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식경영의 SECI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식의 개념과 유형
1.1. 지식의 정의
1.2. 암묵지와 형식지
1.3. 지식의 특성
2. 지식경영의 이해
2.1. 지식경영의 개념
2.2. 지식경영의 중요성
2.3. 지식창출 이론(SECI 모델)
3. 기업의 지식경영 사례
3.1. 샤프사의 지식경영
3.2. 하이퍼텍스트 조직 구조
3.3. 지식경영 프로세스와 문제점 분석
4. 지식경영의 개선 방안
4.1. 지식경영 목적의 명확화
4.2. 핵심 지식의 구체화
4.3. 보상 체계 도입
5. 지적자본과 균형성과표
5.1. 지적자본의 개념과 중요성
5.2. 균형성과표(BSC)의 개념 및 구성요소
6. 웹 2.0 시대의 지식경영
6.1. 웹 2.0의 개념 및 특징
6.2. 개방, 참여, 공유의 시대와 지식경영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식의 개념과 유형
1.1. 지식의 정의
지식(Knowledge)은 지식정보 순환모형의 세 번째 단계로서 데이터와 정보보다 상위의 개념이다. 정보가 의미 있는 패턴으로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라면 지식은 정보가 타당한 행동기준으로 전환한 것이다. 가치판단 및 정보체계의 정태적인 역할의 정보에서 한 단계 상위인 지식은 의사결정 및 행동의 동태적인 역할을 한다.
지식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에 관한 똑똑한 의식과 그것에 대한 비판' 그리고 '알고 있는 내용 또는 그 범위'를 의미한다. 이는 '알고 있음' 혹은 있음에 대한 '체계적 정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경영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지식에 대해 구조주의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지식의 실체와 기업의 성과에 대하여 연구한 Nonaka교수는 지식을 객관화할 수 있는 신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지식은 알고 있다는 사실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가치관, 인생관 및 조직의 목적과 연관되는 것이다.
1.2. 암묵지와 형식지
지식은 그 존재 형태에 따라 암묵지(Tacit knowledge)와 형식지(Explicit knowledge)로 구분된다. 암묵지는 개인의 경험, 직관, 노하우 등 말과 글로 쉽게 표현하기 어려운 개인적인 지식을 의미한다. 개인의 감각, 능력, 믿음, 가치관, 이미지 등이 암묵지에 해당한다. 반면 형식지는 문서, 매뉴얼, 데이터베이스 등 언어나 수식으로 명시적으로 표현 가능한 객관화된 지식을 뜻한다.
암묕지는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개인 고유의 것이지만, 형식지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암묵지는 전문가의 노하우, 직관과 같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지만 언어화되기 어려운 반면, 형식지는 문서화되어 공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암묵지의 특성을 살펴보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전문지식과 노하우, 협력과 비전 공유, 문화 전달 능력 등을 포함한다. 반면 형식지의 특성으로는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지식, 제품과 프로세스를 통한 전달, 정보시스템을 통한 공유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묵지는 기업에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공유와 전파가 어려운 반면, 형식지는 공유와 전파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조직은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효과적으로 창출하고 활용할 수 있다.
1.3. 지식의 특성
지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은 사용해도 소모되지 않는다. 지식은 다른 유형의 자원과는 달리 사용하더라도 원본의 양이 줄어들지 않으며,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더라도 없어지지 않는다. 지식은 공유하고 전달하면 할수록 오히려 증가하고 확대된다는 특성이 있다.
둘째, 지식은 이전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지식은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어도 원래 가진 사람에게서 없어지지 않는다. 이는 지식이 복제가 가능하고 동시에 활용될 수 있는 특징 때문이다.
셋째, 지식은 풍족하지만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하다. 지식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풍부하게 존재하지만, 개인이나 조직이 그 지식을 모두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시간은 제한적이다.
넷째, 많은 조직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 있는 지식들은 결국 조직 밖으로 사라질 것이다. 조직 구성원이 퇴사하거나 은퇴하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던 지식과 노하우가 조직에서 사라지게 된다. 이는 지식 경영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지식은 다른 자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조직이 지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이 경쟁우위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지식경영의 이해
2.1. 지식경영의 개념
지식경영은 조직의 성과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의 지적 자산들을 식별하고 포착하고 구조화하고 가치부여하고 촉진시키고 공유하기 위해 설계된 전략들과 프로세스들을 의미한다"" 지식경영은 유용하고 적용 가능하고 의미 있는 정보들을 증가시키며 개인 및 팀의 학습 증대를 추구한다"" 지식경영은 정보가 실행 가능한 지식으로 변환되고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즉 일상적인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들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식이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적절한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해주는 정보 활용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이다""
2.2. 지식경영의 중요성
지식경영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기업이 경쟁우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경쟁력만이 아니라 제품의 배후에 있는 기술이나 시장에 대한 기업 구성원의 지식, 기술 개발력, 지적 자산 등을 체계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조직적 지식과 능력이 요구된다"". 즉, 기업에게는 제품 혹은 서비스의 경쟁력만큼이나 그것을 만들어내는 조직 전체의 지식과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계속되는 경쟁과 불황 속에서 기업들은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이 전략과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적인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조직 내에서 창출, 공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식경영은 조직 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조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 자료
Kimiz Dalkir, 『지식경영』, 한경사, 2012, pp.17-18, 26-27, 44-45, 182-218, 332, 338
노정란, 「지식의 공통적 정의와 발전적 연관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Vol38(2), 2004; pp. 3-5
http://longflash.tistory.com/280
김선재, 「지식기반경제와 지적자본 : 국가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6/03) Vol. 18, p3
박만성, 「지적자본이 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6, pp.10-11
김중태, 『웹 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 디지털미디어리서치, 2006, pp.84-
Kimiz Dalkir, 『지식경영』, 한경사, 2012, p.27
Kimiz Dalkir, 『지식경영』, 한경사, 2012, p.325
Kimiz Dalkir, 『지식경영』, 한경사, 2012, p.340
http://theknowledgeinc.com/blog/2015/2/23/marketing-information-gaps-3-focus-on-explicit-knowledge-while-ignoring-tacit-knowledge
http://www.slideshare.net/AlanietaLesumaFatiaki/cop-communities-of-practice-to-moo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