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걷기효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맨발걷기의 첫걸음
1.1. 맨발걷기의 첫걸음 책 소개
1.2. 맨발걷기의 첫걸음 저자 소개
1.3.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1.4. 책을 읽으면서 얻은 교훈적인 내용
1.5. 독후감 및 느낀 점
2. 산림치유의 필요성
2.1. 산림치유의 개념
2.2. 산림치유의 필요성
2.3.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
2.4. 산림치유 효과
3. 건강신념모형 적용
3.1.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
3.2. 본인의 건강문제와 생활습관 관련 행위 특성
4. 건강증진이론 적용
4.1. 건강증진이론의 구성요소
4.2. 본인의 건강문제와 생활습관 관련 행위양상
5.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의 비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맨발걷기의 첫걸음
1.1. 맨발걷기의 첫걸음 책 소개
맨발걷기의 첫걸음은 맨발걷기를 실천하면서 느낀 감상과 효능에 대해서 전달하고 있는 책이다. 맨발의 기원과 역사, 맨발로 걷는 이유, 맨발걷기 치유효과, 맨발걷기 실천 방법 등 맨발걷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담겨져 있다.
1.2. 맨발걷기의 첫걸음 저자 소개
맨발걷기의 첫걸음 저자인 박동창 작가는 폴란드에서 깨달은 맨발걷기 치유효과를 전파하고자 하였으며 서울시 비영리 민간단체인 '맨발걷기 시민운동본부'를 창립하였다. 이를 통해 맨발걷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1.3.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첫 번째 인상 깊은 구절은 "신발을 신어야 한다는 고정관념, 맨발이었을 때 쏟아지는 의아한 시선들이 맨발걷기를 어렵게 한다"이다. 저자가 맨발걷기를 하고자 하였을 때 주변 사람들의 시선으로 인해서 맨발로 걷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신발을 벗은 후에는 자유로운 감정과 해방감을 느끼게 되었음을 설명해주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맨발걷기에 관심을 가게 되었고, 직접 실천 해보고 싶은 호기심이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저자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왠지 주변에서 이상하게 보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마음이 컸다. 신발을 벗고 걸었다는 작은 행동의 변화로 조금 더 마음이 편안해지고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신기했다.
두 번째 인상 깊은 구절은 "세상 사람들 대부분은 병에 걸렸다 하면 오로지 병원을 찾아 주사를 맞고 처방된 약이나 영양제를 먹는 일에만 급급하다"이다. 질병을 치유하는 자연의 에너지를 활용하지 못하고 병에 걸렸을 때 병원에만 찾아가는 현대의 생활상에 대해서 안타까움이 묻어있는 내용이었다. 병에 걸리면 바로 병원에 찾아간다는 말에서 공감이 많이 되었다. 어느 순간부터 몸이 아프면 바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무의식적으로 떠오르게 됐다. 병원에서도 치유가 안 되는 만성 질환이 생기게 되었을 때 방향성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질병을 치유하는 자연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땅을 걷는 행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도 결국 몸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서였다. 현대의학이 위급 상황에는 도움이 되지만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보게 되는 구절이었다.
1.4. 책을 읽으면서 얻은 교훈적인 내용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발을 신거나, 자동차를 타게 되면서 맨발 걷기의 효과들이 사라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맨발걷기를 안하게 되면서 혈액순환 장애와 수많은 문명병이 초래되었다는 것이 놀라웠다"". 맨발걷기에는 혈액을 펌핑하는 기능이 있기에 맨발로 걸으면 혈액순환 문제로 발생하는 많은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신발을 신는 행위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익힌 행동이지만, 맨발 걷기 시점에서 신발을 바라보자 신발을 신으면서 맨발의 혈액순환이 제대로 ...
참고 자료
맨발걷기의 첫걸음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 정혜선, 박영임(2007), 건강증진이론과 적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원
박영임,유대숭, 김인자, 이인숙(2006),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