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귀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인직과 신소설
1.1. 이인직의 생애와 작품
1.2. 신소설의 정의와 특징
2. 혈의 누
2.1. 줄거리
2.2. 등장인물과 성격 묘사
2.3. 배경과 시대상 반영
2.4. 신소설적 특징
3. 귀의 성
3.1. 줄거리
3.2. 등장인물과 성격 묘사
3.3. 배경과 시대상 반영
3.4. 신소설적 특징
4. 혈의 누와 귀의 성의 비교
4.1. 주제의식
4.2. 구조와 전개 방식
4.3. 언어와 표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인직과 신소설
1.1. 이인직의 생애와 작품
이인직(李人稙, 1862-1916)은 호가 국초(菊初)로, 1862년 7월 27일(음력) 경기도 음죽(현 이천)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1900년 2월 관비 유학생으로 도일하여 동경정치학교 청강생으로 수학하였다. 1903년에는 노일전쟁 중 일본군 통역으로 종군하기도 했다. 1906년에는 『만세보』의 주필로 활동하였고, 1907년 6월에는 『대한신문』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이때부터 이완용의 비서역을 맡았다. 한일합방 후 1911년 7월부터 1915년까지 경학원 사성을 맡아 전국 유림을 관장하는 한편, 선능 참봉과 중추원 부참의를 역임하기도 했다. 1916년 11월 25일 총독부 병원에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혈의 누』, 『모란봉』, 『귀의 성』, 『치악산』, 『은세계』 등이 있다. 특히 『혈의 누』는 1906년 7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만세보』에 연재된 신소설로, 신교육 사상과 여권 신장을 바탕으로 자유 연애 결혼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귀의 성』은 1906년 광무 10년에 『만세보』에 연재되었고, 1907년과 1908년 중앙서관에서 상하 2권으로 간행된 신소설로, 몰락해 가는 양반 계급의 이면을 폭로하는 한편, 지배 계층의 가렴주구에 반발하는 피지배 계층의 생활을 그려내고 있다.
1.2. 신소설의 정의와 특징
신소설은 고대소설의 전통 위에 서구적인 문학 정신이 수용되어 한국 근대 문학의 새로운 기반이 되었다. 신소설은 개화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개화 사상과 근대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신소설은 주제, 구성, 인물, 문체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대소설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소재를 현실에서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대소설이 비현실적이고 판타지적인 소재를 주로 다루었던 데 반해, 신소설은 당대 사회의 모순과 현실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 주제 면에서 볼 때 권선징악의 전통적인 주제에서 벗어나 개화 사상과 근대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신소설은 자유 결혼, 신교육, 자주독립 등의 주제를 다룸으로써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셋째, 등장인물의 유형에 있어서도 고대소설의 이상화된 영웅적 인물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고 개성적인 인물들이 등장한다. 신소설의 인물들은 선과 악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다.
넷째, 언문일치의 문체를 사용하고 대화체와 묘사체의 비중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고대소설이 주로 운문체와 문어체를 사용했던 데 비해, 신소설은 구어체의 대화와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이처럼 신소설은 고대소설의 전통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문학 양식을 창출했다는 점에서 한국 근대 문학사에 큰 의의를 지닌다.
2. 혈의 누
2.1. 줄거리
강동지의 무남독녀인 길순은 춘천 군수인 김승지의 첩이 된다. 김승지의 본처는 남편이 첩을 두었다는 소식을 듣자 관계 기관에 청원하여 김승지를 파면시키고 서울로 불러 올린다. 아내의 성화에 못 이긴 강동지는 딸을 데리고 상경하지만 김승지의 집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쫓겨나고, 길순은 김승지의 주선으로 집을 얻어 숨어 살게 된다. 그러나 질투에 가득 찬 본처는 종 점순과 음모를 꾸미고 점순은 정부인 최가를 꼬드겨 기어코 길순을 죽이고 만다.
2.2. 등장인물과 성격 묘사
혈의 누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옥련은 일본 유학을 통해 개화된 의식을 지닌 여성으로, 자신의 처지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개척하려는 능동적인 성격을 보인다. 구완서와 김관일 등은 개화사상을 지닌 인물들이다. 반면 이노우에 부인은 부정적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작가 이인직의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막동은 양반 계층에 대한 적개심과...
참고 자료
(1) 신소설연구, 황정현, 집문당, 1997.
(2) 한국문학대표작선집-20. 이인직 혈의 누 외, 김윤식, 정호운, 문학사상사, 1995.
(3) 신소설 연구, 전광용, 새문사, 1988.
(4) 한국문학통사-4,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6.
(5) 신소설의 '귀의성' 연구, 매재논총-7, 1989.
(6) 개화기문학론, 방송대출판부,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