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강의 소감
1.1.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 주차와 그 이유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 주차는 3주차와 9주차의 강의였다. 3주차의 강의에서는 태풍, 해일, 홍수 등의 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사진을 계속 보여주었고, 이와 관련된 다큐멘터리도 시청했기 때문에 태풍과 허리케인이 얼마나 무서운 자연재해인지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태풍의 피해 규모와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상상 이상이었다는 점이 매우 인상 깊었다. 또한 태풍의 진로를 인위적으로 변경하거나 약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흥미로웠다. 이로 인해 평소 과학에 크게 관심이 없었던 필자도 여러 자료를 찾아보며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다.
9주차의 강의에서는 소행성과 혜성의 충돌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는데, 이는 필자가 평소에도 궁금해하던 부분이었기 때문에 집중하여 들을 수 있었다.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정보를 찾아보며 관련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처럼 3주차와 9주차의 강의는 필자에게 매우 흥미롭고 유익한 시간이었으며, 평소 과학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필자에게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2. 강의의 좋았던 점과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
강의의 좋았던 점과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강의의 좋았던 점은 교수님이 직접 나와서 강의를 해주시며 이해를 하기 쉽게 동영상을 사용하여 강의를 하는 구성이 정말 좋았던 것 같다. 많은 그림과 사진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부분이 이해하기도 좋았고 몰입감 부분에서도 좋았다.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은 강의가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어서 딱히 없으나 굳이 하나를 꼽자면 시험이나 퀴즈 부분에서 모두 고르라는 문제가 많았던 부분이었던 것 같다. 여러 가지 부분을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에 모두 고르는 문제의 유형이 좋은 건 사실이지만, 너무 많은 것 같다. 하나만 고르라고 나와 있을 때는 정답으로 생각되는 것이 보기 초반에 나오면 다음 문제로 넘어가지만, 모두 고르시오 했을 때는 모든 보기를 보고 해결을 해야 해서 다 풀고 난 뒤 검토할 시간이 정말 부족했던 것 같다. 문제의 수를 줄여서 시간 배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거나 모두 고르는 유형의 문제를 조금 줄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 지구 기후 변화의 주기
2.1. 지구 자전축 기울기 변화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변화는 약 41,000년을 주기로 22.1도에서 24.5도 사이에서 변동한다. 현재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는 약 23.44도이며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자전축 기울기가 작아질수록 여름에는 적은 태양복사열을 받고 겨울에는 더 많은 태양복사열을 받게 되어 계절 간 태양 복사 에너지 차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기온의 연교차와 낮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자전축 기울기 변화의 주요 원인은 태양과 달의 중력에 의한 지구의 세차운동이다. 지구의 적도 부근이 돌출된 형상인 벌지 부분에 태양과 달의 차등적인 인력이 작용하면서 지구 자전축이 천구상에서 회전하는 세차운동이 발생한다. 이 세차운동으로 인해 춘분점이 천구 상에서 매년 약 50.3초씩 이동하며, 주기는 약 25,800년이 된다.
지구 자전축 기울기가 감소하면 봄, 여름, 가을, 겨울 동안의 일사량 차이가 줄어들어 계절 변화가 덜 뚜렷해진다. 또한 낮과 밤의 길이 차이도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자전축 기울기 변화는 지구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과거 빙하기와 간빙기를 결정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2.2. 타원형의 지구 공전궤도 변화
2.3. 지구 자전축 23.5도 경사
지구 자전축은 약 23.5도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