문직 간호제공자가 간호대상자들이 갈망하고 기대하는 요구의 대부분을 문화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역적인 문화적 관점, 지식, 경험은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결정인자가 된다.
횡문화간호이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레닌저(Leininger)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문화적 가치, 신념, 관행에 부합되는 돌봄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건강과 안녕 또는 질병, 불구, 죽음을 예방해야 한다고 하였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간호사가 높은 문화적 역량을 갖추었을 때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건강지표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를 고려하지 않고 간호를 한다면 간호대상자와 간호제공자 간의 기대가 다르고 문화적 갈등과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전문직 간호제공자는 상대방을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다문화 대상자와의 공감능력을 증가시켜 대상자의 감정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 횡문화간호의 목적은 특수한 문화에서의 간호 관리와 범문화에서의 간호 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식의 과학적이고도 ...
참고 자료
John W. Berry (https://en.wikipedia.org/wiki/John_W._Berry)
이현주, 강현아. (2011).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문화정체감과 문화적응유형 및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정용문. (2017). 호주 한인들의 사회통합/배제와 정체성 전략 - 이민자 정체성 전략 모형. 한호일보.
Kalervo Oberg (https://en.wikipedia.org/wiki/Kalervo_Oberg)
이성희. (2018).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 10) 자문화 소개하기 활동을 통한 다문화교육 현황. 경인사이버대학교
네이버 국어사전 - 역문화 충격
유명기. (1993). 문화상대주의와 반문화상대주의. 서울대비교문화연구소
두산백과. 문화 상대주의
이규은, 김남선. (2017). 간호대학생의 횡문화간호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김애정, 최영희. (1991).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에서 환자가 인지하는 간호(돌봄) 개념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소우 외. (2017). 제 3판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Katherine Lancellotti. (2008). Culture care theory: a framework for expanding awareness of diversity and racism in nursing education. J Prof Nurs.
곽연희. (2016). 다문화사회관련 간호이론. 중앙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2017, 이소우 외
근거 중심 간호의 이해와 적용, 군자출판사, 2006, 박명화
간호이론가와 이론Ⅱ, 대학서림, 2006, 박영숙 외
Leininger's Theory of Nursing: Cultural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Madeleine M. Leininger, RN; PHD (1988)
Leininger, M. M.(1991). Culture Care Diversity & Universality. New York : National League for Nursing, p.43.
Nursing theories and nursing practice, 4th ed. F. A. Davis Company, 2015, Smith, M. & Parker, M. E.
Caring for a Bedouin Female Patient with Breast Cancer: An Application of Leininger’s Theory of Culture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Qadir, 2013, 2권 3호.
Cervical cancer prevention among quilombola women in the light of Leininger’s theory [Leininger's theory of cultural nursing diversity and universality], Brouns, 1993, 6권 3호.
최윤경 외, 『간호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