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강의에 대한 평가
1.1. 가장 재미있었던 강의와 그 이유
제가 가장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는 강의는 5주차 '화산 이야기Ⅰ(영화_단테스 피크)' 강의입니다. 과거에 본 영화라 더 흥미가 있었고, 화산의 피해 양상과 화산재의 특성, 화산 분출물의 종류와 피해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화산재가 빠른 속도로 흘러내리며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장면이나, 화산 분출에 따른 지진해일 발생 등의 내용은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백두산과 같은 우리나라의 활화산에 대한 위험성을 새롭게 인지하게 되었고, 화산 재해에 대한 대처법을 배울 수 있어 유익했습니다. 화산은 평소에 먼 나라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1.2. 강의의 장단점
본 강의 좋았던 점은 전체적으로 재난 영화를 통해 재난에 대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평소 재난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자연재해에 관한 영화를 알게 되고 영화 속 허와 실에 대한 내용도 배울 수 있어 흥미롭고 유익했다"". 또한 영화와 강의 내용이 연계되어 있어 강의 내용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고, 새로운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었다"".
반면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은 첫째, 강의에 제공된 영화가 다소 오래된 작품이어서 흥미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요즘 나오는 최신 재난 영화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관심과 집중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다"". 둘째, 영화나 영상이 강의 중간에 삽입되어 교수님의 강의 내용에 집중하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마지막 부분에 영화를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셋째, 시험 시간이 너무 짧고 문제가 어려워 학생들이 답변하기 힘들었다는 것이다"". 시험 시간을 좀 더 늘리고 문제 유형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2. 지구의 기후 변화와 주기
2.1. 지구 자전축 기울기 변화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는 지구 자체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22.1°에서 24.5°까지 2.4°의 폭으로 약 41,000년을 주기로 변화한다. 현재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23.5°이며 이 기울기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감소하면 여름에는 적은 태양 복사열을 받고 겨울에는 더 많은 태양 복사열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계절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차이가 감소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작아지고 낮의 길이도 짧아진다. 반대로 자전축의 기울기가 증가하면 계절의 변화가 더욱 뚜렷해지며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가 커진다. 이러한 지구 자전축 기울기 변화는 밀란코비치 주기로 설명되며, 이는 지구의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2.2. 지구 공전궤도 변화
지구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으로 변화한다는 것은 지구의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현재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으로 근일점과 원일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계절이 나타나게 된다.
지구의 공전궤도는 약 10만~40만년 주기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근일점과 원일점의 변화가 일어난다. 지구의 공전궤도가 완전한 원형에 가까울 때는 지구-태양간 거리가 거의 일정하여 지구의 기후가 일 년 내내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공전궤도가 타원형으로 변화하면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이가 벌어져 계절 변화가 더 뚜렷해진다.
근일점에서는 태양으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받아 계절이 여름이 되고, 원일점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받아 겨울이 된다. 현재 지구 공전궤도의 이심률은 0.017로 원에 근접한 편이지만, 이 이심률이 0.058까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때는 근일점과 원일점의 태양 복사 에너지 차이가 약 23%나 달라져 계절 변화가 더욱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